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서해안 바다 밀물 썰물이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밀물과 썰물로 해수면의 높낮이가 변하는 현상을 조석 현상이라고 한다. 지구에서 이러한 밀물과 썰물이 발생하는 원인은 바로 지구 밖에서 지구를 끊임없이 당기는 달과 태양의 만유인력 때문이다. 달은 태양보다 질량은 작지만 지구와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조석 현상은 태양의 인력보다는 달의 인력에 의한 효과가 2배 정도 크다.달이 어떻게 밀물과 썰물을 일으키는지 알아보자.지구상의 각 점과 달 사이에 작용하는 인력은 달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진다. 즉, 달과 가까운 쪽은 더 세게, 달 반대편 쪽은 더 작은 힘으로 잡아당긴다. 단단한 암석으로 된 지구 표면은 이 힘의 차이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바닷물은 달 쪽으로 잡아당겨지면서 달을 향해 있는 해수면 쪽이 올라간다. 즉 달의 인력으로 바닷물이 끌려서 모아지는 밀물이 나타난다.한편 달 반대편 쪽은 지구 중심보다 달의 인력이 작게 작용하기 때문에 뛰쳐 나가려는 힘이 생겨서 밀물이 나타난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극을 중심으로 지구가 하루에 한 번 자전하기 때문에 지구 위의 사람은 밀물과 썰물을 하루에 두 번씩 경험하게 된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스텔스기를 잡아내는 레이더는 어떤 종류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국방과학연구소는 한화시스템과 함께 VHF 저주파 레 이더, LIG넥스원과 고이득 L밴드 레이더를, 국과연 독 자적으로 2세대 PCL(수동형 위치탐지체계)를 개발하 기 시작했고, 그 결과물이 현재 공개되었습니다.국방과학연구소가 개발한 3가지 대스텔스 기술들은 실 전용 모델이 배치되면서 최소 100km 밖에서 J-20 또 는 F-35A 등의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여기에 추가해 방위사업청은 산학연 협력을 통해 2023년부터 2027년까지 314.15억 원을 투입해 HFSWR(high frequency surface wave rader : 고주파 표면파 레이더)를 개발할 계획이라고 발표하였습니다.사업을 준비 중인 STX 엔진 관계자는 HFSWRO 배치 되면 300km 이상의 거리에서 스텔스기를 탐지할 수 있다고 언급하였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 생물들은 왜 이렇게 오래 살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심해에는 외형적으로 독특한 생물들이 다양하게 살고 있는데, 수명이 100년이 넘는 생물들도 많 이 살고 있다고 합니다.마리아나 해구에서 발견한 자료에서는 이전에 알 려지지않았던 새로운 미생물의 흔적이 나왔는 데, 챌린저 해연에서만 미생물 2,000종이 발견 되었다고 하니, 심해는 연구 자료로서도 보물창 고가 아닐까 싶습니다.수집된 생물 중에는 *등 각목 생물, 새우처럼 생긴 단각목 등 여러 종류, 완전히 새로운 종 등이 발견 되었다고 합니다. 메갈로돈의 화석이 발견된 적 도 있다고 하네요.마리아나 해구 바닥에는 식물은 전혀 없고 동물만 존재합니다. 식물은 광합성을 해야 살 수 있는데, 초심해저대에는 빛이 없어 식물이 광합성을 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화학)식사에 금을 섞어 먹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의보감에 의하면 금은 마음의 진정과 오장육부를 보호한다는 기록이 되어 있으며 고대부터 피부의 정화와 해독, 피부 톤 개선에 탁월하 미용선분으로 알려져 있었다고 해요.그래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미녀인 클레오파트라와 양귀비 역시 피부를 가꾸기 위해 금을 피부에 직접 사용하였다고 합니다. 그렇게 보면 금이 오랜 옛 날부터 쓰여왔던 것 같아요.