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4년 6월 22일 작성 됨
Q.
생물인류학자와 문화인류학자는 어떤방식으로 연구하고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각각의 이름 그대로 라고 할 수 있습니다생물인류학자는 "생물"로써의 인간을 탐구합니다각 인종의 진화과정같은 것을 탐구합니다생물학 전공 과학자의 일종입니다문화인류학자는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를 탐구합니다고고학, 역사학 등 흔히 생각하는 역사연구가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문학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신체시는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새로울 신新몸 체體시 시詩새로운 형식의 시라는 뜻의 단어입니다개화기 시기 고시가, 창가등의 고전적인 형식을좀 더 근대시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정형적인 운율에서 벗어나 산문적인시도를 한 시기를 뜻합니다일본 메이지 시대의 신체시초 라는 책에서 유래했습니다
문학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고전 문학 작품을 쉽게 이해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간단한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수능은 힘들고 부담된다. 이건 한국인이라면 상식이죠?하지만 세상엔 수능같은건 없는 나라가 더 많습니다학생이 시험잘보라고 전국에서 일을 안하는 수능의 굉장함은따로 설명하지 않으면 외국인은 알기 어렵겠죠외국은 지리적으로 먼 곳이라면, 고전은 시간적으로 먼 곳에서 쓰여진 책입니다그렇기 때문에 글이 쓰여졌을 때는 상식이던게 지금은 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모르는 지식이 된 것입니다그래서 사전조사를 하면 고전을 읽을때 도움이 됩니다
문학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자녀중 딸을 이야기할때 “딸아이”라는 표현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아들아이란 표현은 있습니다. 자주 쓰이지 않을 뿐이죠언어의 변천에는 많고도 무작위적인 이유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정확한 변화과정은 누구도 알수 없겠지만한국어의 경우 주로 "어감이 나쁘다"같은 이유가 흔합니다아들아이라고 하면 아들아이 로 아 가 겹치니까요
문학
2024년 6월 21일 작성 됨
Q.
감정이입과 객관적 상관물의 차이는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객관적 상관물은 화자의 특정 감정을 부르는 계기가 되는 거고감정이입은 대상의 감정과 화자의 감정이 같은 상태를 뜻합니다예를들어새가 한마리 날아다니는 것을 보고 외로움을 느낀다하면 이건 객관적 상관물입니다새는 그냥 날아다닐 뿐인데 이런 "사실" 을 보고 화자가 제멋대로 느낀거니까요하지만 혼자 나는 새가 얼마나 외로울지 묘사한 다음 나도 비슷하다 라고 하면이건 감정이입이죠포인트는 바로 "의인화"입니다대상이 자동차던 외계인이던 인간과 비슷한 감정을 느낄거 같다고 표현되면 감정이입이 되는거에요
196
197
198
199
2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