Q. 증권과 가상화폐의 차이점은 무엇 인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리플의 미국 SEC와 소송 전은 향후 가상화폐의 관리 주체와 규제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입니다. 증권과 가상화폐의 차이라기 보다는 가상화폐의 관리 및 감독을 누가 어떻게 하느냐의 문제로 보입니다. 일반적으로 증권(security)은 주식, 채권 등 특정 자산 가액을 표시한 증서로 요약되며 법인이나 개인이 발행하며 관련 법규와 규제가 백여년 이상 축적되어 있습니다. 발행, 거래, 소각 등에 있어서 관련 법규에 따라 진행하며 위반 시 민형사상 책임을 묻게 되어 있습니다. 아울러 거래 주체들의 거래 내역까지 모두 추적이 가능하게끔 했습니다. 리플 같은 가상화폐가 증권으로 간주되면 관리 비용과 과도한 규제 등으로 업계의 발전을 저해 한다는게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제 소견도 리플 등 가상화폐를 증권으로 간주하면 관련 법규와 판례 등이 미진하여 사업확장과 고도화에 과도한 간섭을 받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국가별 경제력의 척도를 나타내는 기준이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GNI(국민총소득)은 국민이 국내외 생산 활동 또는 생산에 필요한 자산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받은 대가의 합 이며 외국인에게 지급한 소득은 제외합니다. GDP(국내총생산)은 보다 포괄적인 숫자로 모든 경제 주체(정부, 기업, 개인)들이 일정 기간 동안 창출한 모든 부가가치의 합으로 산출됩니다. 가령, 자국 내 외국회사나 외국인의 경제활동을 통해 창출된 부가가치도 GDP에 포함됩니다. GNP(국민총생산)는 자국민 기준의 GDP로 보시면 됩니다. 요즘 같은 글로벌 경제 하에서는 GNP 보다는 GDP가 더 많이 사용되는게 당연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은 어떻게 구분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산과 이익은 대차대조표와 손익계산서 항목으로 연관성은 있으나 계정별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우선 유형자산(Tangible Asset)은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자산으로 부동산, 기계장치, 사무집기, 컴퓨터 등이며무형자산(Intangible Asset)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으나 사업 활동에 활용되는 자산으로 특허&상표권 같은 지적재산권,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이 해당합니다. 회사의 영업이익 산출은 '매출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 영업이익'으로 도출됩니다. 영업이익은 질문자님 말씀처럼 회사의 자산과 인력 등을 총체적으로 활용한 사업 활동을 통해서 창출됩니다. 참고로 손익계산서의 배당 이후 순이익은 대차대조표의 자본 항목에 이익잉여금에 적립 되며 자본화 됩니다. 이상 참고하기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