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외국에 제품을 수입하거나 수출 하려고 하면 사업자 등록증을 어떤 것을 발급 받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사업자등록상 업태, 업종은 신고 시 세무서 민원실 창구에 사업내용을 설명하고 바로 문의하셔도 되고거기에 비치된 업종분류표(업종별 기준경비율)를 보고 찾으셔도 됩니다.홈택스에서는 업종분류표(기준경비율) 메뉴에서 작합한 업종분류를 찾아 볼 수 있습니다.* 홈택스 https://www.hometax.go.kr- 홈택스 조회/발급 > 기타 조회 > 기준단순경비율코드 > 2023년 귀속 업종 조회사업자등록을 마쳤으면, 무역업을 하기 위해서는 무역업고유번호를 부여 받아야 합니다. 아래의 절차대로 무역협회를 통하여 등록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러면 수출입을 하기 위한 기본 등록 절차는 완료한 것입니다.개념수출입 거래가 질서 있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산업통상자원부가 무역업자에게 부여하는 번호를 무역업고유번호라고 합니다신청절차 대상: 사업자 등록증을 보유한 개인 또는 법인 신청기관: 한국무역협회 본부·지부 제출서류무역업고유번호신청서 1부사업자등록증 원본 1부신분증(내방자 : 명함 또는 위임장)주민등록증 앞면 사본(대표자, 내방자)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해외에서 물건을 구입할때 신용카드 구입이 유리(이익)한가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는 나라마다 다릅니다.미국, 일본, 호주, 서유럽 등 전 세계인이 많이 쓰는 화폐를 사용하는 국가에서는 현금을 내는 것이 약간 유리합니다. 반면 인도네시아, 폴란드, 헝가리, 러시아, 태국에서는 카드를 긁는 것이 더 저렴합니다.이는 카드사 수수료율과 은행의 환전 수수료율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보통 해외에서 카드를 쓰면 외국 카드사와 국내 카드사는 약 2.2%의 수수료를 부과합니다. 외환시장 환율과 비교해 2.2%의 수수료가 더 부과되는 것이나 이는 어느 나라에 관계없이 모두 같습니다.하지만 은행의 환전 수수료는 국가별로 천차만별입니다. 달러, 유로, 엔과 같이 흔하게 쓰이는 화폐의 환전 수수료는 은행에서 2%, 사설 환전소에서 1% 수준이지만 인도네시아 등 여행자가 적은 국가의 환전 수수료는 10% 안팎입니다. 따라서 이런 나라로 여행할 땐 카드를 긁는 것이 유리합니다.이때 해외에서 카드 결제를 할 때에는 현지 화폐나 달러로 결제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해외에서 원화로 카드 결제를 하는 것은 환전 수수료가 매우 비싸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또한 해외에서 결제한 신용카드 대금은 사용 당일의 환율이 아니라, 해외에서 카드를 사용한 거래내역이 국제 카드사로부터 국내 카드사에 접수되는 날(통상 3~7일 소요)의 환율이 적용됩니다. 따라서, 환율이 급변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일 때에는 신용카드 결제 수수료를 고려하더라도 현금 사용보다 신용카드 사용이 유리할 수도 있습니다.답변 내용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박재민 관세사 드림
Q. 우리나라 수출품 순위 중 탑에 해당하는 것이 문화콘텐츠가 맞나요?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수출액 규모는 게임산업이 81억 9,356만 달러로 가장 큰 것으로 조사됩니다. 다음으로는 캐릭터(7억 1,581만 달러), 방송(6억 9,279만 달러), 지식정보(6억 9,199만 달러), 음악(6억 7,963만 달러) 등의 순으로 조사됩니다.매출액 규모는 방송 분야가 21조 9,647억 원으로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출판(21조 6,488억 원), 지식정보(19조 3,734억 원), 게임(18조 8,855억 원), 광고(17조 4,218억 원) 등의 순으로 확인됩니다.이는 20년도 문체부가 8개 산업(출판, 만화, 음악, 애니메이션, 광고,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의 사업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와 3개 기관(한국콘텐츠진흥원, 영화진흥위원회, 정보통신정책연구원)이 각각 게임, 영화, 방송 산업을 조사한 결과를 인용해 집계한 것입니다.감사합니다.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