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아이는 우리의 미래이며 꿈입니다!!

송신애 전문가
누리유치원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의 감정 표현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아이의 감정 표현을 어떻게 다루는 것이 좋을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의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거나 화를 내지 말고 너의 감정이나 생각을 적절한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훈육을 시작하는 시점은 언제일까요?
훈육을 시작하는 시점이 언제인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만3세 이전에는 훈육을 하면 아이가 양육자의 말을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훈육의 효과가 없다고 합니다. 훈육은 만3세 이후에 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부모가 아이에게 꾸짖을 때의 주의사항은 무엇일까요?
화가 치밀어 오를 때는 숨을 깊이 들이 쉬고 느리게 쉼을 내 쉬는 심호흡을 합니다. 그리고 화가 난 상황에서는 가라앉을 때까지 다른 공간에 있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잠시 멈춘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우선적으로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ㅇㅇ행동은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에게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아이의 감정표현을 가르치는 적절한 방법은일상생활에서 아이와 대화를 자주 나누고긍정적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입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거나 화를 내지 말고 너의 생각이나 감정을 적절한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훈육 중 아이가 반항적일 때 어떻게 대처해야 하나요?
평소 아이와의 관계를 민주적이고 권위형으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훈육하는 것은 정말 중요합니다. 다만 훈육의 목적이 아이를 다그치는 것이 아니라 아이의 바르지 못한 행동이나 말을 개선하기 위함이 되어야겠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 화를 내거나 언성이 높아지는 것은 자제해야겠습니다.양육태도 유형 중에서 '민주적 권위형' 양육태도가 친구 같은 아빠(엄마) 유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이렇게 하면 흔히 버릇이 나빠지지 않을까 염려할 수도 있습니다.친구처럼 가깝게 지내는 민주적 권위형 부모는 아이의 의견을 잘 수렴합니다.또 아이가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엄격하게 타이르는 방식으로 훈육합니다.결국 아이는 정서 지능이 높아지고 스스로 선택과 결정을 하는 자율성과 판단력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자주 짜증을 내고 화를 내며 반항하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6세 아이가 자주 짜증을 내고 반항을 하니 어떻게 해야 할지 그 대처 방법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화를 내지 말고 너의 감정이나 생각을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다른 사람 앞에서는 잘 우는 아이, 어떻게 하면 사회성을 키울 수 있을까요?
다른 사람 앞에서 쉽게 우는 모습을 보이는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아이가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그림책이나 영상을 통해서 '감정표현'하는 방법을 알아보는게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아이를 훈육할 때는 소리를 지르기보다는 친근하고 다정한 어투로 말해야 합니다.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은 아이의 마음을 읽어주는 것입니다.그런 다음 관찰한 사실을 말해주고 양육자의 감정을 전달합니다.마지막으로 '앞으로는 기분이 좋지 않을 때 울지 말고 말로 표현했으면 좋겠어'라고 부탁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동생에게 자주 화를 내는 아이, 형제로서의 우정을 키우게 하는 방법은?
동생에게 자주 화를 내는 아이로 인해서 걱정이 되겠습니다.형제간의 우애를 위해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형제, 자매간의 다툼의 원인은 주목받고 싶은 감정, 자원 경쟁, 성격 차이, 의사소통의 부재를 들 수 있습니다.형제, 자매를 양육할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객관적인 판단으로 자녀 간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신의 편견을 배 제하고 문제를 봐야 합니다.자녀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정 라벨링이나 타임 아웃 같은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자원과 관심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 동일한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야 합니다.혼자 있을 때는 어른들의 관심이나 사랑을 독차지 했지만, 둘째가 태어남으로 관심과 사랑이 동생에게 향하게 됐기 때문입니다.우선은 동생이 태어났지만 변함없이 너를 사랑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게 해줘야 합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아이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하도록 가르치는 방법은?
아이가 다른 사람의 의견을 존중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어른들도 마찬가지이겠지만 다른 사람의 마음을 공감하는 능력은 정말 쉽지 않습니다. 아이가 올바른 공감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말과 함께 행동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여야 합니다. 만약 행동하기 쉽지 않다면, 지금 할 수 없음을 말해주고 미안하거나 속상한 마음을 알려줍니다. 아이에게 좋은 본보기가 되어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부모가 먼저 실망을 표하는 아이의 등을 토닥여주는 등 직접 시범을 보여줍니다. 여기에서는 엄마 아빠의 공감 능력도 중요합니다. 공감 능력이 풍부한 부모일수록 아이 또한 쉽게 그 능력을 발달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비언어적 공감능력 표현하기 시범)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자녀가 자존감을 높이기 위해 부모가 할수 있는 일은?
아이가 자존감이 낮아서 매사에 자신감이 없는 모습을 보이니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자존감을 높이기 위한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상생활에서 따듯한 스킨십을 해줍니다.부모가 먼저 모범이 되어주어야 하며, 아이에게 자율성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좋은 모습을 보일 때는 아낌없이 칭찬해주고 가능하면 '안돼'라는 말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부모가 아이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고 잘못된 행동을 야단치게 되면 아이의 자존감은 낮아지게 됩니다. 또한 부모의 잦은 화내는 모습을 보고 자란 아이는 부모에게 사랑받지 않는다고 생각하여 자존감이 낮은 아이로 자랄 확률이 높습니다.
3663673683693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