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류와 교류의 가장 차이는 무엇이 있나요? 그리고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어떠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직류와 교류의 차이점, 그리고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에 대한 개념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드릴게요.직류(DC) : 한 방향으로 만 흐느는 전류로, 극성이 고정되어 있습니다. 건전지, 휴대폰 배터리 등이 대표적입니다.교류(AC) :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며, 극성이 없습니다. 우리 일상에서 사용하는 대부분의 전기는 220V 교류입니다. 극성이 없는 전류 : 교류는 방향이 계속 바뀌므로 극성 개념이 없고, 직류는 +,- 극성을 구분해야 합니다.극성 구분이 필요한 이유 : 직류 회로에서 극성을 바꾸면 회로가 작동하지 않거나 고장이 날 수 있습니다. 정리해 보면, 직류는 한 방향으로 흐르고 극성을 구분하지만, 교류는 방향이 바뀌므로 극성이 없으며, 우리가 쓰는 가정용 전기는 교류입니다.
Q. 금은방 하시는 분들은 바로바로 금을 구별할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금은방에서 일하는 분들이 금의 진위와 순도를 빠르게 판단하는 방법에 대해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각인확인 : 금 제품에는 일반적으로 순도를 나타내는 각인이 있으며, 예를 들어 24K, 18K, Au999등이 있습니다. 또한 GF, GP,GE와 같은 각인은 도금 제품을 의미합니다. 자석 테스트 : 금은 비자성이므로 자석에 붙지 않습니다. 자석에 붙는 다면 금이 아닐 가능성이 높습니다.산성 테스트 : 특수한 산성 용액을 사용하여 금의 반응을 확인합니다. 진짜 금은 산에 반응하지 않지만, 가짜 금은 변색되거나 거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밀도 측정 : 금의 밀도는 약 19.32g/cm^3로 물에 담가 부피 변화를 측정하여 밀도를 계산하면 진위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XRF 분석기 사용 : X선 형광 분석기를 통해 금의 구성 요소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으며, 비파괴적인 방법입니다.
Q. 기가인터넷 커뮤니티 괜찮은 곳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인터넷에서 찾아보니 아래 3곳 정도가 괜찮은 것 같습니다. 클리앙 "인터넷 회선 포럼 " : 국내 유명 IT 커뮤니티로, 인터넷 회선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경험을 공유하는 포럼뽐뿌 "인터넷/TV" 게시판" : 인터넷 및 TV 서비스에 대한 프로모션 정보와 사용자 후기를 활발히 공유하는 게시판네이버 카페 "통신나라" : 통신 서비스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경험을 공유하는 카페저는 위 카페, 포럼과 아무 상관이 없으며, 질문 주셔서 검색을 통해 확인해 보고 답변 드립니다. 둘러 보시고 개인의 취향에 맞게 선별해서 가입 활동 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Q.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서울까지 가는데 얼마 정도 소실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구본민 박사입니다.전기 에너지가 장거리로 이동할 때 손실이 발생한다는 점에 궁금해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거 같아요. 전라남도에서 서울까지 전기를 송전할 경우, 어느정도의 손실이 발생하는지 간략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전력 손실률 : 한국전력공사의 자료에 따르면, 전체 송배전 과정에서 전력 손실률은 약 3.5% 수준입니다. 송전 손실 : 송전 과정에서 손실률은 약 1.6%로, 고전압 송전망을 통해 전력을 장거리로 이동시킬 때 발생합니다.배전 손실 : 배전 과정에서의 손실률은 약 2.0%로, 송전된 전력을 지역별로 본배하는 과정에서 발생합니다. 거리와 손실의 관계 : 전라남도에서 서울까지의 송전 거리는 약 300km 이상으로, 장거리 송전 시 손실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