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아이가 ADHD 증상이 보여 걱정입니다.
아이가 ADHD 증상이 보이지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ADHD 증상을 보일 때 지도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모의 태도는 자녀의 발달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어른의 입장으로 볼 때는 아이의 집중력이 짧고 산만한 행동을 하는 게 그저 답답할 수 밖에 없습니다.혼을 내면 낼수록 이 증상은 심해질 수 있습니다.긍정적인 태도로 아이의 강점과 장점을 인정하고, 수용해줘야 하며 적극적인 격려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그리고 부모의 양육태도는 일관​성이 있도록 유지하는 것이 아이가 안정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또한 자녀와 끊임없는 소통으로 어려움이 있지는 않은지 살펴주시고,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ADHD 아동은 대부분 부정적인 피드백을 많이 듣기 때문에, 칭찬과 격려를 해주는 것이 정말 중요합니다.아이가 올바른 행동을 했다면 아낌없이 칭찬해주시면서 바른 행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다만, 잘못한 일을 언급하지 않고 그냥 넘어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아이가 어떤 잘못을 했다면 그 즉시 눈맞춤을 하며 잘못에 대한 훈육을 합니다.만일 주변 사람들의 시선 때문에 당장 잘못한 일을 언급하지 못해 혼을 낼 타이밍을 놓쳤다면 차리라 혼을 내지 않는 편이 낫습니다. 아이를 꾸중할 때는 즉시 눈을 맞추고 혼내야 한다는 점을 유의하시길 바랍니다.학습 지도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습니다.이 질환의 아이들은 집중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한 번에 오랜 시간 앉아있는 것을 힘들어 합니다. 그러므로 오래 앉아 있는 것이 아니라 10~15분의 짧은 시간동안이라도 집중해서 끝낼 수 있도록 학습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만일 아이가 좋아하는 과목이 있다면 더욱 집중해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좋습니다.여러가지를 골고루 잘하게 하기보다는, 특히 관심을 갖고 좋아하는 것에 더 집중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바랍니다.그리고 억지로 책상 앞에 앉혀서 공부를 하도록 시키기보다는 놀고 운동하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요즘은 성인에게서도 ADHD 증상을 발견할 수 있다고 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유치원에서 아이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은 ?
유치원에서 아이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집중력은 아이들의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일상생활에서 독서 습관을 길러준다면 아이의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잠들기 전에 책을 읽어주고 도서관에 가서 책도 읽고 대출을 해오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아이의 집중력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집중을 잘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보기 전에 아이의 생활패턴을 체크해야 합니다.아이가 좋아하는 놀이가 무엇인지를 관찰해보면 아이는 자신이 좋아하는 놀이를 할 때 엄청난 집중력을 발휘합니다.아이와 작은 약속을 했더라도 잘 지켜주세요.가족 구성원 모두가 서로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을 보여주세요.선택권과 책임을 아이에게 부여해줍니다.아이에게 건강한 신체리듬을 만들어주세요.(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기)집안 환경을 차분한 느낌으로 정돈해주세요.(아이가 공부할 때 TV보지 않기)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사회성이 부족한 것 같아 걱정이 됩니다.
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주는데 도움이 되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사회성은 아이와의 관계/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성인이 모델링이 되어주는 것이 좋습니다.일상생활에서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들 말에 귀를 기울여주기, 지나친 지적 피하기, 부모와 타인 관계를 보여주기 등을 통해서아이의 사회성을 키워줄 수 있습니다.아이가 올바른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과 함께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만약 행동하기 쉽지 않다면, 지금 할 수 없음을 말해주고 미안하거나 속상한 마음을 알려줍니다.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가족과의 관계가 소홀해 보이는 아이, 어떻게 개선할 수 있을까요?
초등학교 5학년 아이, 가족과의 관계가 소원해지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시기라면 보통 사춘기에 접어들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아이가 컨디션이 괜찮을 때 대화를 시도하면 될 것 같습니다.사춘기가 온 아이는 제2차 성징을 경험하게 되면서 점차 성인의 몸으로 변해 갑니다.생리적으로는 성적 충동이 커지고 심리적으로는 성인처럼 행동해야 된다는 새로운 압박감이 생깁니다.더구나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학업에 대한 스트레스까지 겹치게 됩니다.따라서 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겨울잠을 자러 들어간 곰이라고 생각하고 새봄에 동굴로 나올때까지 기다려주면 어떨까 싶습니다.컨디션이 괜찮을 때는 '힘들지? 잘하고 있으니까 너무 걱정하지마' 등의 응원을 보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뭔가를 해주려고 하면 할수록 아이는 간섭한다고 생각하여 서로간의 갈등과 감정의 골이 깊어질 수도 있으니 말입니다.이 시기를 지나는 아이를 이해하고 공감해준다면 아이도 마음을 열고 대화를 하려 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성격은 타고난 것인가요 후천적으로 바뀌지는 않나요?
