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부동산 가격을 가장 안정화시켰던 정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1989년 1기신도시건설 사례가 있습니다. 분당, 일산, 평촌, 산본, 중동 등 수도권 5개 신도시에 200만호 주택 공급을 목표로 한 대규모 공급 정책이었습니다. 대규모 물량의 예측 가능한 공급 일정과 정부의 확고한 의지가 시장 참여자들의 기대를 근본적으로 바꾼 것이 핵심이었고 이로 인해 서울의 집중수요를 크게 분산화 시킨 정책이었습니다. 종합부동산세 패키지 정책인 노무현 정부때 실시한정책입니다. 이 시기의 정책은 단일 정책이 아닌 보유세 + 개발이익 환수 + 공급 통제의 3중 조합이었습니다 종부세 효과=보유비용 증가→투자수익률 하락→투기수요 억제로 이어져서 집갑의 안정화를 불러일으켰습니다. 2005-2008년 강남 3구 아파트 가격 상승률이 연평균 2-3%로 물가상승률 수준까지 안정화되었고 고가주택인 20억이상에서도 거래량이 70%이상 급감한 정책이었습니다.
Q. 금리인하가 미국 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요? 그리고 금리인하를 해야 하는 경제상황인건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금리인하는 미국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그 효과는 언제, 왜, 얼마나내리느냐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우선 금리인하의 기본 매커니즘은 소비 활성화 효과가 가장 직접적입니다. 가계의 이자비용 하락으로 가처분소득이 증가하며, 특히 주택담보대출, 자동차대출, 신용카드 등 각종 대출 부담이 줄어들어 소비 여력이 확대됩니다. 이자비용하락으로 인해서 기업 투자 확대 효과도 상당합니다. 금리 인하로 자산시장에 대한 투자로 부동산이나 자산시장 활성화에 기여하는 효과로 이어지고 이는 부의효과로 소비로 이어지기도합니다. 다만 중장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자산시장버블 그리고 이로 인한 부채의 비율로 증가로 신용버블로 인한 신용리스크가 커지는게 문제입니다.
Q. 유나이티드헬스케어 그룹은 어떠한 일을 하는 회사인가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유나이티드 헬스그룹은 의약품회사가 아닙니다. 미국 최대 규모의 통합 헬스케어 서비스 기업으로, 건강보험부터 의료 IT, 직접 의료서비스, 약국 관리까지 의료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 헬스케어 플랫폼입니다.매출의 약 85%는 건강보험 사업으로서 회사 매출의 절대적 비중을 차지합니다. 이외 전국에 약 6만 명의 의사와 1,400개 이상의 의료시설을 직접 운영하고 있으며 병원, 보험사, 정부기관, 제약회사에 의료 데이터 분석, IT 솔루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수익을 창출합니다. 그리고 약 6,700만 명의 처방전을 관리하며 전국 67,000개 약국 네트워크를 운영합니다. 제약회사와 보험사 사이에서 약가 협상, 리베이트 관리, 처방전 관리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즉 의약서비스와 관련된 종합헬스케어 회사로 보시시는게 정확합니다.
Q. 금리인하는 배당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나요? 아니면 부정적인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금리인하는 일반적으로 배당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가장 중요한 요소는 상대적 매력도 급증이 가장 직접적인 효과입니다. 금리인하로 국고채나 은행 예금의 수익률이 하락하면, 배당주의 상대적 매력이 크게 증가합니다. 이외 기업의 재무비용 절감 효과는 특히 부채비율이 높은 배당주에서 두드러집니다. 차입금리 하락으로 이자비용이 줄어들면 순이익이 증가하고, 이는 배당 여력 확대로 이어집니다. 특히 시중 유동성 증가로 인한 자금 유입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금리인하는 통상 통화량 증가를 동반하며, 늘어난 유동성의 상당 부분이 수익률을 찾아 고배당 섹터로 몰리는 경향을 보입니다. 유동성 증가는 주식시장 전반적으로 멀티플을 올리는 요소이기도합니다. 특히 섹터중에서는 리츠는 최대 수혜 섹터입니다. 높은 부채비율로 운영되는 리츠는 차입금리 하락의 직접적 혜택을 받기 때문이며 배당금을 올릴수있는 요소이기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