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서호진 전문가
협성대학교
문학
문학 이미지
Q.  식당 차림표를 'menu'라고 부르는데 어디에서 유래한 단어이고 이게 지금의 의미로 영어에서 쓰이기 시작한 건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라틴어로 작게 만들어 진것 이란 뜻의 "minutus"->프랑스어 menu de repas(식사의 요약=식사스케쥴)-> 영어 menu(차림표->세부사항)이런 유래라고 합니다영어로 차림표란 의미로 쓰여진 것은 1830년대 부터라고 전해지며이것이 컴퓨터가 개발 된 후인 1970년대 부터'필요한 것이 모여있는 창=세부사항 목록'이란 뜻으로도 쓰이게 되었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문학 작품을 상호텍스트적 맥락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이란 어느 한 문학 텍스트가 다른 문학 텍스트와 맺고 있는 상호 관련성을 뜻합니다쉽게 말해서, 세상 모든 글들은 자기가 알아서 만들어진게 아니라작가가 뭔가 다른 글을 읽고, 과거의 글을 교육받으면서 만들어지는 것이기 때문에모든 글(텍스트)들은 다른 작품과 서로(상호) 연결되어있다는 것이 바로 상호텍스트 입니다이에 따라서, 뭔가 글을 읽을때 이것이 다른 글과 어떤 식으로 이어져 있는 것인지 이해하는 것이바로 상호텍스트적 맥락에 따른 이해 입니다.쉬운 예시로어느 SNS에 'xxx(유명연예인)망했다ㅋㅋ' 같은 글이 올라왔는데그날 아침에 그 연애인이 체포되었단 속보가 올라 왔었다면그 기사를 읽은 사람이라서 저런 SNS를 쓴 것이라는상호텍스트 적 맥락을 알 수 있죠
문학
문학 이미지
Q.  빵은 포르투갈어라고 하던데 언제 우리나라에 들어온 단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16세기 일본이 포르투칼과 교류하면서 Pão를 パン으로 발음하며 받아들이기 시작했고(포르투칼어의 어원은 라틴어 'panis' 라고 합니다)이것이 그대로 한반도로 전파된 것입니다참고로 빵의 영어 단어인 'bread'가 전혀 다른 발음을 가진 것은게르만->독일어(Brot) 유래라서 라틴어계 발음이 아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수저계급론적인 표현은 어디에서 나온 건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수저와 삶을 비유하는 표현은 정확한 시작점을 알 수 없을 정도로 오래된 것입니다의식주는 생존의 기본욕구니까 그걸로 비교하는 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죠그래서 부자를 은수저'silver spoon'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귀족이 존재하고금과 은이 비슷한 가치가 있던 옛날의 유럽에서 부터 쓰이고 있었습니다.이 표현이 점차 확대 되 나무수저, 금수저 등 다양한 수저표현이 생겨났으며특히 1950년대 미국에서 크게 유행했었다고 전해집니다이것이 한국에 그대로 유입되어 인터넷 커뮤니티 등지에서 쓰이다가2010년무렵에 아예 '계급론' 이라며금,은,동,놋,플라스틱,흙 같은 가치순서가 만들어지게 됩니다인터넷발 밈이 대부분 그러하듯 정확한 창작 시점이나 창시자는 알기 어렵습니다
문학
문학 이미지
Q.  전영택 작가의 소설 화수분은 제목의 의미가 내용이 정반대의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둘 모두 가능한 해석입니다작가가 무슨 정답지 같은 것을 공개한 것도 아니고결국 작품을 어떻게 소화할 지는 읽는이 본인이 정할 일이기 때문입니다다만, 결말이 희망은 있지만 비극적인건 분명하다는 점과문체가 객관적인 서술 위쥐의 사실주의적 문체라는 점 때문에반어법이라는 해석이 더 자주 나오곤 합니다
31323334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