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파울리의 배타 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전자의 상태를 기술하는 양자수로서, 보통은 주양자수, 방위양자수, 자기양자수 및 스핀양자수가 있으며, 이러한 네 가지 양자수에 의해 결정되는 하나의 상태를 2개 이상의 전자가 점할 수 없다는 원리, W. Pauli가 제창하였으므로 파울리의 원리, 파울리의 배타원리, 파울리의 금제원리 등으로 불린다. 동일한 양자수를 갖는 두 전자가 서로 상대방을 배제하는 것 같아 보이므로 배타원리라 한다.
Q. 데자뷔는 과학적으로 입증이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은 데자뷰의 느낌이 기억에 의해 발생한다고 믿는다. 그리고 기억들이 종종 우리의 혀끝과 마음속에 있지만, 그것들이 반드시 진짜인 것은 아니다. 인지심리학자 앤 클리어리는 기억의 본질과 데자뷰의 원인을 조사했고, 이러한 예감의 느낌은 단순한 느낌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그 현상을 경험하는 사람들은 누구보다 정확한 예측을 할 가능성이 없다. 그렇긴 하지만, 데자뷰 뒤에 숨겨진 과학은 여전히 미스터리이고, 그것의 정확한 본질은 확실히 알려져 있지 않다.데자뷰의 정확한 메커니즘은 완전히 이해되지 않았지만, 그것이 발생하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일반적으로 발작 직전에 데자뷰를 경험하기 때문에 뇌전증을 가진 사람들은 이 현상에 대한 연구에 완벽한 후보이다. 데자뷰를 일으키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해, 연구원들은 해마와 다른 뇌의 한 부분인 후두피질에 초점을 맞췄다. 뇌의 이 두 부분이 활성화되면 데자뷰의 경험이 유도된다.연구원들은 또한 뇌전증이 데자뷰를 일으킬 수도 있다고 의심한다. 뇌전증은 기억이 형성되는 뇌의 부분인 측두엽에 영향을 미친다. 데자뷰는 뇌의 전기적 오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감각의 원인을 설명할 수 있다. 아무도 확신하지 못하지만, 이 이론은 그럴듯하다. 한편, 망상과 뇌전증의 다른 증상들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데자뷰 뒤에 숨겨진 과학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만약 여러분이 이러한 조건들로 고통을 받는다면, 그 이유를 알아보기 위해 의사를 찾아갈 가치가 있을지도 모른다."데자부"라는 용어의 기원은 19세기에 에밀 보이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그는 이 현상을 철저히 연구하지 않았다. 데자뷰의 원인에 대한 많은 이론들은 서로 다르다.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억압된 기억이나 환생의 결과라고 믿는다. 원인과 상관없이, 과학자들이 뇌의 기억 저장 메커니즘을 연구하여 이 현상의 원인을 밝혀내는 것은 중요하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현실적으로 워프기술이 가능 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워프(warp)는 사전적 의미로 '휘다, 비틀다, 왜곡하다'라는 뜻이다. 하지만 '공간을 왜곡해[1] 빛보다 빨리 이동하다'라는 뜻으로 더 쓰이게 된다.1905년,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 이론이 "모든 양의 질량을 가진 물체는 빛보다 빨리(초광속) 이동할 수 없다"[2][3]는 것을 증명함으로써, 인류의 우주진출이 실질적으로 차단되고 말았다.[4] 따라서 사람들은 어떻게든 이 장애물을 뛰어넘기 위해 공간을 왜곡하는 방향으로 접근을 하게 되었다.공간을 압축하는 방식 - 알큐비에레 드라이브, 축지법공간을 관통하는 방식 - 웜홀, 축퇴로, 포탈공간을 전송하는 방식 - 양자 순간이동, 소환공간을 경유하는 방식 - 초공간도약. 별도 문서로 정리.수학에서는 이런 일이 가능하지만, 물리적 세계와 수학적 세계는 다른 곳이죠."라며 현대 물리학에 따라 "수학 이론 상으로만" 가능하다고 일축한다.2023년 시점에서 기술적 한계로 큰 물체의 워프 혹은 유사현상을 일으키는 것은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며, 이 때문에 워프에 대한 과학적 연구는 아직까지는 기초적 단계에 머물고 있다. 이론적으로는 워프기술은 간단하지만, 실현하려면 별난 물질(Exotic Matter) 등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물체를 이용해야 한다. 앞서 해결해야 할 만만치 않은 난제가 존재하는 셈이다.2023년 기준으로 소립자 간에 유사현상이 발생하므로 워프는 인류가 아는 물리법칙상 불가능은 아닌 개념 정도로 추측되고 있으나, 그걸 어떻게 하면 실용적인 규모로 실행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해명되지 않은 부분들이 대단히 많은 상황이다. 과연 인공적으로 재현하는 것이 가능한지의 여부도 미해명 상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