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화학
화학 이미지
Q.  완벽한 진공상태에서는 음식이 부패하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미생물도 2가지가 있습니다.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이 있습니다. 공기가 없어도 번식이 가능한 혐기성 세균이 있어서 음식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들어 갈수 있어서 진공 상태여도 부패 될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티비 화면은 어떻게 나타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텔레비전 프로그램은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송출됩니다. 텔레비전 방송 시스템에서는 콘텐츠를 전자 신호로 변조 (Coversion)한 후 증폭기를 이용하여 증폭(Amplifying)하고, 안테나를 통해 송출(Sending)하게 된다. 송출된 신호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통해 수신(Recieving)됩니다. 그래서 가정에서 볼수 있는 것입니다.출처 : 위키백과 - 텔레비젼
화학
화학 이미지
Q.  뻥튀기는 기계 원리와 곡물이 부프는것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뻥튀기는 쌀, 옥수수 등의 곡식류를 틀 안에 집어 넣고 열과 압력을 가해서 튀긴 과자입니다. 뻥튀기 기계에 쌀이나 옥수수등을 넣고 밀봉한 후 지속적으로 열을 가하면 재료들이 계속 가열되면서 그 안에 있는 수분들이 달궈지면서 물이 수증기가 되는데요. 그때 기계 안은 밀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이 수증기는 빠져나가지 못하고 내부에 계속 쌓이게 있게 됩니다. 그러나 재료는 계속해서 열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수분들이 기화하려고 하지만 이내 기계 내부의 공간이 부족해서 결국 기존에 꽉 들어찬 수증기들과 공기들이 재료 내 수분들이 추가로 기화하지 못하게 억누르는, 이른바 '압력'을 가하게 됩니다. 그러다가 기계의 입구를 열면 압력차에 의해서 안에 있던 수증기들이 급속하게 방출되고, 압력이 순식간에 빠져나가자 이미 열을 받을대로 받고 있던 재료 내 수분들이 순식간에 기화되면서 뻥튀기 기계에서 발산되는데 이때 수증기가 부피가 커지면서 안에 있던 재료들도 부풀어 오르면서 뻥튀기가 되는 것입니다.(참조 : 나무위키 - 뻥튀기)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우리나라 가정용 전압이 220볼트로 승압하게 된 이유?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예전엔 일본 식민통치와 미군정을 거치며 110V를 써왔습니다. 현재 미국은 120V, 60Hz를, 일본은 100V, 50Hz(동일본)/60Hz(서일본)를 쓰고 있습니다.​ 지금은 사시사철 전기를 부담없이 쓰지만, 1970년대까지도 발전소가 부족했던 우리나라는 전력 사정이 열악했다고 합니다. 그래서 정부는 경제성 있고 안정적인 전력 공급 방법을 모색했죠. 110V 사용으로는 전선에서 낭비되는 전력이 너무 많고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판단이었습니다. 결국 정부는 전력 공급능력을 증대시키고 전력손실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승압을 검토하게 됩니다. 승압(昇壓)이란 말그대로 전압을 높이는 것을 말합니다. 전압은 물의 수압과 그 이치가 비슷합니다. 수압이 높으면 수돗물이 더 힘차게 나오듯이 전압, 즉, 전기의 압력을 높이면 저항으로 인한 전기의 손실도 줄어들고 좀 더 질 좋은 전기를 쓰는 효과가 있습니다. 지금처럼 사용하게 된 것은 고(故) 한만춘 연세대 명예교수(1921~1984)의 공이 컸다는 평가입니다. 한 교수는 1968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가 창간한 월간 과학기술 종합지 ‘과학과 기술’에 ‘배전 승압의 경제성’이라는 글을 기고했는데, 가정이나 공장에 공급하는 전압을 높였을 때 얼마만에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지 직접 계산으로 입증했죠. 한 교수의 연구는 220V로의 승압사업의 이론적 토대를 제공했습니다 결국 1973년 정부는 가정용 전력 전압을 110V에서 220V로, 동력용 전압을 200V에서 380V로 높이는 2차 배전 승압 사업을 2005년까지 추진하게 됩니다. 