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ㄷ'소리받침을 어떤 경우에 ㅅ 내지 ㄷ으로 써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거꾸로 외우시는게 편할 듯 합니다ㄷ으로 소리나는 받침(ㄷ,ㅅ,ㅆ,ㅈ,ㅊ,ㅌ,ㅎ)은 일부 예외를 제외하면 전부 ㅅ으로 표기됩니다예외적인 경우는 세가지로원래 'ㄷ' 받침인 경우:기본단어 자체가 'ㄷ' 받침을 가지고 있는 경우 입니다.첫째를 뜻하는 '맏'(맏아들, 맏이 등)지금즉시를 뜻하는 곧 (곧이, 곧장 등)등이 해당됩니다'ㄹ' 소리 받침이 결합하여 'ㄷ' 소리가 되는 경우'숟가락' (술+가락), '사흗날' (사흘+날), '이튿날' (이틀+날)처럼'ㄹ' 로 읽던 글자가 다른 단어와 결합하면서 'ㄷ' 소리가 나는 경우입니다.준말이 되면서 받침이 생긴 경우도두보다->돋보다 디디다->딛다등이 해당됩니다
Q. 중국어의 성조인 4성 체계와 한시의 평측 체계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아마 고대와 현대의 중국어 사성체계 비교를 질문하고 싶으신 듯 합니다한시의 평측은 고대 중국 사성을 평과 측 둘로 나눈 다음각각을 시에서 사용하는 규칙을 정한 것이기 때문에음의 높낮이 자체에 대한 규칙은 아닙니다고대 중국의 사성은평성 (平聲): 길고 평탄한 소리입니다.상성 (上聲): 낮게 시작했다가 올라가는 소리입니다.거성 (去聲): 높고 분명하게 시작하여 짧게 내려가는 소리입니다.입성 (入聲): 짧고 급하게 끊어지는 소리입니다으로 나뉘어 지고현대 사성 체계는제1성 (음평성, 陰平聲): 높고 평탄한 소리를 길게 냅니다.제2성 (양평성, 陽平聲): 중간 높이에서 시작하여 위로 쭉 올라가는 소리입니다.제3성 (상성, 上聲): 낮게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오는 소리입니다.제4성 (거성, 去聲): 가장 높은 곳에서 아래로 뚝 떨어지는 소리입니다이렇게 나뉘어 지는데보시다시피 상성과 거성은 고대에서도 이미 쓰이던 분류를 그대로 활용한 것입니다고대입성은 소멸되어 다른 음에 흡수되었고대신 평성을 둘로 쪼갠 것이 현대의 사성인 것이죠
Q. 러시아에서만 볼수 있는 대표 예술과 문학작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우선 러시아 음악이 매우 유명합니다차이콥스키, 라흐마니노프, 스트라빈스키 등의 클래식 음악은 서양에서도 걸작으로 평가 받고민요는 테트리스의 브금으로 유명하고[백만송이 장미]도 소련시절 가요의 번안곡이죠그 다음은 볼쇼이/마린스키라는 양대 발레단이 모두 러시아에 속해 있죠마트료시카, 부활절달걀, 이콘 등의 예술작품도 있구요문학 적으로도 매우 많은 작품들이 있지만 역시 도스토옙스키, 톨스토이 두사람은 노문학에 대해 말할 때 절대 빠질 수 없습니다도스토옙스키는 [죄와벌], [카라마조프 가의 형제들[] 같은 일반인의 극한 상황속 심리를 생생히 표현했고톨스토이는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리나] 같은 명작 장편들은 물론[바보이반]이나 [사람은 무엇으로 사는가] 처럼 기독교적인 동화들을 많이 만들었습니다
Q. 영화 에일리언에 등장하는 외계생명체의 모티브가 된 작품과 작가는 왜 그런 작품들을 만들었나?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에일리언의 설정, 디자인은 스위스의 화가 H. R. 기거가 만든 것 입니다기거는 러브크래프트, 프란츠 카프카, 프로이트 등 심리학적인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의료계 종사자 였던 아버지와 불횅한 결혼생활을 여기에 섞어여성+뼈+악마 라는 모티브를 매우 자주 쓰는 화가 입니다러브크래프트의 작품세계에 관한 내용은 여러 학자가 논문으로 만들 정도로 매우 자세하게 밝혀져 있지만요점만 정리하자면부유한 가문에서 태어나 문학적 소양을 어릴 적 부터 길렀지만계속되는 가족들의 죽음과 청년기에 찾아온 대공황으로인한 불행그리고 억지로 도시에서 살다가 생긴 인간혐오가 맞물려그러한 글을 쓰게 되었다고 합니다시골 부잣집 아들이었던 그에게 가난한 도시인 생활은 이해가 불가능한 것이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