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이원복 화백의 먼나라이웃나라는 현재 어느나라까지 나왓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스페인편이라면 13년에 나온 것이군요그 후로도 쭉 나오고 있었습니다잠깐 가로세로세계사 라는 다른 시리즈를 시도했었지만 개정하면서 그냥 먼나라 이웃나라에 편입되었고그후로도 러시아(20년) 인도(22년)가 출간되었습니다최신작은 올해 출간 된 아프리카편이며 그 다음 내용으론 스칸디나비아를 생각중이라고 합니다
문학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물건의 값을 깎을 때 쓰는 말인 ‘에누리’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에누리'가 처음 문헌에 등장한 건 1895년 '국한회어'입니다.에누리는 잘라내다 등의 뜻을 가진 옛말 '어히다'에서 변형된 에다'의 '에'와 늘리다의 '늘이'가 변형된 접미사 '누리'가 합쳐진 것입니다원래는 사정에 맞춰 가격을 조정한단 뜻이었기 때문에 가격이 올라가기도 하고 내려가기도 했지만현재에는 값을 깎는단 뜻으로 더 많이 쓰입니다
문학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학력이 없어도 문학이라는것도 만들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문학의 범위는 생각보다 훨씬 넒습니다친구에게 보내는 카톡부터 노래 가사까지 글로된 것이라면 모두 문학입니다학문적 연구를 목표로 한다면 당연히 앞선 선인들의 연구와 논문 형식을 배워야 겠지만그냥 글로 작품을 만들겠단 것이라면 학력은 굳이 필요 없습니다.물론 "사람들이 읽기 편한 방식"이라는 의미에서 맞춤법 정돈 지키는 것이 좋고여러 작문요령들을 굳이 안쓸 이유는 없지만모두 컴퓨터 프로그램이나 독학으로 채울 수 있죠학력보다 중요한 것은 날카로운 아이디어와 그것을 표현할 수 있는 필력 입니다
문학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사람의 몸을 번쩍 들어 자꾸 내밀었다 들이켰다 하는 일을 뜻하는 ‘헹가래’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순우리말인 행가래는 예전에 여러 명이 힘을 합해 사용해야 하는 '가래'라는 옛농기구 에서 유래했습니다가래는 협동력이 중요한 도구였기 때문에 일하기전에 미리 연습해보는 것을 '가래질'이라 했으며이런식의 협동작업을 헛가래, 허영가래등으로 부르다 앞글자가 행으로 단순화된 것이라 합니다흥부전에도 허영가래라는 단어가 나옵니다
문학
2024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현진건의 운수좋은날에서 공간적 배경은 어디를 나타낸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배경은 1920년대의 경성부입니다일제강점기 시대에, 도시의 가난한 하층 노동자인 김첨지의 모습을 그리고 있습니다운수좋은날은 저작권이 만료된 단편 소설이라 인터넷에서 쉽게 보실 수 있습니다
111
112
113
114
1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