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인간의 욕구 중 중간 단계의 욕구에는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매슬로우의 욕구위계이론은 총 6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1 생리적 욕구: 의식주를 비롯한, 살아 있기위해서 필요한 욕구2 안전욕구: 생리적 욕구의 불충족을 포함한, 죽음의 위기에서 자유로워지려는 욕구3 소속감/애정 욕구: 타인과 관계를 맺는, 사랑을 나누고 싶은 욕구4 존중욕구: 내외적인 인정을 받으며 높은 지위를 원하는 욕구5 자아실현 욕구: 자신의 잠재력을 극한까지 개발해 자신을 완성하길 바라는 욕구6자아 초월 욕구: 자신조차 넘어선 다른 무언가를 만들려는 이타적 욕구(예수나 부처의 경지)이중 6번은 매슬로우가 죽기 1년전에 추가했다고 전해지며, 평범한 인간은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많은 경우에서 무시되곤 합니다매슬로우의 이론은 사람의 동기에 대한 효과적인 설명으로서 주목받으며'1,2가 물질적/ 3~6은 정신적이다' '1~4는 결핍을 채우려는 것, 5,6은 자신을 성장시키는 것'등 다양한 해석이 만들어 졌습니다하지만 과연 이 이론이 모든 이에게 똑같은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는 지에 대한 비판은 지금도 제기되고 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나는 파리의 택시기사의 저자 홍세화작가는 어떤 작품들을 썼고 무슨이유로 파리에서 살게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고 홍세화 씨는 작가이자 정치인 이셨습니다6.25당시 국군에 의해 친인척 들이 학살되었단 사실을 뒤늦깨 알게 된 이후 좌파운동에 전념했는데무역회사에 취업해 프랑스에 파견되어 있던 도중남조선민족해방전선 사건이 일어나자 그대로 망명했습니다[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가 바로 이 시절의 이야기 입니다그 후 한국과의 연이 끊기는 듯 했으나다행히 1987년 6월항쟁을 계기로 민주화의 꽃이 피면서해외투고라는 방식으로 한국과 교류하다 2002년 1월 귀국,그후 여러 정치적,문학적 활동을 하시다 2024년 4월 18일 돌아가셨습니다택시운전사 이외의 작품으로는 에쎼이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자신이 프랑스에서 냈던 기사를 묶어 번역한 책인 [진보는 죽은 사상인가]등이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현재 우리글을 한글이라고 하는데 이 '한글'이라는 말은 누가 만들었고 어떤 뜻을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이 한글이 된 것은 일제시대 때의 일 입니다1908년 주시경(周時經)을 중심으로 세워졌던 ‘국어연구학회’는 일제의 탄압 때문에 여러번 이름을 바꿨는데1913년 4월에 바꾼 이름이 바로 ‘한글모’ 이것이 최초로 기록된 [한글]이라는 단어 입니다이 한글이란 이름이 정음의 대체제로써 본격적으로 쓰이게 된 것은1927년 한글사라는 출판사에서 펴낸 『한글』이라는 7인 합동 동인지 입니다다만 누가 잡지이름을 만들었고 무슨 뜻으로 한글이라고 한 것인지는 기록이 남아있지 않습니다‘한’은 ‘하나’,‘큰’ 또는 '바르다'는 뜻을 가진 단어이며 '한민족'의 한 이기도 합니다그래서 대'한'제국도 대'한'민국도 이름에 한이 들어가는 것이죠그래서 ‘한민족의, 한국의 글’이란 의미로 한글이라고 이름 붙인게 아닐까 하는 것이 정설입니다조선이 독립국일 때에는 '국어/국문'이라고 하면 정음을 뜻했지만일제의 한민족 억압 정책 때문에 국어가 일본어를 뜻하게 되어서이를 대체하는 의미로 한문(韓文)이라 칭하려고 했고이것은 중국문인 ‘한문(漢文)’과 발음이 겹치기 때문에 문(文)을 우리말로 바꾸어한글이 되었다는 설도 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흑역사'라는 표현은 어디서 만들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흑역사의 어원은 일본애니 건담시리즈입니다.시리즈 작품중 ∀(턴에이) 건담은 다른 작품보다 한참 미래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과거의 역사를 "끔찍한 전쟁 덩어리"라고 판단해 정치적으로 묻어버렸고그것을 흑역사라고 부른다는 설정이 있습니다그것이 현재의 나무위키의 전신인 '엔젤하이로위키'를 비롯한여러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검열된것, 알리고 싶지 않은 것 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되었으며점차 대중화 되었습니다그 결과 2010년대 무렵엔 아예 공중파 방송에서도 이 단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현재에는 다큐멘터리나 정치계에서도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우리나라에서는 어떻게 '요단강을 건너다'라는 죽음을 의미하는 표현이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서양에도 그 문장 자체는 있습니다. 성경에 적혀있는 것이니까요성경에서 '요단강을 건너서' 약속된 축복의 땅인 이스라엘로 돌아가는 장면이 있어요하지만 동양에선 그런 축복의 땅은 실존하는 곳이 아니라 천국=사후세계 이며"삼도천을 건넌다"는 죽음을 뜻하는 강에 관한 표현이 이미 있기 때문인지장례식에서 부르는 찬송가에 요단강 언급이 많아서삼도천이 그대로 요단강으로 바뀌어 쓰이게 된 것이라고 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