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은 누구나 잠을 자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떻게 일정한 시간에 일어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일정시긴에 일어날 수 있는 것은 반복된 습관과 뇌의 학습능력 때문입니다. 반복되는 알람시간과 잠자는 시간이 지속되면서 뇌와 몸이 학습을 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은 몸중에서 가장 단단한 것이 뼈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뼈의 성분은 무엇으로 이루어 졌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뼈는 단백질로 구성된 지지조직인 교원섬유가 35% 정도를 차지하고 칼슘을 포함한 무기질 성분이 45%, 수분이 20%를 차지합니다.​이 뼈는 사람이나 동물에게서 형태를 유지하고 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 있는 블랙홀은 어떤 이유로 주변의 물질을 다 흡수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강한 중력에 의해 빛 조차 빠져 나올 수 없어서 검게 보이는 천체를 뜻한다. 블랙홀에서 사건의 지평선 안쪽이 어떤 상태인지는 관측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이론적으로도 탐구하기가 어렵다. 양자적 효과 때문에 블랙홀 내부에서 나오는 미약한 빛, 즉 호킹복사가 나온다는 이론이 있으나 관측적으로 검증되지 않았다.블랙홀의 존재는 사건의 지평선 밖에서 일어나는 일을 관측함으로써 알아낸다. 외부에서 물질이 유입되면 사건의 지평선 밖에 부착원반이 형성되고 가열되어 빛을 내게 되고, 이 빛을 관측하여 중심부 질량을 추정함으로써 블랙홀을 확인한다. 우주에서 최초로 확인된 블랙홀은 강한 엑스선을 내는 백조자리 X-1이다. 이는 별과 비슷한 질량을 갖는 별질량 블랙홀이다. 우리은하를 비롯해서 대부분의 은하 중심부에는 태양 질량의 수백만 배에서 수십억 배에 이르는 초대질량블랙홀(supermassive black hole)이 있다. 은하 중심부의 초대질량블랙홀에 충분한 물질이 유입되면, 은하 중심부는 활성화되어 매우 강력한 빛을 방출하는 퀘이사나 활동은하핵이 된다. 블랙홀에서는 시간지연 현상이 일어난다. 블랙홀은 중력렌즈, 중력파와 같은 일반상대성 현상들과 긴밀한 연관이 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물동이에 물을 8할 이상 채우고 마지막 바가지는 몇 모금 마시다가 조금 남겨서 물동이에 넣어 물이 출렁거리지 않게 담가두는 지혜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의 표면 장력의 영향으로 남칠듯 말듯한 상황에서도 넘치지 않는 현상이 발생힙니다. 이는 물의 응집력괴도 관계가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 있는 행성 중에는 지구형 행성이 많나요, 목성형 행성이 많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대부분의 별들을 확인되지는 않았았지만 그래도 목성형 행성 보다는 지구형 행성의 존재 빈도가 높습니다. 하지만 우주를 계속 탐험하다 보면 목성형, 지구형 말고 다른 형태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미핥기는 정말 다른 것은 안 먹고 개미만 먹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이빨이 전혀 없고, 입은 작으며 혀를 내고 넣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밖에 안 된다. 혀는 매우 길고 표면은 점착력(粘着力)이 높은 타액으로 덮여 있어 흰개미와 개미 등을 혀에 붙여서 끌어내어 먹는다. 끈적끈적한 타액을 분비하는 침샘[唾腺]은 대단히 크고 가슴까지 달하며, 그 출구의 1개는 입의 끝 가까이에 열려 있다.위(胃)의 근육이 강력하여 새가 모래주머니에서 곡류(穀類)를 분쇄하는 것처럼 개미를 뭉갠다. 위는 단일위(單一胃)이며 작은 맹장이 있다. 개미핥기류에는 긴꼬리작은개미핥기·애기개미핥기·작은개미핥기·큰개미핥기 등 4종류가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명왕성은 왜 태양계에서 퇴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소행성 세레스와 행성인 명왕성, 그리고 2005년에 발견된 소행성 에리스 등3개의 천체를 왜소행성으로 새롭게 분류했어요.2006년 국제천문연맹 총회에서정한 태양계 행성의 기준이 있어요.1. 태양의 주위를 공전하는 천체일 것2. 자체 중력으로 구 형태를 이룰 수 있을 정도의 질량을 가지고 있을 것3. 궤도 주변의 잡동사니 잔재들을 빨아들일 수 있을 정도의 지배력(중력)을 가지고 있을 것명왕성은 크기가 달의 3분의 2 정도로 작아요.궤도가 8개의 행성 (수금지화목토천해)과는매우 다르게 긴 타원형으로 돌며 자신의 궤도에서 지배적인 역할을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되었어요.2006년 국제천문연맹이 새로 정한태양계 행성의 기준 세 가지를 만족시키지 못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강아지가 인간과 공존하며 살게끔 진화한 방식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개와 늑대는 비슷한 종입니다. 개는 원시시대부터 사람에게 길들여져서 살아왔습니다. 늑대와 다르게 친밀감이 강한 성격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이 손톱달에서 보름달이 되는것으로 아는데 어떤현상 때문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초승달, 반달, 보름달의 경우 태양이 달을 비추는 범위(그늘진 범위)에 따라서 지구에서 보이는 모습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화학 용어 중에 리소자임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리소자임은 우리 몸 속 또는 대부분의 생명체의 몸속에 있는 막성 구조물로 주로 세포 내에 들어있고 우리 몸에서 필요없는 물질 (단백질 등)을 효소를 통해 분해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1511521531541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