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육아상담
Q. 인형에 애착이 생겨 애착인형이 되는 이유?
아이들이 인형에 애착이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한가봅니다. 쉽게 말해 애착인형은 낯선상황에서 양육자를 대신하는 역할을 한다고 보면 됩니다.애착인형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시간이 흘러 아동이 되면, 아동은 점차 양육자와 떨어져지내는 시간이 많게 된다. 낯선 세상을 탐색하던 어린 아동은 양육자와 떨어져 놀다가도 조금이라도 불안하면 양육자를 보고 표정을 살피고, 간혹 놀라면 양육자에게 쭐래쭐래 달려와 안겨 안정을 느낀다. 이러한 양육자의 역할을 안식처, 안전 기지(secure base)라고 부릅니다. 더 시간이 흐르면 이제는 양육자가 없더라도 스스로 안정을 찾아야 할 때가 옵니다. 몇 시간동안 양육자가 외출하거나 혼자 잠을 자야 할 때, 아동은 안식처 역할을 해줬던 양육자의 상을 대신할 대상을 찾는다. 아동은 부드럽고 푹신한 것을 찾아 양육자의 상을 투영하는데, 그러다 보니 애착의 투사 대상으로는 주로 인형이 이용됩니다. 이렇게 애착의 투사 대상이 된 인형을 애착인형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Q. 초등학교 형제끼리 싸울때 보는 부모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초등학교 형제끼리 싸울 때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형제, 자매간의 다툼의 원인은 다양합니다. 주목받고 싶은 감정, 자원 경쟁, 성격 차이, 의사소통의 부재를 들 수 있습니다.형제, 자매를 양육할 부모의 역할은 다음과 같습니다.객관적인 판단으로 자녀 간의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신의 편견을 배 제하고 문제를 봐야 합니다.자녀에게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알려주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감정 라벨링이나 타임 아웃 같은 심리학적 기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자원과 관심을 공정하게 분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부모는 자녀에게 동일한 기회와 자원을 제공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Q. 휴대폰 보는 27개월 아이 어쩌죠?.
가급적이면 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곳으로 관심을 유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부모님이 어느정도 통제를 할 수 있을 때부터 관리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Q. 어린이회관이나 어린이 박물관 등 괜찮은가요?
네. 아이들과 함께 가서 활동하기에 최적화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아이들 눈높이와 흥미에 맞춰서 구성되어 있더라고요.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어린이과학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