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와 <우리들>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우리'와 '우리들'의 의미의 차이는 전혀 없으며 뉘앙스의 차이조차 존재하지 않습니다뭔가 차이가 있다면 운율의 차이 정도가 있겠죠이는 복수접미사인 '-들' 이 비교적 최근에 한국어에 편입되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대 문학에서 디스토피아 소설이 사회 비판적 기능을 수행하는 방식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문학의 기본적인 기능 중 하나는 작가가 생각하는 어떠한 문제에 대한 표현입니다.디스토피아는 이런 소설의 기본적 기능을사회적 모순이나 극한 상황에 처한 개인의 심성 등에 사용한 것이죠.현실의 문제적 요소를 극단적으로 강조한 부정적인 가상사회를 통해서,독자에게 문제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장르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연필을 세는 단위를 다스라고 하는데, 타가 바른 말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 다 맞습니다'타'와 '다스' 모두 12개 묶음을 뜻하는 영어 '더즌dozen'의 발음이 와전되어 탄생한 단어입니다.원래는 다스가 더 자주 쓰였지만 이것른 일본 유래이기 때문에 요즘 교과서에서는 한자어인 '타'가 쓰이는 상황 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말의 뜻이 이게 맞을까요? 전문가분들 봐주세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국문학적, 다시말해서 사전적 정의로 따지자면 질문자분의 말씀이 맞습니다만그런 학문적인 영역과 실제 활용이 전혀 다른 경우는 적지 않습니다.다시말해서, 법이나 회사의 관습등다른 분야에서는 담당자와 관리자는 다르다고 판단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이런 경우라면 해당 분야의 토픽으로, 앞뒤 상황을 보충해서 다시 질문하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왜 한번 같은 작품에 나왔던 배우들은 나중에 또 같이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이것은 문학적 질문은 아닌 듯 해 답변이 점 허술 할 수 있다는 점 양해 바랍니다.결론부터 말해서,마케팅효과 때문입니다.꾸역꾸역 같이 나오는게 아니라같이 나오면 그걸 크게 광고하기 때문에 알기 쉬운 거죠 .전혀 상관 없는 새로운 시리즈에"마블 제작진" 이 어쩌구 하거나수상경력을 대문짝 만하게 포스터에 넣는 것 처럼과거 어느 작품에서 성공적인 케미를 선보인 배우들이 또다시 같이 출현 한다는 것은훌륭한 광고가 되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외국인들의 시선에서, 한글은 어떤 난이도 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한[글] 은 매우 쉽습니다.아프리카 몇몇 국가에서 공용어로 한글을 사용하거나당장 이번에 X에서 인도네시아 분들이 정부 검열에 반대하는 의미로한글을 써서 대화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죠."지혜로운 자는 하루아침에 배우고 어리석은 자라도 열흘이면 익힐 수 있다는 옛말이 괜히 나온게 아닙니다하지만 만약 한국[어]를 물어보신 거라면무지막지하게 어렵습니다. 입문하는 것 자체는 한글 덕분에 쉽지만맞춤법,존댓말 등 예외사항이 많은 문법때문에 완벽해 지는 것은 거의 불가능 하다는 평가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노벨 문학상 올해는 누구로 예측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노벨상에 대한, 특히 문학상에 관해서는 예측이 거의 불가능 합니다당장 한강작가님도 당시엔 주요 후보는 커녕 후보조차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매우 '흥미로운'결과 였어요.오랜기간 검증을 마친 연구결과를 논문으로써 발표한 다음그 여파를 한동안 관찰해서 뽑는 다른 이과계열 상들과 다르게문학상과 평화상은 객관적인 비교가 힘든 분야니까요.물론 '서양위주의 수상에 대한 비판여론' 이라던가'같은 성별이 연속 수상하지 않는 최근의 경향' 이라던가이런 징크스 적인 것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확정적인 규칙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사람이 죽으면 키웠던 반려동물이 저승에서 마중 나온다는 이야기의 출처는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죽었을때 먼저 죽은 존재가 마중을 나온다, 즉 사후세계라는 개념 자체는머나먼 선사시대 때 부터 존재한 개념이기 때문에정확히 언제 누가 만들었는지 알 수 없습니다다만, [사람이 죽으면 먼저 가 있던 반려동물이 마중나온다는 얘기가 있다.나는 이 이야기를 무척 좋아한다.]이 인터넷 밈이 된 문장은 2014년 6월 19일에 웹툰 옹동스의 11화에서 나온 것입니다https://page.kakao.com/content/46609100/viewer/46702940
문학
문학 이미지
Q.  그 소리나는대로 쓰는 걸 뭐라고 하죠ㅠㅠ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소리나는 대로 글씨를 쓰는 것은 표음주의 입니다.죄송하지만 설명하신 내용으로는 표음주의 말고 다른 답변을 떠올리기 힘들군요.발음=소리내는 방식 이니까[소리나는대로 발음] 이란 문장은 동어 반복입니다.아마 이부분이 문제인 듯 하네요일단은 발음에 관한 정보를 하나 드리자면하나의 글자가 여러 가지 소리를 내거나, 다른 글자가 같은 소리를 내는 경우를 위해발음만을 표현하기 위한 기호, 발음기호가 존재하는데제일 대표적인 발음기호는국제 음성 기호(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IPA) 입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상사병이라는 말은 어떻게 생겨난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한자 '相(서로)思(생각할 사)'를 써서 직역하면 서로 그리워하는 병 이란 뜻의 단어입니다.전설에 따르면 중국 춘추 시대 송나라 시절강왕의 모략으로 어느 부부가 죽은 후, 부부의 무덤에서 각각 자라난 두나무가 서로를 향해 가지를 뻗고나무위에는 한쌍의 원앙새가 앉아 서로 목을 안고 슬피 울기 시작했는데그것을 본 사람들이 부부가 서로를 생각하는 마음이 얼마나 강했는지 알 수 있다며그 나무를 상사수(相思樹)라 부른 것에서 '상사=사랑'이라는 뜻이 되었다고 전해집니다.그러나 사람이 긍정적 뉴스보단 부정적 뉴스에 관심을 가지는 것 처럼사랑에 관한 설화중에도 상사뱀 설화 종류 같은 이뤄지지 않는 비극적 이야기가 많았기 때문에현재에는 상사병은 상사수의 순애가 아니라 '짝사랑'에 가까운 이미지가 되었다고 합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