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빙하가 녹으면 어느정도 해수면이 상승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만약 스웨이츠 빙하가 모두 녹는다면 해수면은 약 65cm(26인치)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런데 여기서 끝이 아니다. 스웨이츠 빙하가 녹으면 주변 빙하들까지 연쇄적으로 반응해 같이 녹아내릴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주변 빙하들까지 합하면 지구 평균 해수면은 1~3미터 가량 상승할 것으로 전망된다. 해수면이 1m 상승하면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의 1.6배 면적이 침수되고[3] 1.3m 상승하면 베네치아와 뉴올리언스처럼 고도가 낮은 도시가 침수될 것으로 전망되는 바, 해안도시들은 조수간만의 차와 폭풍해일로 인한 큰 피해를 입을 수 밖에 없다. 또한 평균 해발고도 1.5m에 최대 해발고도가 2.3m인 몰디브, 평균 해발고도 2m에 최대 해발고도가 4m인 투발루는 그야말로 국가가 소멸되는 피해를 입을 것이다.##그런데 현재 지구온난화로 스웨이츠 빙붕의 후퇴속도가 빨라져 붕괴 직전에 직면해있다. 어느 정도냐면 조금만 충격을 주어도 바로 무너질 만큼 금이 간 상태이다. 실제로 2021년 미국지구물리학회(AGU) 추계회의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스웨이츠 빙하가 5~10년 내로 극적인 변화를 겪을 것이라고 경고했다.영국 남극자연환경연구소의 해양 지구물학자 로버트 라터는 1~2년 안에 큰 변화를 겪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쇄빙선은 어떤 원리로 얼음을 깨면서 나아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쇄빙선은 일반적으로 3가지 특징이 요구된다. 강화된 선체, 얼음을 제거하는 모양, 그리고 해빙을 밀어내는 힘이다.[1]장비에 따라서 순쇄빙선, 쇄빙 장치를 갖춘 상선, 쇄빙 구조로 된 상선 등으로 분류되며, 또한 추진기의 위치에 따라 미국형과 유럽형으로 나뉜다. 미국형은 선수와 선미에 설치되어 있으며 유럽형은 선미에만 설치되어 있다.[1]쇄빙선은 선수를 얼음 위로 올려 놓고 쇄빙하는 외에 얼음이 두껍게 결빙되어 있을 경우에는 선내에도 설치된 종경사용(縱傾斜用) 혹은 횡경사용 수조(橫傾斜用水槽)의 물을 펌프로 재빨리 이동시켜서 배를 기울도록 하여 배의 중량으로 얼음을 깨뜨리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선수의 경사를 크게 하고 쐐기 모양의 견고한 구조로 되어 있는 선측도 경사시켜 놓고 있다.일부 쇄빙선의 선체는 선미보다 선수에서 더 넓다. 이러한 소위 "리머"는 얼음채널의 너비를 증가시켜 선미의 마찰저항을 줄이고 얼음에서 선박의 기동성을 향상시킨다. 마찰저항을 줄이기 위해 저마찰 페인트를 사용한다. 저마찰 페인트 외에도 일부 쇄빙선은 폭발 용접(Explosion welding)을 사용한다. 마찰을 더욱 줄이고 선박의 선체를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내마모성 스테인리스 스틸 아이스 벨트, 공기 버블링 시스템과 같은 보조 시스템은 선체와 얼음 사이에 윤활층을 형성하여 마찰을 줄이는 데 사용된다. 선박의 양쪽에 있는 탱크 사이에 물을 펌핑하면 마찰이 줄어들고 얼음을 통과하기가 더 쉬워지는 연속적인 좌우 움직임(롤링, rolling)이 발생한다. 평평한 Thyssen-Waas활 및 원통형 활과 같은 실험적인 활 디자인은 얼음 저항을 더욱 줄이고 얼음이 없는 채널을 만들기 위해 수년에 걸쳐 시도되었다.
Q. 구글의 인공지능 제미나이가 멀티모달 설계라는데 이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구글은 6일(현지시간) AI의 기반이 되는 LLM '제미나이'(Gemini)를 공개했다.제미나이는 오픈AI의 챗GPT의 LLM인 'GPT'와 같은 AI 모델로, 오픈AI의 최신 모델인 'GPT-4'보다 성능이 우수하다고 구글은 밝혔다.이미지를 인식하고 음성으로 말하거나 들을 수 있으며 코딩 능력까지 갖춘 '멀티모달 AI'로 만들어졌다. 멀티모달은 다양한 모드 즉 시각, 청각 등을 활용해 텍스트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음성, 영상 등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말한다. 또 제미나이는 수학 문제를 풀거나 데이터를 분석하는 추론 능력도 갖췄다.이 LLM은 머신 러닝(기계학습·인간의 학습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술)의 규모에 따라 울트라(Ultra)와 프로(Pro), 나노(Nano) 등 3개 모델로 출시된다.가장 범용으로 쓰이는 '제미나이 프로'는 이날부터 구글의 AI 챗봇 서비스인 '바드'에 탑재된다. 바드에는 지금까지 팜2(PaLM2)가 탑재돼 왔다.제미나이 프로가 적용된 바드는 170개 이상 국가 및 지역에서 영어로 제공되며, 향후 서비스 확장 및 새로운 지역과 언어도 지원될 예정이다.
Q. 자기장은 어떻게 생성되나요? 너무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막대자석 또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나침반을 가까이 가져가면 나침반의 바늘이 힘을 받아 돌아가는 것을 쉽게 관측할 수 있다. 이것은 자석 또는 전류가 흐르는 도선 주위에 자기력이 작용하는 장(field)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자기력을 받아 움직이는 전하 또는 자기모멘트가 그 위치에 따라 받는 자기력이 달라지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서, 질량을 가진 물질에 의한 중력장 또는 전하 주위에 형성되는 전기장과 유사한 방법으로, 자기장이라는 물리량을 정의한다.자기장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하여 자기력선을 이용한다. 자기력선은 자기장 안에 놓인 나침반 바늘의 N극이 가리키는 방향으로 짥은 화살표를 그려넣고, 이 화살표를 끊어짐 없이 연결하여 그린 연속선이다. 따라서 막대자석의 자기력선은, 그림 1에서 보듯이, 막대자석의 자기 N극에서 나와서 S극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갖는 연속선으로 표시된다. 자기장의 세기는 자기력선의 밀도로 표현된다. 즉 자기력선이 촘촘한 곳은 상대적으로 센 자기장을, 자기장이 성긴 곳은 상대적으로 약한 자기장을 갖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