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처서매직
처서매직

만약 트럼프가 관세 소송에서 패소한다면 1천조 넘는 환급금이 현실일까요

재무부가 최대 1조 달러 환급 가능성을 언급했다는데 이건 거의 국가 재정에도 충격파 수준 아닌가요 수출입 절차에 얽힌 기업들은 이게 오히려 기회가 될지 걱정거리가 될지 궁금하네요대 1조 달러 환급 가능성을 언급했다는데 이건 거의 국가 재정에도 충격파 수준 아닌가요 수출입 절차에 얽힌 기업들은 이게 오히려 기회가 될지 걱정거리가 될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트럼프 시절 부과된 관세가 소송에서 위법 판정을 받는다면 이론적으로는 수입업자들이 낸 관세를 돌려줘야 하니 천문학적 환급액 얘기가 나오는 겁니다. 다만 실제로 1조 달러가 한 번에 풀릴 가능성은 낮고, 정부가 법적 절차나 행정 조치를 통해 범위를 축소하거나 지급 시기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낸 관세를 환급받으면 단기적으로 이익이지만, 그만큼 정책 불확실성이 커져서 향후 투자나 조달 전략에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결국 기회와 위험이 동시에 존재하는 상황이라 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관세 소송이 대규모로 패소해 수조 단위의 환급이 발생한다면 단순한 기업 혜택 차원을 넘어서 국가 재정에 직접적인 타격이 될 수 있습니다. 재무부가 언급한 1조 달러 규모라면 세수 공백이 생기고 그 부담이 다른 방식의 증세나 긴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이미 납부한 관세를 돌려받을 수 있다면 유동성 확보 측면에서는 분명 기회가 되지만 동시에 무역 정책이 불확실해지고 환급 절차가 길어지는 행정 부담이 뒤따릅니다. 통상적인 실무 관점에서 보면 기업은 일시적으로 호재를 맞지만 전체 경제는 혼란에 휩싸일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주봉 관세사입니다.

    1조 달러를 환급한다면 미국도 사실상 파산(?)으로 가는 길로 보여집니다. 트럼프의 이러한 관세정책에 법원이 최소한의 반기를 들었지만 그래도 국가 전체적으로는 미국이 이득을 보고 있다보니 패소까지 가지 않는 방향으로 압박하거나 흘러가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생각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다만 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환급을 할지 여부 그리고 이러한 관세에 대하여 위법성이 인정될지 여부에 대하여는 지켜봐야될 듯 합니다. 그리고 미국 정부에서 이러한 부분에 대한 불법성은 인정하지만 이미 받은 관세에 대하여는 여러가지 사유로 돌려주지 않도록 판결을 내릴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