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올챙이는 꼭 개구리로 변해야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올챙이는 양서강(兩棲綱) 개구리목 동물의 유생을 말한다. 도롱뇽 같은 다른 양서류도 거의 올챙이와 비슷한 모습의 새끼 과정을 거치는데 이런 경우 일상어로는 '도롱뇽 올챙이' 등으로 구분해 부르는 편이다.(출처 : 나무위키 - 올챙이) 즉 개구리목 동물의 유생을 올챙이라거 부르기때문에 모든 올챙이는 개구리가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사람이 특정 부위에 간지럼을 느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진화론적인 관점에서, 간지럼을 느끼는 이유는 간지럼을 잘 타는 부위들이 주요 혈관들이 위치한 부위라서 부상을 입으면 위험한 급소이기 때문에 이곳에 자극이 가해지는 것을 피하게끔 시키기 위해 느끼도록 만들었다고 여겨지고 있다. 간지럼을 당하면 몸부림을 치며 손길에서 벗어나려는 이유도 이러한 반응이 진화론적으로 생존에 유리하기 때문이다.출처 : 나무위키 - 간지럼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양파를 깔 때 눈물이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양파를 썰 때 눈이 매운 이유는 양파 속의 황화합물이 양파 세포가 잘리면서 나온 alliinase라는 효소에 의해 Syn-프로페인싸이알-S-옥사이드(Syn-propanethial-S-oxide)라는 최루성 물질로 변하기 때문이다. 덤으로 이황화프로필알릴과 황화알릴이라고 하는 원래부터 맵고 자극적인 물질도 있는데 칼질의 충격으로 그것들까지 뿜어져 나와 눈물샘을 자극한다. 대파도 많은 양을 썰면 눈이 맵다.출처 : 나무위키 - 양파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공룡은 정온동물이였나요 변온동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공룡이 정온동물인지 변온동물인지 여부는 상당 기간동안 논란의 대상이었다. 현재는 화석상에 근거한 해부학적인 특성으로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지었다. 그러나 정온동물이 가지는 일부 특징이 없고 그 큰 몸집의 특성상 정온동물의 단점이 있으며, 일부는 내온성 정온동물, 일부는 외온성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출처 : 나무위키 - 정온동물
화학
화학 이미지
Q.  전기차는 왜 친환경자동차인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전기를 사용해서 매연이 발생되지 않아서 친환경차라고 하는것입니다. 기존에 내연기관차는 기름을 폭발 시키면서 발생되는 매연등에 의해서 바로바로 매연이 발생되는데 전기차는 차를 사용함에 있어서 매연과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이 발생되지 않기 떄문에 친환경찰고 하는 것입니다. 당연히 여기에 사용되는 전기도 석탄이나 석유등을 사용한것도 있지만 직접적으로 발생되지 않아서 친환경차라고 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외국인 억양 증후군을 과학적으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이 단 한 번도 듣거나 배운 적이 없는 언어를 구사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물론 여기서는 풍부한 단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유창하게 구사한다는 점이 전제되어 있다. 동서양과 시대를 막론하고 끊임없이 제보되고 있는 현상이지만, 아직까지 그 어떤 객관적이고 신뢰할 만한, 언어학계의 지지를 받는 사례는 보고된 바가 없다.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는 심각한 외상성 뇌 손상을 당하면 언어 기능의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회의론적 관점에서 제노글로시는 아직까지 그 어떤 믿을 만한 사례도 보고된 바 없는 뜬소문에 불과하다.특히 제노글로시의 기본적인 조건인 "평생 배운 적이 없어야 하고, 유창하게 구사해야 한다" 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까 상대방이 알고 보니 과거에 그 나라로 여행을 갔다거나 그 언어에 관심이 있다거나, 내지는 어설프게 몇 마디 주워섬긴 것을 "오오오! 유창한 실력이야!" 하면서 잔뜩 포장해서 홍보하는 경우가 100%였다는 얘기다. 또한 위의 의학적 사례처럼 뇌의 외적 손상이나 수술 등의 자극에 의해서도 매우 드물게 자신의 모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구사한 사례들이 있는 점을 보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뇌기능 중에 외국어를 이해하고 구사할 수 있는 무의식적 기재가 있을지도 모른다. 이것이 방언 기도 등의 종교적 무아지경의 상태 중에 발현되어, 완벽한 외국어가 아니더라도 무의식이 평소 알고 있던 외국어 단어들이나 문장이 튀어나올 수도 있는 것이다. 중국어를 전혀 하지 못하는 사람이 중국어 방언 기도를 했더라도, 이 사람이 살면서 중국어를 전혀 들어보지 못했을 확률은 적으며 중국어로 말하고 한국어 자막이 달려 있는 영화를 봤던 무의식적 기억 등에 의해 파편적인 단어나 문장을 재현하는 것일 수 있다는 것이다.출처 : 나무위키 -제노글로시(이종언어 발화현상)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달을 본다면 달이 거꾸로 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달을 보는 것은 태양빛이 비쳐서 반사되는 빛을 보는 것입니다. 그래서 달이 위치에 따라서 보이는 부분도 다를것이라 생각하지만 실제로 보이는 면은 동일합니다. 다만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보이는 달의 모양은 다르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북반구에서는 달이 보이는 방향을 기준으로 보면 남쪽으로 움직이지만, 남반구에서 보이는 달을 기준으로 보면 북쪽에서 이동하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양의 온도와 크기는 어느정도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태양의 지름은 1,392,684 ± 130 km로 지구의 109 배 표면 온도는 5778 K(약 5500 °C), 핵 중심부 온도 1.570 × 107 K (약 1,570만 °C )입니다.출처 : 나무위키 - 태양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단성생식이 생존에 유리하다면 인류도 먼 미래에 단성생식을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성 생식이 어떻게 발생된것인지는 알수 없습니다. 추측하기에 암수가 짝짓기를 하기 어려운 상황이 와서 이런 상황에서 번식이 어려움으로 인해 단성 생식으로 진화되었을것으로 추정합니다. 결국 환경에 따라서 그에 맞게 진화하게 되는 것입니다. 미래 환경이 극한 상황에서 암수가 짝짓기가 어려워지는 시기가 오면 진화되어서 단성생식이 늘어날것으로 추정할수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새벽녘에 안개가 많이 끼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습기를 가진 공기가 냉각돼 응결된 상태인데요. 아침에 안개가 만들어지려면 태양에너지를 받지 못하는 밤에 지면의 복사냉각(대기와 지표면이 냉각되는 현상)이 빠르게 일어나야 하는데, 복사냉각은 날씨가 맑고 바람이 약한 야간에 왕성하게 일어나요.출처 : 가성청 날씨누리 - 아침에 안개가 끼면 그 날 맑은 날씨가 되는 경우가 많은데 왜 그런가요?
461462463464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