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화재나 재해로 인해서 전기가 나가게 되면 한전에서는 전기가 어디에서 끊겼는지 어떻게 알고 수리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대부분 화재나 재해로 인해서 전기가 끊기게 되면 한전에서는 실시간 감지 제어 시스템인 SCADA라는 시스템에서 전압과 전류, 차단기 상태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데 거기에 있는 센서가 특정 구간에 문제가 될경우에 알람을 주게 되어 있습니다. 그럼 그 알람에 맞쳐서 한전 직원이 가서 정확히 어디가 문제되는지 확인해서 수리를 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티비 화질 중에 OLED, QLED 차이는 많이 날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OLED는 자체 발광 소자를 활용해서 화면을 보여주는 원리이고 QLED는 LCD 백라이트와 퀸텀갓 구조로 해서 화면을 보여줍니다. 자체 발광으로 빛을 보여주기 떄문에 화질은 좋으나 번인 효과로 인해서 잔상이 남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QLED의 경우 번인 효과가 없어서 오래동안 지속적으로 보는건 QLED가 좋고 짧게 계속 보는 건 OLED가 좋습니다. 근데 사실 크게 차이는 나지 않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전자기파 중에 감마선은 어디에 이용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감마선은 전자기파중에 파장이 가장 짧고 진동수가 높아서 에너지가 높습니다. 그래서 투과를 잘해서 방사선 치료나 제품을 내부를 해체하거나 파괴하지 않고 검사하는 비파괴 검사등에 활용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만보기 어플이 몇개나 있으면 배터리에 무리가 가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만보기와 같은 어플들이 대부분 스마트폰 안에 있는 센서 가속도계, 자이로스커프, GPS등 여러가지 센서를 활용해서 움직임을 판단합니다. 그런데 이런 센서를 지속적으로 요청해서 인식하여서 걷는 수를 계산하면 지속적으로 배터리를 사용하게 됩니다. 좀더 정확하고 세밀한 앱일경우 더 많이 요구하게 되어서 이런 앱은 2개 초과되면 배터리에 무리를 줄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원소기호는 어떤 사람이 만든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처음으로 원고기로를 체계화한 사람은 스웨덴의 화학자 베르셀리우스라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QR 코드 인식의 원리는 어떻게 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QR코드는 스캔을 하면 그 빛에 의해서 검은 부분과 흰부분의 반사가 달라서 그것을 0과1인 이진법으로 구분해서 정보를 받습니다. 받을 때는 QR코드의 위치 검출 패턴이 있어서 그걸로 인식해서 숫자와 글자등을 읽어서 사용하는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8일 작성 됨
Q.
라디오파는 어떤 것인지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라디오파는 Radio frequency 라고해서 전자기파중에 3kHz~300GHz사이의 주파수를 말합니다. 특히 이 주차수는 라디오나 텔레비전, 무선총신에 많이 사용되고 주파수에 따라서 더 멀리가고 더 많은데이터를 보내고 해서 그 특성에 맞게 사용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7일 작성 됨
Q.
에어프라이어의 원리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에어프라이기는 고온으로 온도를 올리면서 내부 공기의 온도를 올리고 또 팬을 통해서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음식의 외부의 수분을 날리면서 온도가 올라가서 익히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런 온도로 인해서 음식의 지방이 녹기도 해서 기름 없이도 바삭하게 튀겨지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7일 작성 됨
Q.
인공지능을 활용하는데 왜 전기를 많이 소모 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인공지능을 활용하면 엄청나게 많은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서 고성능 하드웨어가 사용됩니다. 그로인해서 많은 전력이 소모되게 됩니다. 그래서 전기를 많이 사용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7일 작성 됨
Q.
ai사이트들은 전부 챗gpt기반인건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AI사이트가 전부 쳇GPT를 기반을 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은 쳇GPT가 가장 유명하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지만 그 외에도 Google: Gemini, Anthropic: Claude, Meta: LLaMA등 이런것들을 기반으로하기도 합니다. 오픈 소스를 가지고 만들기도 하고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활용하기도 합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