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무풍 에어컨은 어떤 원리로 시원하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날개 없는 선풍기는 겉으로 보면 제품이 간단하게 구성돼 있어 그 원리 에 대해 궁금한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의 날개는 실제로 없어진 것이 아니라 모터와 함께 원기둥 모양의 스탠드 에 숨어 있습니다. 스탠드 안을 보면 '비행기의 제트 엔진'을 연상시키 는 팬(날개)과 모터가 탑재돼 있습니다. 즉, 날개 없는 선풍기는 ‘제트 엔진의 원리'를 이용해 공기를 끌어들이는 것입니다. 제트엔진은 추진력을 얻기 위해 팬을 회전시켜 필요한 공기를 빨아들입니다. 이와 같이 날개 없는 선풍기 도 스탠드에 내장된 팬과 전기 모터를 작동하여 아래쪽으로 공기를 흡입합니다. 스탠드에서 공기를 빨아들 인 뒤 둥근 고리 쪽으로 바람을 올려 보내는 방식으로 제작된 것입니다. 둥근 고리로 이동한 바람은 고리 사 이 틈으로 빠져 나오고, 바람이 빠지면서 둥근 고리 안쪽과 선풍기 주변 공기의 압력 차이가 발생하게 됩니 다. 이 때 둥근 고리 안쪽 압력이 낮아지면서 선풍기 주변공기가 빠른 속도로 둥근 고리를 통과하며 바람이 발생합니다. 둥근 고리의 단면은 속이 빈 비행기 날개의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속이 빈 둥근 고리 내부로 밀려 올라간 공기는 고리의 구조적 특징 때문에 약 88km/h 정도로 유속이 빨라지는데요. 이 빠른 속력의 공기가 빈 고리 내부의 작은 틈을 통해 빠져나오면서 둥근 고리 안쪽 면의 기압은 낮아지게 됩니다. 이 때문에 선풍기 고리 주변의 공기는 고리 안쪽으로 유도되어 고리를 통과하고, 강한 공기의 흐름을 만들어 내는 것입니다.출처 : 경희대학교 - 날개 없는 선풍기 원리는?
Q. 컨디셔너와 같은 린스를 사용할 경우 머리결이 굉장히 부드러워지는데, 어떤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컨디셔너라는 이름보다는 린스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같은 것이다. 영어로는 Rinse라고 하지 않고 Conditioner라 한다. Rinse는 콩글리쉬이다. 트리트먼트와는 차이가 있는데 린스(컨디셔너)는 모발의 표면에 작용하고, 트리트먼트는 모발의 내부에 작용한다는 점. 린스(컨디셔너)가 모발을 통째로 코팅하는 식이라면, 트리트먼트는 손상돼서 벌어져있는 큐티클 사이사이를 메꾸는 식으로 모발을 매끈하게 만드는 식이라고 보면 된다. 결과적으로 머릿결을 '좋아보이게' 만들어준다는 점은 두 제품 모두 같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린스(컨디셔너)는 모발의 표면을 코팅하여 내부의 영양소가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작용을 한다.출처 : 나무위키 - 린스
Q. 요즘 봄철이라 달래가 몸에좋다는 말이 자꾸 들립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달래는 씨, 주아, 자구, 모구를 이용하여 번식할 수 있다. 씨는 발아력이낮아서 종구 생산용으로 이용하며 채종은 7월 파종은 7월 하순~8월 중순이적기이다. 채종은 주아가 혼생한 것보다 씨만 결실한 것이 발아가 고르고 빠르다. 실생묘는 1년간 비배한 후 6월 말경에 뿌리를 캐내어 종구로 이용한다. 주아는 종자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달래꽃이 핀후 변형된 것으로 1년간 재배한 후 종구로 이용한다.모구 주위에 모구와 같은 2∼6개의 작은 비늘덩이가 생기는데 이것을 자구라한다. 종구의 종류별 생산력은 모구의 수량지수를 100% (840kg/10a)로볼 때 자구는 43%, 주아는 3%로, 모구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좋으며 자구와주아는 1년 정도 재배한 후 모구를 생산하여 이용한다 채종시기는 6월 중순이후가 좋으나 너무 늦으면 주아가 탈립되어 채종작업이 곤란하므로 주아의 숙기를 보아 가변서 적당한 시기에 채종한다. 종구는 캐내어 1∼2일 정도 햇볕에 말린 후 바람이 잘 통하는 서늘한 곳에 겹치지 않게 펴서 저장한다.출처 : 아시아종묘 - 달래의 성상 및 용도, 재배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