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기 전 책보는 걸 좋아해서, 계속 책 읽어달라고떼쓰는 상황에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아이와 약속을 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잠 자기 전에는 책 한권만 읽고 자는거야!, 엄마 1권, ㅇㅇ 1권 이렇게 정해서 읽어보자!'라고 약속을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이와 조율을 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잠을 자기 전에 책을 읽어주는 것은 아이의 언어발달은 물론안정된 정서 형성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한 연구에 따르면 자기 전 읽어주는 책은 아이들로 하여금 행복한 꿈꾸기를 할 수 있게 도와주며한글 공부와 언어 발달 등 학습 효과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잠자기 전 유아들에게는 베드타임 스토리가 꼭 필요하다는 뜻이라고 합니다. 전문가들은 생후 6개월부터 시작해서 최소한 10세가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책을 읽어줄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Q. 29개월 아이 하루에 TV시청은 어느정도 보는게 적당할까요?
29개월 아이의 하루 TV 시청 적정시간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미디어에 오랜 시간 노출되다 보면 뇌발달, 눈건강, 일상생활, 학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전문가에 따르면 연령별로 하루 휴대폰 및 전자미디어 적정 사용시간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만0~2세: ~30분/1일만3~5세: 30분~1시간/1일입니다. 이 점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처음 학교로. 유치원 입학신청하면 추첨식이라던데
유치원 입학은 유치원관리시스템인 처음학교로로 원서 접수->선발->등록 순으로 진행됩니다. 모집기간에 1,2,3순위까지 유치원을 선택해서 지원할 수 있으며모든 유치원에 선발이 안될 수도 있습니다. 이 선발은 컴퓨터에서 자동으로 선발이 되기 때문에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유치원의 모집 인원을 확인하고 지원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치원을 고를 때 교육철학, 교육프로그램, 급간식, 안전, 인적자원, 집과의 거리 등을 고려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Q. 주말에 초등학생 애들과 보람차게 보내는 방법이 있을까요?
초등학교 아이와 주말을 알차게 보낼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가족과 함께 여행, 공연관람, 각종체험활동,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등에서 여가를 즐기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상황이 여의치 않는다면 보드게임이나 말놀이와 같이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며 시간을 보내고,가족이 함께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도 효과적입니다.도구 없이 할 수 있는 말놀이(끝말잇기, ○○에 가면, 리 리 리 자로 시작하는 말 듬)이 있으며 아이들의 사고력, 기억력, 어휘력에 도움이 됩니다.도구를 활용한 라켓볼, 캐치볼(공이 달라붙는 형식), 림보게임, 실내볼링, 컬링, 밸런스보드놀이, 트램폴린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