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전문가입니다.

배현홍 전문가
이상그룹 경영기획실
Q.  코인, 주식 상승장에서 포모를 참는 요령같은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포모를 참는 요령은 평소에 자기만의 매매방식 즉 매수와 매도에 대해서 명백하게 정하고 여기에 따라야 합니다. 그리고 감성에 전혀 휘둘리지 않고 이런 규칙을 각인을 시켜놔서 원칙대로 하는게 중요합니다. 그리고 일반인들이 가장 실수하는것이 매수만 정하며 매도시점은 전혀정하지 않습니다 즉 매수하기 이전에 명확한 매도를 정해야 합니다 예를들어 스캘핑이라고 한다면 1%의 수익을 원해서 매수했다면 손절도 1%의 범위로 정해서 1% 손실이 나기 시작하면 손절을 한다라는 명백한 기준을 매수이전에 정해야 한다는점입니다. 밸류에이션 투자로 매출총이익률 60%기준으로 설정해서 매수했다면 분기별 실적을 체크해서 이번 실적에서 50%대로 미끄러지면 이것도 매도사인으로 해야한다는점입니다. 이런 명확한 기준을 매수이전에 정하고 원칙대로 하도록 메모나 평소 각인을 시키도록 습관화를 해야합니다
Q.  알트코인은 앞으로 전망이 어떻게 될까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알트코인은 99%가 장기적으로 전망이 좋다고 볼 수 없습니다. 올해만 보시더라도 비트코인이나 일부 메이저 알트코인을 제외하면 지속적으로 장기 우하향하는 차트를 보이며 크게 상승을 하더라도 비트코인이 횡보를 하면 다시큼 크게 조정을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말은 알트코인은 순전히 개인들만 거래하는 시장인게 문제입니다 즉 새로운 수요가 창출되지 않고 그들만의 리그인 개인들만 사며 공급은 매월 수십개씩 상장이 되며 늘어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말은 지속적으로 매월 시간이 흘러갈수록 한정된 수요는 분산이 되고 공급은 늘어나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올라가기 힘든구조라는 말입니다. 거기다 작년부터 그리고 특히 올해는 비트코인이나 메이저 알트코인들 일부에 미국 월가나 주요기관들이 수급이 들어오면서 제도권 자산으로 자리잡으면서 기관 주도장세로 바뀌고 있다는점입니다. 이말은 더더욱 일반 알트코인의 전망이 좋지 않다고 볼수밖에 없습니다
Q.  배당주는 언제 사야 배당을 받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배당은 회사가 결산이 끝나고 주주총회에서 결정이후 공시를 통해서 발표합니다. 배당에 대해선 주주의 권리이며 이사회의 안건으로 주총에서 최종적으로 통과한 이후 공시를 통해서 발표하는 구조입니다. 국내의 회사 대부분은 12월 연말결산이며 결산이 끝나고 보통 주주총회가 2~3월에서 열리며 여기서 주주총회에서 안건으로 최종적으로 통과된후 배당이 발표되는 구조입니다. 그리고 보통 이 배당기준은 결산이 끝나기 이전의 주주만 해당되는 사항이며 12월 결산기업은 12월 31일까지 주주명부에 등재되어야 합니다 다만 국내에서는 T+2이라는 결제일까지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12월 31일은 휴무이므로 12월 28일전까지는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습니다
Q.  주식 매도하면 바로 현금으로 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주식의 체결일과 결제일은 다릅니다 보유중이던 주식을 매도하게 되면 이는 체결일이라고 합니다 체결일 이후 이틀이 지나야 예수금으로 들어옵니다즉 T+2일 구조이며 정확히는 체결일 이후 영업일기준 이틀이지나야 결제가 되서 현금이 들어옵니다 반대로 매수를 하게 되면 현금이 빠져나가지 않으며 이틀이 지나야 현금이 빠져나가는 구조로 이해하시면됩니다
Q.  1929년 대공황이 시작된 이유와 어떻게 종결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당시 산업혁명이후 빠르게 기술발전이 늦어지면서 똑같은 형태의 재화만 지속적으로 공급이 된게 문제이며 당시에는 생산공정으로 미국이나 유럽 주요국에서 재화의 공급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러다보니 결국 똑같은 물건만 나오다보니 수요자들이 대체수요라든지 보완재수요라든지 이런 신규수요창출이 안되면서 공급이 늘어나기 시작했고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각국가들이 관세라든지 보호무역주의로 가면서 글로벌 수요는 더 감소하고 공급만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면서 대공황이라는 사건이 터졌으며 이를 자본주의 1.0의 몰락이라고 하며 이때부터 케인즈의 정부의 개입이 들어가며 뉴딜정책으로 수요를 살리고자 하였으나 문제는 기술발전으로 현재의 이 공급의 대체재화라든지 보완재라든지 새롭게 나오지 않다보니 수요창출이 근본적으로 늘어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던것입니다. 결국 이러한 문제가 본격적으로 해결할 수 있었던것은 2차세계대전이 발발하면서 이때부터 대량으로 수요가 늘어나면서 대공황이 해결되었고 이때 군사의 기술발전으로 탄생된 여러가지 기술로 인해서 각종 가전이나 레이더장비 자동차등 혁신이 일어나면서 본격적으로 대체수요와 보완재수요가 발생되면서 시장의 수요가 다시금 수요가 살아나게되면서 대공황에서 탈피 할 수 잇었습니다
262728293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