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안녕하세요. 멋진너굴 경제연구소 연구소장입니다.
민창성 전문가
Hansae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예금·적금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배당을 왜 하는 이유가 차입경영보다 저렴하고 책임이 덜해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배당과 차입 경영하고는 연관성이 낮습니다. 차입 즉, 돈을 빌려서 사업을 하는 것은 주식회사가 주주들에게 (순)이익의 일부를 배당으로 지급 하는 것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배당을 하는 이유는 회사의 주인들이 주주들에게 사업 경영에 따라 발생한 이익을 나누는(profit sharing) 주식 회사 본연의 활동 중에 핵심에 속합니다. 배당은 분기, 반기 및 연간 기준으로 주주총회 의결로 지급이 가능합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 말씀 드립니다.
예금·적금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동일인의 은행간 이체시 월급형식으로 주는 방법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 드리자면 가능합니다. 매월 일정 금액을 주거래 은행에 이체할 경우 해당 주거래은행은 월급 통장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가령, 케이뱅크 계좌를 급여 계좌로 운영하고 있고 급여를 받은 후 상당액을 주거래 은행 통장으로 이체할 경우 월급으로 인식하게 됩니다. 물론 이체 금액이 어느 정도 비슷해야 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휘발유 가격의 전망이 어떻게될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제유가 하락에 따라 휘발유 가격도 지속 하락이 예상됩니다. WIT 원유 가격은 베럴당 88달러 선으로 내려왔고 이는 경기침체에 따른 수요 감소 영향입니다. 지난 6월경 최고점을 찍고 코로나19 판데믹 이전 수준이 가격선으로 하락했습니다. 급격한 추가 하락 보다는 90불대선에서 횡보할 것으로 예상되며 국내 휘발유 가격은 2~3주 늦게 반영되니 당분간 휘발유 가격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정책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우리나라가 칩4동맹에 가입하기로 했다고 하는데 이 동맹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다분히 중국을 견제하기 위한 미국 주도의 전략입니다. 당연히 중국은 강력히 반발하고 있고 중국 내 대규모 생산 설비를 운영 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설비 투자, 중국 수출 등이 막힐까봐 전전긍긍 하고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한국 정부가 중국 사업의 차질의 반대급부로 미국 시장에서 다 많은 파이를 가져가야 한다는 의견을 내었으나 단기간 내에 시현 가능성은 낮습니다. 과거 상호적인 FTA, 소수그룹의 경제 동뱅인 NAFTA 등과 결이 다른 특정 분야의 경제 동맹과 특정 국가 배제 전략이 깔린 매우 배타적인 성격을 띄고 있어 업계와 한국 정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출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자동차 할부 DSR 포함되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자동차 대출은 DSR에 포함되고 대출 시 한도 설정 시에도 포함됩니다. 자동차 대출은 담보대출이 아닌 신용대출로 잡는 금융기관들이 대부분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2년 8월 9일 작성 됨
Q.
7월 미국 실업률이 50년만에 최저치라는데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해당 실업률 지표는 여러 가지 복합적인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판데믹 이후 오프라인 중심의 일자리들이 많이 줄어 들었습니다. 대부분의 상점과 식당 등이 shut-down 했기 때문에 노동 탄력성이 세계 최고 수준의 미국에서는 자연스럽게 관련 일자리가 단시간 내에 줄었습니다. 문제는 엔데믹이 시작된 작년 중반부터 오픈한 오프라인 매장으로 기존 근로자들이 복귀를 하지 않아 인력난이 아직까지도 심각합니다. 1~2년 사이 기존 실질자들이 소득을 얻는 방식 즉, 일하는 방식이 많이 바뀐 것으로 보이며 상당수가 온라인, 모바일 상에서 일을 하거나 취업 자체를 포기하는 통계상 누락자들이 다수 발생한 듯합니다. 그러나 현재 상황은 일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경기침체까지는 아니더라도 지속적인 금리 인상과 고물가 등으로 경제 활력은 떨어질 것이고 기업 입장에서는 투자할 여력이 부족하거나 투자 시기를 늦춰서 일자리 창출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주식·가상화폐
2022년 8월 8일 작성 됨
Q.
