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5월 22일 작성 됨
Q.
스마트폰이 꺼두고도 배터리가 많이 소진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폰을 켠 상태에서 아무것도 안햇는데도 배터리가 많이 소모 되는 이유는 아마도 일부 앱들이 백그라운드 잡으로 지속적으로 정보를 찾아서 전력을 소모하고 또한 내부 프로그램에서도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찾아서 그렇습니다. 예를 들면 스마트폰 시간이나 위치등 지속적으로 동기화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또한 앱중에도 카카오톡이나 날씨 앱등도 지속적으로 체크하려고 에너지를 사용합니다. 그래서 빨리 소모 안되게 하려면 앱들을 끄고 저전력 모드를 해도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외장하드 DIY 키트, 전기요금 부담 줄이는 팁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요즘 사용되는 외장하드 DIY키트의 경우 기본적으로 조립할때 사용되는 부품들도 저전력으로 사용되는 부품을 사용하고 또한 완성된 외장하드도 자체적으로 저전력 모드가 있습니다. 그래서 자주 사용하면 저전력 모드로 했다가 사용하면 전원이 켜지는등으로 사용하면 되고 그게 아니고 자주 사용안하면 전원을 꺼 놓고 사용할때만 켜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유투브를 보면 연관성 있는 것들이뜨는데 어떤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유투브에서 연관성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을 알고리즘이라고 합니다. 알고리즘은 유투브를 보는 사람이 찾아 보거나 지속 영상을 보는 데이터와 동일하게 보는 사람들의 취향과 기타 연관성있는 것들을 취합해서 내부 프로그램의 알고리즘을 타서 그 보는 사람의 취향을 파악해서 보여주는 것입니다. 알고리즘은 간단하게 보면 취향을 파악하고 그 정보를 가지고 자동으로 처리 양식에 맞쳐서 처리하는 것을 말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집안 전등을 led로교체 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집안에 전등을 LED로 교체하면 수명도 길고 밝기도 밝아서 좋습니다. 다만 교체할떄 선들을 어떻게 교체할지 문제가 되는데요. 일체형의 경우 보통 설명서에 기준 형광등을 교체하기 위해서 전선을 어떻게 연결하면 되는지 나와있어서 그거 보시고 따라하시면 됩니다. 근데 위험하니 두꺼비집 내리고 하셔야합니다. 그래야지만 안전상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소켓형일경우 요즘에는 LED형 소켓도 나와서 그걸로 돌려서 빼고 돌려서 갈으시면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전기자전거의 구동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자전거는 내부 배터리와 모터가 있어서 배터리를 통해서 모터를 회전시키기 떄문에 일반자전거처럼 자체적인 힘으로 페달을 돌리지 않아도 됩니다. 그래서 밟는 힘이 적게 들어가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일반전기와 산업용전기는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일반전기와 산업용전기 둘다 동일하게 220V 60Hz 교류 전압입니다. 하지만 산업용은 누진제가 없고 일반전기는 누진제가 있습니다. 그 이유는 산업용은 전기를 활용해서 경제 성장을 하기 위해서 누진제가 없고 가정용은 사용을 줄이게 하기 위해서 누진제가 있습니다. 그차이 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1일 작성 됨
Q.
우리나라는 전기를 110볼트에서 220볼트로 언제 바꿨나요? 또 바뀐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전기는 이전에 110V를 사용햇는데 220V로 변경한 이유는 전력 송전 간 손실이 커서 더 높이 올려서 사용하면 손실이 있어도 더 멀리 가기 떄문에 바꾼것입니다. 같은 전력의 경우 전압이 낮으면 전류가 크고 전압이 크면 전류가 작습니다. 전류가 작을 수록 송전중 전력 손실이 줄어서 그래서 220V로 1970년도에 변경한것입니다. 그시절 경제적인 비용 문제도 있는데 전류가 작으면 더 가는 전선을 사용가능해서 그렇게 한 이유도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전라남도에서 생산되는 전기가 서울까지 가는데 얼마 정도 소실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를 생산 하고 나서 변압기를 통해서 전기를 승압한 후 사용되는 곳에서 다시 변압기를 통해서 가정이나 공장에서 가능한 전기로 변환해서 사용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승압하는 이유가 저항에 의해서 전력이 손실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보통 3%정도 손실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100MW를 보내면 97MW만 전송이 된다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금은방 하시는 분들은 바로바로 금을 구별할 수 있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보통 금은방에 가져가면 현미경이나 루페로 금을 보고 마감처리나 색 그리고 금에 써있는 각인등을 보고 또한 금 증명서 같은걸로 확인을 합니다. 그런데 요즘에는 너무 정교하게 속이는 사례가 많아서 요즘에는 금 분석기라고 해서 XRF분석기에서 X선을 금에 쏘아서 내부 스펙트럼으로 순도와 구성 원소를 분석해서 확인 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직류와 교류의 가장 차이는 무엇이 있나요? 그리고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어떠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직류와 교류의 가장 큰 차이는 전류의 방향이 변화되고 전압의 크기가 변화되는 것이 차이입니다. 직류의 경우 전류의 방향이 한곳이여서 +,-극이 고정이고 전압도 고정입니다. 하지만 교류의 경우 전류의 방향이 바뀌어서 +,-극이 수시로 바뀌고 전압도 지속적으로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극성이 변화되는 것이 교류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되는 전류는 교류인데 그것을 가전제품마다 변화시켜서 바로 직류로 바꿔서 하거나 바로 사용하거나 합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