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이오 소재 수입 시 통관데이터로 위해성 조기 식별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수입신고의 HS코드, 성분명 CAS, 용도, 원산지, 수입자 이력 등을 NCBI·PubChem·GHS·병원체 목록 같은 외부 DB와 API로 매칭해 독성, 생물안전등급, 제한물질 여부를 점수화해 신고 단계에서 레드플래그로 띄우면 됩니다. 다만 개인정보영업비밀, 오탐 처리, 법적 근거와 샘플링 연계 설계가 동시에 필요합니다. 현장에선 위험점수 상위만 보류검사로 묶는 하이브리드가 효율적입니다.
Q. EU 시민 절반이 미국과 무역합의가 굴욕적이라고 답했다는데 이건 진짜 민심 반영일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eu 시민 다수가 미국과의 무역합의를 굴욕적이라고 본 건 단순 감정 차원이 아니라 불균형한 조건에 대한 불만이 반영된 겁니다. 미국은 농산물, 에너지, 첨단 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며 시장 개방을 강하게 요구하는 반면 유럽 기업들은 규제나 보조금 문제로 역차별을 받는다고 느끼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여론조사에 그대로 반영된 것이고, 회원국마다 이해가 달라 내부 분열로 이어질 소지도 있습니다. 실제 경제적 손실 체감과 정치적 불신이 겹쳐져 민심이 흔들린다고 볼 수 있습니다.
Q. 미국 의회가 ai칩 중국 수출 제한을 추진한다는데 엔비디아 로비까지 나선 건 심각한 신호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미국 의회가 중국향 ai 칩 수출을 막으려는 건 단순한 무역 규제라기보다 기술 패권 싸움의 연장선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 같은 기업이 직접 로비에 뛰어든 건 자사 매출 의존도가 큰 중국 시장을 지키려는 현실적인 움직임인데, 이런 장면 자체가 정치와 산업 이해관계가 얼마나 깊게 얽혀 있는지 보여줍니다. 수출 제한이 실제로 강화되면 중국은 자체 반도체 개발을 서두를 것이고, 글로벌 공급망은 미국 중심 블록과 중국 중심 블록으로 더 갈라질 가능성이 큽니다. 이 과정에서 한국, 대만, 유럽 같은 중간 공급자들도 전략적 선택을 강요받게 되는 게 큰 부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