아이의 성격이 선천적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은 기질은 유전적이지만성격 같은 경우에는 환경의 영향을 받으면서 달라질 수 있다고 합니다. 성격 형성은 유전적인 요인 + 환경적인 요인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베이비 박스가 여전히 존재하는건가요?
베이비박스는 아직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3년 4월을 기준으로 해서 전국에서 7개의 베이비박스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통은 메모에 생년월일을 적어둔다고 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임의로 출생신고를 하게 됩니다.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유치원 처음 다니는 아이가 빠르게 적응하는 법은?
유치원에 처음 다니는 아이의 적응을 어떻게 도와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유치원이 좋은 곳이라는 것을 느끼게 해주는게 중요합니다. 아이가 유치원에서 돌아오면 유치원에서 있었던 기분 좋은 일, 재밌었던 일들을 이야기 나눔으로써 유치원은 좋은 곳이라고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습니다.아이를 위해 부모는 '엄마 없이도 잘 지낼 수 있다'라는 믿음을 심어주고 아이를 응원해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놀이
놀이 이미지
Q.  요즘 아이들은 피시방에 가는 경우가 없나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집에 있는 컴퓨터의 사양은 게임을 하기에 제한적이기 때문에 중고등학생 아이들은피씨방을 찾아서 친구들과 모여서 게임을 즐긴다고 합니다. 하지만 가정의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보급이 활성화되면서 예전보다는 덜한 것 같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상상력이 부족한 아이, 어떻게 창의력을 키울 수 있을까요?
아이가 상상력이 부족한데어떻게 도움을 줄 수 있는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왜 그럴까?' '왜 그렇게 생각해?' 등의 열린 질문을 하는 것으로 아이의 상상력을 자극할 수 있겠습니다. 창의성 연구자가 제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Torrance는 창의적 유아의 특성을 바탕으로 하여 유아의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습니다.*창의성 발달은 필연적인 노력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우연에 맡기지 않는다.*호기심과 상상력·즉흥성·모험심 등과 같은 창의적인 특성을 장려한다.*색다른 질문이나 남과 다른 생각을 하는 것을 인정하고 허용한다.*독창적이고 창의적인 행동을 칭찬하면서 긍정적으로 강화해 준다.*단순한 질문보다 창의적 사고를 필요로 하는 질문을 한다.* 다양한 학습기능을 기초로 하여 창의성을 기르도록 도와준다.*창의적 교재·교구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학습할 기회를 제공한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을 자꾸 놀리는 형을 어떻게 휸육해야 할까요?
형이 동생을 계속 놀리니 걱정이 되겠습니다. 보통 첫째가 동생에게 질투심을 느껴서 그런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첫째 아이들이 둘째가 태어나면 질투를 많이 하고때로는 때리거나 괴롭히기도 합니다.혼자 있을 때는 어른들의 관심이나 사랑을 독차지 했지만, 둘째가 태어남으로 관심과 사랑이 동생에게 향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우선은 동생이 태어났지만 변함없이 너를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그러기 위해서는 동생이 안아주거나 뽀뽀를 할 때 'ㅇㅇ야 동생 좀 안아봐도 될까? ㅇㅇ야 동생한테 뽀뽀해줘도 될까?' 확인을 받는 것고 행동하는 것도 좋습니다. 그리고 첫째가 기분이 좋을 때 '엄마, 아빠가 동생만 예뻐해주는 것 같아서 많이 속상했지? 동생은 아직 어려서 엄마, 아빠의 돌봄이 많이 필요해서 그런거였어. ㅇㅇ도 어렸을 때 그랬거든. 동생이 태어났지만, 엄마 아빠는 변함없이 ㅇㅇ를 사랑한단다. 사랑해~' 이렇게 말해주며 꼬옥 안아주면 아이의 마음이 한결 풀릴 것입니다.첫째가 있는 곳에서 둘째를 예뻐해줄 때 첫째의 마음이 어떨지를 헤아려줄 필요가 있습니다.
2912922932942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