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연준 긴축 속도와 물가 상승 속도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물가상승(=인플레이션)은 자산, 생필품, 원자재 등의 가격이 올라 예전보다 더 많은 돈을 지불해야 같은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게끔 합니다.2020년 3월 코로나19 판데믹으로 미국은 유례 없는 양적 완화에 들어갔고 기준 금리는 제로 수준으로 떨어뜨렸습니다. 즉, 고사 직전의 경제와 경제 주체들을 살리기 위한 진통제를 투여한 것과 같습니다.문제는 풀린 유동성은 언젠가는 회수를 해야 합니다. 이걸 긴축이라고 합니다. 시중에 풀린 유동성을 흡수하는 방안은 다양한데 대표적인 것이 기준 금리를 인상하거나 시중의 채권 매입을 줄이거나(=테이퍼링) 중단해서 시중에 유동성 공급을 줄이고나 중단하는 것입니다. 가령, 금리를 올리면 그만큼 시중의 자금은 예금이나 채권 등 안전자산에 머무르게 됩니다.인플레이션이은 돈의 가치 하락이니 우선 시중에 풀린 돈의 양을 줄이는(=유동성 축소, 긴축) 조취를 취하는 것입니다. 그럼 돈의 가치가 증가해서 인플레이션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쉽게 말씀 드려 돈이 돌고 돌면 자산의 가치가 증가하는데 그 흐름을 일정 부분 막겠다는 것입니다. 예상 보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증가 속도가 빨라 긴축의 속도와 시간을 당기겠다는 의미입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Q. 시티은행 가계대출 사업철수관련하여,어떻게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씨티은행의 소매금융 철수는 작년에 결정되었고 한국 뿐 아니라 글로벌 전체 사업장에 해당합니다. 저도 씨티은행 고객이라 아래와 같은 안내문을 전달 받았습니다. 기존 대출 등에 대한 만기연장은 가능하나 신규 대출 등은 진행하지 않습니다. 2026년 전에 모든 대출을 완납해야한다는 것인데 타금융사에 대환 등으로 진행하면 될 듯한데 문제는 최근 강화된 DSR 같은 규제 때문에 상황을 지켜 봐야할 듯합니다. 앞으로 5년 정도 남았으니 조금씩 씨티은행과의 거래를 줄이거나 중단하는 발안을 개별적으로 세우셔야 할 듯합니다. ----‐----------------------------------------------------------------------------------------------한국씨티은행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2021년 10월 25일 소비자금융 업무의 단계적 폐지를 결정함에 따라, 당행은 은행 이용자 보호 계획을 면밀히 검토해왔으며, 그 결과 주요 은행 이용자 보호 계획을 아래와 같이 안내 드리게 되었습니다.- 고객과의 기존 계약은 만기/해지 시점까지 지속되며, 2022년 2월 15일부터 모든 소비자금융 상품과 서비스 신규 가입은 중단됩니다.- 대출 만기 연장은 2026년 말까지 기존과 동일하게 은행이 정한 심사 기준에 따라 가능하며 중도 상환시 중도상환수수료 전액 면제됩니다.- 신용카드의 모든 혜택 및 서비스는 카드 유효기간까지 유지, 씨티 포인트 및 씨티프리미어마일, 씨티NEW프리미어마일 사용은 카드 해지 후 6개월 유예기간이 제공됩니다.- 인터넷, 모바일 뱅킹 등 디지털 채널과 고객 상담센터는 유지, 영업점과 ATM등 영업망의 변경이 있을 시 충분한 사전 안내를 통해 고객 불편을 최소화하겠습니다.- 소비자금융 업무 단계적 폐지 과정에서 발생하는 민원을 최우선 처리하겠습니다.- 금융서비스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하고 고객 정보는 적법한 절차내에서 활용하겠습니다.당행은 당행 이용자 보호를 핵심 가치로 삼고 고객 불편 최소화를 위해 노력을 다할 것이며 단계적 폐지 전 과정에서 법규와 절차를 철저히 준수하고 위 계획을 충실히 이행할 것입니다. 상품별 은행 이용자 보호 계획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한국씨티은행 홈페이지, 모바일앱 및 은행 이용자 보호 계획 안내페이지(www.citialim.com)에서 찾아보실 수 있으며, 고객님의 이메일과 문자로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감사합니다.▶ 은행 이용자 보호 계획 안내사이트(씨티알림) 바로가기https://www.citibank.co.kr/d.act?ID=citialim▶ 한국씨티은행 홈페이지 바로가기https://www.citibank.co.kr* 준법감시인 심의필 2201-06-001 ( 2022.01.12 ) (2022년 1월 10일자 상품 보유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