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육아상담
Q. 아이가 25개월인데 단어를 아직 잘 모르는거 같아요.
25개월 아이가 단어를 많이 알지 못하는 것 같아서 걱정이 되는 것 같습니다. 보통 20개월에는 약50개의 낱말, 24개월이 되면 250~300개의 낱말을 구사하게 된다고 합니다. 일상생활에서 꾸준히 언어적 자극을 준다면아이의 언어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언어적 자극은 책읽어주기, 아이와 대화하기, 동요 들려주기 등입니다.
Q. 아이들에게 경제관념을 심어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나요
아이들에개 경제관념을 심어주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가장 우선적으로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https://tv.naver.com/v/25514775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면 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 잡을 수 있게 됩니다. 아이가 어리다면 시장놀이, 은행놀이를 하면서 경제개념을 키워줄 수도 있습니다.다양한 보드게임(세계여행, 모두의 마블, 사다리게임 등)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Q.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아이, 균형을 맞추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아이의 균형을 어떻게 맞춰줄 수 있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아이와 의논을 해서 어플을 이용해서 사용시간, 사용어플 등을 관리해주는 것이 좋겠습니다. 평소에 아이가 휴대폰 외에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합니다.이 부분은 부모님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집 안에 있을 때는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주말이나 휴일에는 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