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예를 들어 지방에서 만들어진 전기가 수도권으로 오면 전기 용량에 손실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만들어지고 이동하면서 저항에 의해서 많은 에너지가 손실됩니다. 그래서 멀리서 전기를 끌어 올 경우 전기를 만들어서 전력이 손실될껄 감안해서 변압기를 통해서 매우 높은 전기로 증압 한 후 송부하고 사용하는 곳에서 필요한 전기로 다시 변압기로 저압해서 공급됩니다. 멀리가면 멀리 갈수록 문제가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20일 작성 됨
Q.
에어컨을 인버터에 연결해서 사용할때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인버터 연결하기 위한 인버터 용량은 연속 출력기준으로 보아야합니다. 그리고 보통 소비 전력에 1.5배 이상되어야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벽걸이 에어컨이 연속출력 확인해 보시고 그게 없으면 보통 사용 되는 전력에 1.5~2배 정도 곱해서 그 출력을 감당할수 있는 인버터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벽걸이는 1.2KW 이상, 스탠드는 2.0KW이상 따라서 둘이 같이 사용하면 최소 3.2KW이상의 인버터용량을 사용해야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전기가 흐르는데 걸리는 시간 전류의 속도는 어느 정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흐르는 속도와 전자가 흐르는 속도 전류의 속도는 다를수 있습니다. 전원을 키면 전자가 이동하는데요. 전자 하나의 속도는 약0.1mm/s 보다 낮은 속도로 움직이게 됩니다. 그래서 매우 느립니다. 하지만 이런 전자가 이미 전선 안에 가득있어서 한번에 움직이면서 전기장의 변화가 순식간에 오면서 전기 신호 즉 전파의 속도는 빛의 속도 약 3x10^8m/s로 움직이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열기관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열기관은 고온으로 물을 끓여서 증기로 터빈을 돌리게 됩니다. 연료를 통해서 열을 만들어서 물에 열을 올리고 그 증기가 나오는데 증기가 기체가 되어서 터빈을 돌려서 에너지를 만듭니다. 그런데 이때 연료를 통해서 열을 만들면 그 열이 온전히 100% 물에만 전달 되지 않고 복사 대류 전도등에 의해서 다른 곳으로 손실되게 됩니다. 그리고 연료가 연소 될때 불완전 연소로 모두 열이 되지 않고 빛이나 다른 에너지로도 전환되어 불완전 연소되어서 이또한 100%가 되지 않게 됩니다. 또한 터빈을 돌릴때 기계적인 마찰등에 의해서도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그래서 열의 이동을 막기 위해서 단열재등을 활용해서 열이 물에만 적달되게 하고 완전연소될수 있도록 연료와 공기 조절등을 하고 기계적 마찰을 최소화 하는 설계등을 통해서 효율을 높일수 잇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배터리 효율을 늘리는 방법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배터리를 효율을 늘리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제일 중요한건 열이 많이 발생되지 않는 것입니다. 그래서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많은 앱을 한번에 사용하는 등 하면 효율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절전모드를 하면 백그라운드를 실행하지 않아서 지속적으로 에너지를 소모하지 않게 하거나 최소한의 프로그램만 돌려서 전력 소모를 줄이게 되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장비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한국전력에서 대부분 사용하는 전기 생산은 화석연료가 가장 많습니다. 화석열료를 사용해서 열을 만들고 그것으로 물을 증발시키면 그 힘으로 터빈이 돌아가게 됩니다. 그러면 고정된 자석 주위에 터빈에 달린 코일이 회전하면서 전자기유도가 발생되고 그럼 코일 내부에 전류가 생성되면서 전기가 만들어지는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컴퓨터에서 램과 롬을 구별을 해 놓은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RAM과 ROM을 구분한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처리 속도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하는 등의 관리 방식에 차이가 있어서 그렇습니다. 보통 RMA은 휘발성 데이터로 바로 사용하려고 임시로 저장하는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그래서 매우 빠르게 사용되고 수정도 하고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수시로 가지고 오기 떄문에 전력 소모가 큽니다. ROM의 경우 비휘발성으로 저장되는 데이터로 읽기만 가능하고 특정 경우가 아니라면 수정되지 않습니다. 또한 비 휘발성이라서 데이터가 컴터를 끊다고 해도 없어지지 않습니다. 그리고 비휘발성이라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가지고 오지 않기때문에 전력 소모가 적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무선충전기 충전 거리를 아주 멀리서도 하게 되면 그 전가장? 자기장? 때문에 사람에게 문제가 될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은 충전기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되고 그 자기장이 충전하려는 기기의 코일에 영향을 주어서 전자기 유도가 발생되어서 전류가 발생되어 충전이 되는 원리입니다. 그런데 이런 자기장은 아직까지 거리가 너무 짧고 출력도 작아서 사람에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멀리서도 가능하게 될려면 자기장의 세기가 커져야하므로 사람에게 영향을 줄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래서 사람의 조직에 열이 발생되거나 다른 전자기기에 간섭을 하는 등의 문제가 될것으로 판단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안녕하세요~석산화입니다~ 야간투시경의 원리와 작동방식이 궁금합니다 대략적으로나 이해하기 쉽게 알려 주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야간투시경은 2가지 작동 방식이 있습니다. 미세한 빛을 증폭해서 이미지를 나타내는 이미지 강화방식이 있고 물체의 열이나 적외선 방출하는 것을 감지해서 이를 보여주는 열화상 방식이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5월 19일 작성 됨
Q.
Micro wave 는 어떤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마이크로파는 전자기파 중에 라디오파의 일종입니다. 주파수가 300MHz~300GHz 사이입니다. 많이 사용되는 것이 전자렌지에 많이 사용되고 블루투스나 와이파이에 사용되는 주파수도 해당 주파수에 포함됩니다.
66
67
68
69
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