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리인하와 인플레이션, 인플레인션과 디플레이션은 어떻게 발생하며 차이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인플레이션은 돈이 시중에 너무 많이 풀려서 물가가 오르고 돈 가치가 떨어지는 현상이고, 디플레이션은 반대로 소비가 줄거나 공급이 넘쳐서 물가가 계속 하락하면서 경제가 위축되는 상황을 말합니다. 금리를 내리면 대출이 쉬워지고 돈이 더 풀리니까 소비는 늘지만, 그게 과하면 인플레이션으로 번지게 됩니다. 그래서 파월 의장은 트럼프가 원하는 대로 쉽게 금리인하에 나서지 않았던 거고요. 물가 안정이 무너지면 중앙은행은 통제력을 잃을 수 있어서 그걸 가장 경계하는 겁니다.
Q. 50만원으로 한달 생활비 살 수 있는지 체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식비가 이미 해결된 상황이라면 50만원으로도 한 달 충분히 버틸 수 있습니다. 고정비 먼저 따져보는 게 중요한데요, 교통비가 많게 잡아도 6만대로 낮출 수 있습니다. 그 외에는 공과금, 소소한 생필품, 병원비 같은 변수인데, 그런 건 10만~15만원 정도 여유로 잡아두고, 나머지는 문화생활이나 예비비처럼 분리해놓는 게 좋아요. 딱 나눠서 쓰겠다는 의식만 있으면 50으로도 크게 불편하지 않게 한 달 채울 수 있습니다. 단, 갑자기 변수가 생기면 살짝 빠듯해지긴 합니다.
Q. 가계부 어플? 자산관리 어플? 다들 사용하시는지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요즘은 가계부 어플 하나쯤은 깔아두고 쓰는 분들이 꽤 많긴 합니다. 카드랑 연동돼서 자동으로 정리되니까 예전처럼 일일이 적는 수고도 덜하고요. 근데 또 누군가는 귀찮다고 아예 안 쓰고, 월급날에 통장 쪼개기 해서 생활비 통장 따로, 저축 따로 관리하면서 감으로 버티는 분들도 많습니다. 꼭 어플이 정답은 아닌데, 자산 흐름이 눈에 안 보이면 지출 습관이 흐트러지기 쉬워서 뭐든 자기한테 맞는 방식 하나는 잡아두는 게 좋습니다. 작게라도 기록해보면 소비 줄이는 데 확실히 도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