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문학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

생물인류학자와 문화인류학자는 어떤방식으로 연구하고 차이가 있나요

인류학자는 크게 보면 생물인류학자가 있고 문화인류학자가 있는데요

이들 인류학자는 어떤방식으로 연구하고 차이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인류학은 세계의 여러 문화를 비교연구하는 문화인류학 (cultural anthropology), 인간의 진화와 생물학적 측면을 다루는 생물인류학 (biological anthropology), 문화유적을 다루는 고고학 (archeology), 의사소통의 맥락을 다루는 언어인류학 (linguistic anthropology)으로 나뉩니다. 이러한 분류는 연구 대상의 종류에 의한 분류 체계 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각각의 이름 그대로 라고 할 수 있습니다

    생물인류학자는 "생물"로써의 인간을 탐구합니다

    각 인종의 진화과정같은 것을 탐구합니다

    생물학 전공 과학자의 일종입니다

    문화인류학자는 인간이 만들어낸 문화를 탐구합니다

    고고학, 역사학 등 흔히 생각하는 역사연구가들이 여기에 해당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생물인류학은 인류학의 한 분야로 사람을 사람으로 규정짓게 하는 생물학적인 특징에 초점을 맞추어 사람이 언제, 어디서 생겨나서, 어떻게 진화해왔는지 그리고 동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는 어떠한 생물학적, 행동학적 특징이 있는지를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생물인류학에서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이론은 진화생물학입니다. 생물인류학에서 주로 던지는 질문은 이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서로 다른 환경에 사는 사람들의 신체적 특징이 어떻게 다른지 사람들의 행동양식이 환경적 요인에 의해 어떻게 달라지는 지 등과 같은 것입니다. 생물인류학에서는 동물인 영장류(원숭이, 유인원) 그리고 화석이나 뼈의 형태로 발견되는 고대 인류도 연구대상에 포함시킵니다.

    반면 문화인류학은 인류의 생활 및 역사를 문화면에서 실증적으로 추구하는 인류학의 한 부문입니다. 인류가 걸어온 역사와 현존의 인류가 만든 결과물을 대상으로 문화를 관찰, 분석하고 그것을 종합하여 문화의 법칙성 또는 규칙성과 변이를 탐구하는 학문입니다. 방법론으로는 문화진화론, 문화전파론, 문화기능론, 문화구조론 등이 있습니다. 근대사회 문화를 담당하는 사람들과 역사적인 문화와 현재의 모든 문화가 그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생물인류학은 자연과학의 연구결과를 활용하고 과학적 탐구방법을 이용하여 사람들의 삶을 설명하려 했다면 문화인류학은 역사학, 고고학, 문헌정보탐색 등의 학문들의 연구방법으로 사람들의 삶을 연구하고자 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