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문학
2025년 4월 24일 작성 됨
Q.
감각 경험만으로 완전한 지식을 얻기 어렵다고 주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인간의 감각과 기억력은 생각보다 허접합니다감각에는 착시효과기억에는 만델라 효과라는 알기쉬운 예시가 있죠또한, 세상의 모든 것을 경험하는 것도 불가능 합니다헴펠의 까마귀(단 한마리의 하얀 까마귀가 "모든 까마귀는 검다는 명제를 반박함")가 대표적인 사례죠그렇기 때문에 어설프고 불완전한 감각 경험이 아닌정보를 올바르게 입력했다면 반드시 올바른 답이 나오는이성적 사고가 더 중요한 것입니다
문학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했다고 하는데 '선종'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선종(善終)은 선할선, 끝 종자를 쓰는 카톨릭 단어 입니다이탈리아의 선교사 로벨리가 1652년 베이징(北京)에서 간행한 한문 교리서 '선생복종정로(善生福終正路) 에서 유래한 단어이며임종 때에 종부성사를 받아 큰 죄가 없는 상태에서 돌아가는 복된 죽음을 의미합니다
문학
2025년 4월 22일 작성 됨
Q.
왜래어와 차용어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외래어 중에서도 한국어에 상당한 수준으로 동화가 이루져서 굳이 한국어로 대체할 생각이 들지 않는 단어를 차용어 라고 합니다예시: 플라스틱,패션,니코틴 등여기서 더 나아가따로 공부하지 않으면 그냥 한국어라 생각하는 단어를 귀화어 라고 합니다예시: 붓, 빵, 담배 등
문학
2025년 4월 21일 작성 됨
Q.
자기 객관화가 여성에게 더 강하게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이 질문은 심리상담 토픽에 더 맞는 듯 합니다그래서 제가 잘 답변 드릴 수 있을 지 모르겠습니다만일단 제가 알기론 그런결과가 나온 연구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오히려, 자기 객관화는 이성적인 능력이 필요한 행위이고여성의 강점은 감성적인 공감능력이기 때문에객관화를 잘 할 수 없다는 주장은 종종 봤습니다만결국 "경향"의 문제지 절대적 규칙은 아니기 때문에자기 객관화는 성별과 무관하게 개개인의 성격적 특징에 영향을 받는 것이 맞을 듯 합니다
문학
2025년 4월 19일 작성 됨
Q.
소설 사건 추천해주세요 많을수록 좋아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복선이 충분이 있다면 감전사부터 지구 폭발까지 무엇이라도 소설에 나올 수 있습니다하지만 저런 극단적인 경우는 들키지 않게 복선을 넣기 힘들기 때문에주요인물이 사망할 때는 갑작스런 병이나 사고사로 처리하는 것이 대부분인 것이죠이 경우, 극적인 상황이 필요하시면 그냥 증상이 심각한 희귀병을 넣으시면 됩니다증상묘사가 잔인할 수록 감정선이 고조되니까요물론 범죄에 의한 사망도 가능하지만 단순한 강도살인이면감정적으로 사고사랑 별 다를바가 없고납치,강간 쪽은 로맨스 소설에서는 쓰기 힘듭니다"상대방이 범죄자에게 무슨 일을 당했을까?"라는 생각이 들면서독자의 몰입을 깨버릴 위험이 있기 때문이죠드라마 보시면 여주인공이 납치당한 경우 대부분 금방 구출되는게 이런 이유입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