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경제를 이야기할때 거시경제라는 말을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미시경제학이 가계·기업·정부 등 개별 경제주체의 선택에 대해 논의하는 학문이라면, 거시경제는 국민경제 전체의 관점에서 국민소득·소비·저축·투자·물가·실업·경기변동·경제성장·환율 등의 개념을 총량의 시각에 따라 분석하고 논의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미시경제학에서는 개별 경제주체의 행동과 선택을 가격을 중심으로 분석하지만, 거시경제학에서는 국민경제 전체의 총량개념의 주목하므로 국민소득이 주된 분석의 중심개념이 됩니다.미시경제 요소들이 모여서 거시경제를 형성하므로 미시경제학은 거시경제학을 이해하기 위한 이론적 기초가 됩니다. 거시경제학의 하위 분야로는 화폐금융론, 국제금융론, 국제무역론, 경제성장론, 경기변동론, 경제정책론 등이 있습니다.
Q. 금본위제라는것은 무엇인가요? 무슨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금본위제란 중앙은행이 화폐 제도의 기초가 되는 화폐의 단위를 일정량의 금의 가치와 연동되도록 운영하는 화폐 제도를 의미합니다. 19세기 중엽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영국 중심의 고전적 금본위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1970년대 초반까지 유지되었던 미국 중심의 고정 환율제(브레튼우즈 체제)가 근현대 시기의 금본위제의 사례입니다.현재에는 전세계 GDP가 지구 전체의 금 매장 추정량의 가치보다 크고, 생산된 금의 10% 가량이 원자재로 쓰이기 때문에 금본위제의 시행이 불가능하므로 현재에는 실시하고 있는 나라가 없습니다.금본위제의 장점으로는 안정적 통화수급으로 인한 물가의 안정, 고정환율제도 하에서의 환위험 감소, 자유무역체제 하의 금본위제에서 세계 각국의 무역수지와 재정수지의 균형 담보, 외부에서 오는 경제적 충격에 대한 안정성 등이 있습니다. 반면 금본위제의 단점으로는 기술발전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이 금의 채굴속도를 상회하는 경우 디플레이션이 유발되어 화폐 공급이 불안정해지므로 경기변동에 대응하는 통화정책이 사실상 불가능해지는 점, 여러 나라에서 금본위제를 시행하는 경우 한 나라에서의 내부적 경제충격이 그대로 다른 나라에 전달되는 점, 각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물가조절이 아닌 금 확보에 초점을 두게 되어 중상주의에 매몰되어 제로섬 게임 형식의 국제갈등을 초래한다는 점, 경제규모의 성장속도에 비해 금의 매장량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 등이 꼽힙니다.
주식·가상화폐
Q. 애널리스트는 어떻게 되는것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승도 경제전문가입니다.애널리스트란 증권사, 경제연구소 등에서 경제와 금융시장, 산업, 기업 등을 분석하는 사람을 지칭하는데, 보통은 증권사의 리서치 부문에 소속된 연구원을 말합니다. 증권사 애널리스트가 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 번째 방법은 증권사 리서치부문으로 입사하는 것입니다. 입사 후, RA(연구보조원)으로 시작해서 실력을 쌓아서 담당 영역을 가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두 번째는 각종 연구소나 기업에서 연구 또는 실무를 담당하다가 증권사로 이직하는 방법입니다.애널리스트가 되기 위한 별도의 정규 교육과정은 없습니다. 애널리스트에 적합한 주요 전공으로는 경영이나 경제, 회계, 통계, 금융 등의 관련 학과가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애널리스트는 재무관리, 투자론, 파생상품론, 재무제표 분석론, 회계학, 통계학, 경제학, 국제경제학 등의 전문 지식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