환률과 주식시장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선 美달러 대비 원화 환율이 올라 가면(원화 평가절하, 원화가치 하락) 외국인 투자가들은 가만히 앉아서 환율 손실을 보게 됩니다. 외국인 투자가 입장에서는 원화 표시 주식이나 채권 등의 금융 자산을 언젠가는 팔고 미달러나 달러 표시 자산으로 바꿔야 하기 때문입니다. 호가창에서 1주씩 바뀌는 것은 특정 거래인이 1주씩 짧은 시간 내에 거래를 하기 때문입니다. 이상 간략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2년 8월 8일 작성 됨
Q.
앞으로의 경제전망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요즘처럼 경기 전망이 어려운 때가 없을 듯합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미국 등 서방과 중국&러시아 갈등 등은 하루 아침에 끝날 일들이 아니어서 잠재적이고 지속적인 리스크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갈등의 당사국들이 패권국가들이라 힘겨루기는 더 노골적이고 강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중간에 껴 있는 한국 경제 또한 변동성이 심합니다. 말씀 대로 빠른 시간 내에 큰 폭의 금리 인상이 여러 차례 진행 되었고 최소 올해 하반기 내에 추가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높은 물가를 잡기 위한 경기 냉각 수단이며 당분간 여러 모로 어려운 경제 여건이 펼쳐 질 것이 확실합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뚜렷한 해법은 없습니다. 금리 인상을 통해 일부 경기 하강의 희생을 감내하고 물가를 잡고 경제가 다시 확장 국면으로 갈 때까지 견디는 것처럼 각 개별 경제 주체들도 이러한 때에는 잘 버티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큰 지출을 줄이시고 예상치 못한 건강과 안전 문제가 발생할 경우 가정 경제가 휘청일 수 있으니 가족 분들과 원활히 소통하며 건강한 생활을 지속하다 보면 좋은 날이 올 것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2년 8월 8일 작성 됨
Q.
앞으로 인플레이션은 잡힐까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연준이 질문자님이 아시다시피 2번 연속 0.75%의 금리를 인상하는 빅스텝을 진행했고 오는 9월 FOMC 회의에서도 0.75% 이상의 빅스텝급 금리 인상이 유력합니다. 지난 2~3년 간 제로금리 수준으로 유동성을 공급했던 바라 인위적으로 공급한 유동성은 반드시 회수를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 금리 인상은 시중 유동성 회수를 위한 일반적인 재정정책 중에 하나입니다. 그러나 최근 다소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짧은 기간 내에 진행한 바는 높은 물가 상승 수준 때문입니다. 금리 인상은 경기를 다소 나마 냉각시켜 수요를 위축 시켜 물가 상승을 제한 또는 제어할 수 있습니다. 9월 중 추가 금리 인상이 단행될 경우 물가 상승세는 어느 정도 꺾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동향
2022년 8월 8일 작성 됨
Q.
금리 인상과 경제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기준 금리를 인상하게 되면 일반 금융회사들도 덩달아 금리를 인상하게 됩니다. 이유는 금융사들도 다른 금융사로부터 대출을 받거나 중앙은행으로부터도 자금을 공여 받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적용 되는 것이 기준 금리입니다. 금융회사든, 개인이든 차입 또는 대출 시 기준 금리에서 각 금융회사와 개인이 가진 신용도에 따라 가산 금리를 더해서 돈을 빌리게 됩니다. 반대의 경우 은행에 돈을 맡길 경우 금리 인상 시 이자율이 상승합니다. 기준 금리를 올리면 주식 같은 위험 자산의 수요가 감소합니다. 안전한 예금 이자율이 올라갔기 때문입니다. 이는 상대적인 기준인데 미국 주식 보다 한국 주식은 위험 자산이고 미달러 보다 한국의 원화는 위험자산에 속합니다. 개인들의 경우 1~2% 차이가 크지 않게 느껴질 수 있으나 수십조원을 운영하는 글로벌 펀드의 경우 최근 처럼 짧은 기간 내에 1~2%의 금리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게 됩니다. 부동산 또한 금리가 올라가면 시중 유동성의 활력이 떨어져 거래가 줄고 대출을 끼고 매수 하려는 잠재적 매수자들이 높은 금리에 따른 이자 비용 때문에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 그래서 부동산 가격 상승도 주춤하게 됩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81
882
883
884
8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