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주식이 상장폐지되는 요건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이 상장폐지되는 건 기업이 일정 기준을 못 지킬 때 생기는 일인데요, 예를 들면 재무상태가 심각하게 악화돼 자본잠식이 되거나, 4년 연속 영업손실이 나거나, 회계감사에서 부적정이나 의견거절 받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합니다. 또 주주 보호에 반하는 중대한 위반사항이 있거나, 거래량이 거의 없다 싶을 정도로 미미하면 상장유지 심사에 들어가게 됩니다. 매일 생기진 않지만 시장에선 꾸준히 몇 종목씩 퇴출되고 있어서, 투자 전에는 기업 재무랑 공시 꼼꼼히 보는 게 진짜 중요합니다.
Q. 보통의 사람들은 어떤 노후를 꿈꾸나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이 그리는 노후는 조용하고 불편함 없는 삶, 일 안 해도 먹고사는 걱정 없는 안정된 생활, 그리고 건강하게 오래 사는 거 이런 쪽이 많은 것 같습니다. 꼭 전원주택이 아니더라도 도시 외곽의 조용한 아파트나 작은 집에서 반려동물 키우거나 가끔 여행 다니면서 소소하게 사는 거요. 손주들 오면 밥 해주고, 병원 자주 안 가도 될 만큼 건강 유지되고, 월세나 병원비 때문에 스트레스 안 받는 그런 평온한 생활을 많이들 바라는 것 같습니다.
Q. 평균단가가 올라가도, 주식 보유 수량이 많은게 유리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평균단가가 오르더라도 주식 수량이 많아지면 절대 수익은 커질 수 있지만, 수익률 자체는 평균단가 대비 현재가 차이에 따라 결정되는 거라 무작정 수량만 늘린다고 유리하진 않습니다. 불타기를 할 땐 상승 흐름이 진짜 추세인지 판단이 먼저고요, 단순 반등에 덥석 사면 평균단가만 높아져서 손해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어느 정도 눌림목이나 조정 이후에 거래량 실리고 다시 치고 나갈 때쯤이 불타기 타이밍으로는 괜찮다고들 합니다. 욕심만으로 달려들면 오히려 계좌만 타들어가는 경우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