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전문가입니다.

박재민 전문가
프리랜서
Q.  무역 용어 디마레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Demurrage(디머러지)는 무역 실무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체선료의 개념으로 선사에서 청구하는 비용입니다. 선사와 약속한 프리타임(free time) 이후에 항구나 철도 CY에 컨테이너가 아직 남아 있으면 해당 컨테이너를 픽업할 때까지 발송인에게 벌금이 부과됩니다.체선료는 컨테이너 당 하루 기준으로 벌금이 부과됩니다. 추가로 체선료 발생하는 기간 동안에도 별도의 CY 터미널 보관료(storage Charge)는 발생하게 됩니다. 참고로 free time은 Demurrage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 각각 CY에 보관하거나 컨테이너를 반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허용 기간을 의미합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무역 영어가 무역 실무에 도움이 많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무역영어는 무역 거래에서 발생되는 영문 서류의 작성 및 번역 등 영어구사 능력은 물론 무역 실무지식을 평가하는 시험입니다.기본적으로 무역실무와 수출입 거래에서 확인할 수 있는 무역법령 및 교역 규칙 등을 베이스로 갖고 가기에 공부해두시면 수출입 현업에 분명 도움이 되실 겁니다. 또한 기본적인 무역 서류 작성 및 해석 등에 대해서 무역 영어 측면에서 익히면 실무 차원에서도 도움이 되며 실제로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국제 거래인만큼 대부분의 계약서 및 조건 등은 영문으로 기재되어 있으며 선적서류 및 수출입 관련 모든 서류는 영어가 베이스이기에 무역 영어의 개념이 부족하다면 수출입 실무에 많은 어려움이 따르기 마련입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해외에서 구매를 할때 한국으로 반입이 안되는 품목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한국으로 반입이 불가한 품목은 여러 많습니다. 기본적으로 마약, 유해물질, 위해식품, 모조품, 복제품, 폭발류 등은 수입이 불허됩니다. 경우에 따라서 국내 생태계를 교란시키거나 병해충 우려가 있는 동식물들도 반입이 금지됩니다. 아래는 관련 법령상 수입이 금지되는 품목의 예시이며, 이처럼 반입이 금지되는 물품은 화주의 선택에 따라 반송시킬 수 있으며, 아니면 국내에서 폐기처분됩니다. 다만, 헌법질서를 어지럽히거나 마약류, 무기류 등 위험 소지가 있는 물품은 세관 압수처리되어 폐기처분 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관세법」상 수입이 금지되는 물품(「관세법」 제234조).1. 헌법질서를 문란하게 하거나 공공의 안녕질서 또는 풍속을 해치는 서적·간행물·도화, 영화·음반·비디오물·조각물 또는 그 밖에 이에 준하는 물품2. 정부의 기밀을 누설하거나 첩보활동에 사용되는 물품3. 화폐·채권이나 그 밖의 유가증권의 위조품·변조품 또는 모조품「식물방역법」상 수입이 금지되는 물품(「식물방역법」 제10조제1항)1. 「식물방역법」 제6조에 따른 병해충위험분석 결과 국내에 유입될 경우 국내 식물에 피해가 크다고 인정되는 병해충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서 생산 또는 발송되거나 그 지역을 경유(선박, 차량 또는 항공기에 실린 식물이 병해충에 감염되지 아니한 상태로 보관되어 수입 금지 지역을 통과하는 경우는 제외함)한 식물로서 「식물방역법 시행규칙」 제12조제2항으로 정하는 것2. 병해충. (다만, 농림축산식품부장관이 병해충위험분석 결과 국내 식물에 경제적 피해를 줄 우려가 없다고 인정한 병해충은 제외함)3. 흙 또는 흙이 붙어있는 식물4. 1.부터 3.까지에 규정된 물품 등의 용기·포장「가축전염병 예방법」상 수입이 금지되는 물품(「가축전염병 예방법」 제32조제1항)1. 「수입금지지역 및 수입위생조건이 없는 지정검역물의 적용범위와 수입조건」에서 지정·고시하는 수입금지지역에서 생산 또는 발송되었거나 그 지역을 거친 지정검역물2. 동물의 전염성 질병의 병원체3. 소해면상뇌증이 발생한 날부터 5년이 지나지 아니한 국가산 30개월령 이상 쇠고기 및 쇠고기 제품4. 특정위험물질「수산생물질병 관리법」상 수입이 금지되는 물품(「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제24조제1항 본문)1. 해양수산부장관이 「수산생물질병 관리법 시행규칙」 제26조제1항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지정하여 고시하는 수입금지 지역에서 생산 또는 발송되었거나 그 지역을 거친 지정검역물(항공기 또는 선박의 단순기항에 따라 수입금지 지역을 거친 경우는 제외함)2. 수산생물전염병의 병원체에 감염된 수산생물3. 「수산자원관리법」 제35조제1항제5호에 따라 이식이 제한·금지된 수산생물과 이식승인의 대상임에도 이식승인을 받지 않은 수산생물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무역에서 사용하는 A/L과 P/L은 무엇을의미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무역 거래에서 A/L은 Arrival List의 약어로 실무상 A/L이 아닌 A/N로 많이 사용되곤 합니다. A/L는 화물도착통지서로 화물이 수입국에 도착한 경우 수하인에게 그 도착 통지를 알리는 서류입니다.또한 P/L은 Packing List의 무역 약어로 포장 명세서를 의미합니다. 이는 즉, 화물이 포장된 상세 내역으로 포장된 물품의 종류, 수량, 중량 등을 나타내는 수출입 거래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선적서류 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온라인 해외구매대행으로 짚라인 도르래 판매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짚라인 도르래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상 KC인증대상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타 법령상에도 국내 판매시 별도의 인증은 없을 것으로 판단됩니다.다만, 안전이 중요시되는 제품인만큼 안전사고가 났을 시 클레임을 방지하고자 사전에 안전 검수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으며 법령상에서 요구하는 KC인증이 아니더라도 제품 안전성 및 테스트 결과 등을 제품에 기재하거나 안내해주는 것이 사후 판매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2312322332342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