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과·신경외과
Q. 치매 증상이 있으신 어르신들이 노인장기요양보험의 혜택을 받으려면 어찌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백승철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만65세이상 여러 질환으로 거동과 생활의 제약이 있는, 누군가의 도움이 있어야 거동하거나 식사를 할 수있는 분이거나나이 상관없이 국가에서 정해놓은 파킨슨병,치매,뇌혈관질환 등의 질병을 가진 분들은 신청가능합니다.해당자들은 국민건강보험 공단에 방문, 우편, 인터넷으로 신청하시면이후 절차는신청-방문조사-의사소견서제출-등급판정통보순으로이뤄집니다판정 등급에 따라이용하게 되는 서비스의 종류나 범위에 차이가 있습니다.(방문 요양,목욕, 간호,요양원, 주야간 시설보호등)자세한 내용은 보험공단에 문의해보세요도움이 되시면 좋겠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CT와 MRI! 선택은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백승철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CT나 MRI모두 인체 구조를 확인하는 좋은 영상장비 입니다.MRI 가 통상적으로 가장 정확한 척추나 관절의 진단 도구로 알려진 이유는 뼈 뿐만 아니라 다양한 연부조직 (근육, 인대,혈관,신경등)을 확인시 좀 더 많은 정보를 주기 때문입니다.따라서 증상과 이학적 검사후 의심되는 질환이나 검사 부위에 따라 종합적으로 판단후 적절한 검사 장비를 선택해야합니다.MRI는 방사선을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임산부도 촬영할 수 있으나, 좁은 공간에 들어가 꽤 긴시간을 촬영하기 때문에 폐소공포가 있으면 촬영하기 어렵습니다.그리고 촬영시 비용의 차이도 크고, 촬영 시간도 차이가 많이 나므로 진료시 의사와 상담 후 적절히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Q. 심장이 울컥거리는 느낌이나요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백승철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갑자기 심장에서 울컥하는 느낌이 있었다니 많이 놀라셨겠네요.흔한 가능성을 짚어보자면 심실조기수축(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이 있습니다.정상적인 전기적 신호가 도달해서 생기는 정상박동 이전에 심실에서 기원하는 신호로인해정상 박동보다 이르게 박동이 있어 울컥하는 느낌이 있을 수 있을 수 있습니다.PVC는 건강한 성인에서 흔하게 발견되는 부정맥입니다.. PVC가 발생해도 증상이 전혀 없이 모르는 경우도 있습니다 . PVC는 고령 환자, 고혈압 환자, 심장질환 환자에서 더 발생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또한 심장질환이나 고혈압이 없는 젊고 건강한 사람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건강한 무증상자라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 없으며 음주, 금연, 충분한 휴식등을 권합니다.질문자께서는 가슴이 울컥거리는 증상과 불안 및 숨쉬는게 곤란한 증상이 있으므로 반드시 심장내과(순환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상기 설명은 흔한 부정맥 한가지를 설명한 것일 뿐 질문자의 심장 울컥거림의 이유를 찾기위해 경우에 따라서는심장 박동을 모니터링 한다든지, 심초음파를 시행하는 등의 추가 검사를 요할 수 있습니다.전문가와 상담해보세요.# 참!! 건강검진 상에서는 알 수가 없는 종류의 질환이므로 따로 진료를 받아보세요. 통상적인 건강검진은 기본적인 선별검사 위주로 되어있어서 해당 주증상에 대한 평가로는 부적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