이에 따라 감전 위험 같은 안전성 문제를 고려해 가정용 플러그와 콘센트 모양이 ( I I ) 모양에서 현재의 (o o) 모양으로 달라지게 됐습니다. 이 과정에서 ( I I ) 모양 플러그를 가진 가전기기를 (o o) 모양 콘센트에 맞추기 위해 집집마다 묵직한 가정용 승압기를 하나씩 들여놓고 쓰기도 했다고 하죠. 이후 220V 승압사업이 순조롭게 추진돼 정부는 1995년 12월 당시 승압이 완료된 가구가 대상가구 1190만 5000가구의 92%인 1100만호를 돌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리고 2005년 11월 4일, 언론에 일제히 승압사업 완료 소식이 실립니다.출처 : 한국전기연구원 - 우리나라는 어떻게 220V 전압을 쓰게 됐을까
물리
물리 이미지
Q.  히트텍은 어떤 원리로 만들어진 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히트텍은 유니클로라는 일본 회사가 도레이라는 회사와 기술 협약을 해서 만들 발열 신소재 입니다. 히트텍은 물을 머금고 있는 레이몬이라는 소재를 통해서 몸에 열에 의해서 발생되는 수증기를 머금고 있고 머리카락의 10분의 1 크기의 아크릴소재로 잡아 두면서 수증기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으면서 안에 체온이 지속적으로 따뜻하게 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밝은 날 안 개가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안개는 공기 덩어리의 냉각, 수증기 공급원의 발생 원인에 따라 복사안개, 이류안개, 증기안개, 활승안개, 전선안개 등으로 분류한다. 맑은 날 야간에 해가 지고 땅이 차가워지면서 육상에서 발생하는 안개는 복사안개이다. 바람이 없고 상대 습도가 높은 맑은 날 야간에 잘 발생하는데 비가 온 후 맑은 밤에도 잘 발생한다. 일출 후 1시간 사이에 많이 발생하며, 보통 발생 후 1~2 시간 이내에 사라진다. 해상에서 발생하는 안개의 대부분은 이류안개로 바다안개, 해무라고도 불린다. 이류안개는 따뜻하고 습한 공기 덩어리가 찬 해수면이나 지표면 위를 이동할 때 그 아래 부분이 냉각되어 발생한다. 안개 낀 범위가 넓고 지속시간이 긴 것이 특징이다. 안개는 구름과 발생과정이 비슷하지만, 그 차이는 밑 부분이 지표면에 접해 있으면서 시정이 1km 미만이면 안개, 떨어져 있으면 구름이라고 하며, 산허리에 낀 안개는 산기슭에서 보면 구름이지만, 등산하는 사람에게는 안개가 된다.출처 : 기상청 날씨 누리 - 안개에 대해 알아볼까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포유류 동물들도 나이가 들면 폐경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폐경은 동물들에게 일어나는 것은 매우 드문현상이라고 합니다. 일부 동물들중에만 발생됩니다. 포유류들 중에서 수명이 긴 편에 속하는 사람과 일부 범고래, 침팬지만이 폐경이 발견된다고 합니다.(참고 : 나무위키 - 폐경)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새들은 왜 똥이 하얀색 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반적인 포유류의 똥은 갈색인데 새똥은 하얀색이다. 그 이유는 새의 경우 오줌을 배설하는 기관이 없어 오줌에 해당되는 질소계 배설물(요산)도 같이 배설하기 때문이다. 이 미끈하고도 하얀 부분에 요산 성분이 많다. 새똥이라고 표현하지만 정확히는 똥+오줌인셈. 수중 생물은 암모니아를 즉각 배설하고, 포유류와 같이 오르니틴 회로가 있는 육상동물은 요소를 배설한다. 조류 외에도 파충류가 요산을 배설한다.출처 : 나무위키 - 새똥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낙타는 사막에서 가시가 있는 선인장을 먹을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먹을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낙타는 입 안과 혀에 있는 이런 돌기들은 모두 목 안쪽을 향하고 있는데, 이 덕분에 가시가 많은 선인장이라 하더라도, 찔리거나 긁히거나 다치지 않고 자연스럽게 목으로 넘어가서 소화되기 때문에 무리 없이 먹을 수 있다.출처 : 나무위키 - 낙타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공전주기는 약 몇년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가 태양을 도는 공전주기는 356.25일이고 그래서 4년 마다 윤달을 하루 줘서 공전주기를 맞추고 있습니다.
46146246346446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