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시는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국문학의 역사를 배울 댸 신체시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근데 문학초기에 지어진 것이라고 하는데 신체시는 정확히 무엇을 가리키는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신체시는 근대전환기 시가의 한 유형입니다. 근대시로 연결되는 과도기적인 시가 형식으로 신시가, 신체시가라고도 합니다. 애국가 유형, 개화가사, 창가 등과 함께 개화기시가의 한 유형으로 보고 있습니다. 신체시는 새로운 형식의 시라는 뜻으로 창가가 조선시대 가사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면, 신체시는 서구의 근대시의 이미지와 형식을 이어받는 현대 자유시의 형식에 가깝습니다. 최남선의 '구작삼편'과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최초의 작품이며 1908년부터 1918년 사이에 발전한 시의 갈래입니다. 사람들에게 새로운 사상을 알리고 계몽시키겠다는 의도가 강한 작품들이어서 본래 시의 문학적인 성질이 강하게 드러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신체시는 사실 일본식 용어 입니다. 개화기 시가의 한 유형으로 한국 근대시에 이르는 과도기적인 형태로 신시라고도 gksmsep 고시가나 애국가 유형, 개화가사 및 창가에 대한 새로움의 의미를 나타내는 용어dlsep 일본의 『신체시초』(메이지 15)에서 메이지시가(明治詩歌)의 한 종류를 지칭하는 용어를 그대로 차용해서 쓴 것 입니다. 최남선의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그 처음으로 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새로울 신新
몸 체體
시 시詩
새로운 형식의 시라는 뜻의 단어입니다
개화기 시기 고시가, 창가등의 고전적인 형식을
좀 더 근대시에 가깝게 만들기 위해
정형적인 운율에서 벗어나 산문적인시도를 한 시기를 뜻합니다
일본 메이지 시대의 신체시초 라는 책에서 유래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