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uSim과 eSim은 어떤 기능을 하며 어떤 폰에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eSIM(embedded SIM)은 영어 그대로 유심 속에 있는 칩이 기기 속에 내장, 마더보드에 부착된 SIM이다.현재 eSIM 지원 휴대폰은 대부분 물리심+eSIM의 듀얼 SIM으로 출시되고 있다.2. 장점[편집]SIM 트레이를 제거하여 기기를 더욱 경량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기기를 하나만 사용하고, 기기변경을 안 하는 사람의 경우 한번 eSIM을 설치하기만 하면 저장된 eSIM을 바꿔가며 쓸 수 있다.최초 개통시에 한해 통신사 방문이나 SIM카드 배송을 기다릴 필요 없이 앱을 다운로드 해서 eSIM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이를 이용해 해외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데이터 eSIM을 판매하는 앱도 등장했다.2.1. eSIM의 장점이 아닌 것[편집]주 회선과 알뜰폰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 또는 해외 사용 시 현지 번호와 국내 번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eSIM의 장점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듀얼 SIM의 장점이지 eSIM의 장점이 아니다. 이는 국내 한정으로 물리적 듀얼심 기기가 보편화되지 않았기에 발생하는 오해이다. 기존에 물리적 듀얼 SIM을 주로 사용하던 유저들은 아래 서술한 eSIM의 단점들 때문에 eSIM의 보급을 좋지 않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다.3. 단점[편집]eSIM이 편리한 점도 있지만 단점도 꽤나 많은데, 기기를 바꾸고 싶을 때 그냥 카드를 빼서 자유롭게 옮기면 됐던 이전 SIM과는 달리 통신사에 방문해서 eSIM을 이동하는 절차 또는 통신사의 허가가 필요하다는 점이다. 이 부분에 있어서는 사실상 SIM을 거의 쓰지 않던 2G 시절로 후퇴하는 것과 마찬가지, 그 당시 기기변경이 얼마나 불편했는지를 생각해 보자. 지금은 물리심+eSIM구성의 단말기가 대부분이지만 애플에서 은근슬쩍 eSIM 전용 아이폰을 출시하려 한다는 소식에 많은 소비자들이 이통사와 제조사 간 담합이 팽배하여 기기변경에 이것저것 조건을 붙이던 2G 시절로 돌아가려는 것 아니냐는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2] 게다가 이번에 미국에서 출시된 물리심이 제거된 아이폰 14가 기존 물리심의 공간을 활용하기는커녕 쓸모없는 플라스틱 덩어리로 채워놓은 것이 발각되면서 eSIM 사용을 유도하는 목적에 대한 진정성이 더더욱 의심되게 하고 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콘덴서라는 부품은회로에서 어떤 역할을 해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콘덴서는 직류는 흐르지 못하게 하지만 교류는 통하게 하며 용량이 클수록, 그리고 주파수가 높을수록 잘 통하게 된다. 용량 단위는 F(패럿)이지만 그 단위가 너무 커서 pF(피코), uF(마이크로)의 단위를 주로 쓴다. pF 단위의 콘덴서는 세라믹 콘덴서, 적층 세라믹 콘덴서, 마이카 콘덴서가 있고 음질은 마이카 콘덴서가 가장 좋다. nF(나노) 단위에서는 일반 필름 콘덴서가 주로 사용되며 재질에 따라 폴리에틸렌(스치롤 콘덴서),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스텔(마일러 콘덴서)로 나누어진다.폴리에틸렌 콘덴서는 음질도 매우 우수하다. 폴리프로필렌 콘덴서의 장점은 1000pF에서 10uF까지로 용량 범위가 넓다는 것이며 음질이 좋아 오디오용으로 많이 사용된다. uF 단위의 콘덴서는 전해 콘덴서와 탄탈 콘덴서가 있다. 다 유극성 콘덴서로 탄탈 콘덴서는 200uF/25V 정도까지의 제품밖에 없으나 전해 콘덴서보다는 성능이 우수하다.capacitor, electrostatic capacitor 전기회로 소자의 하나. 마주 놓인 두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끼워 만들어진 전기용량이 있는 것. 축전기라고도 한다.(2) condenser 응축성 증기를 냉각하여 응축시키는 장치. 콘덴서라고도 한다. 냉각수 등의 냉매에 의해 고체벽을 통하여 간접적인 냉각을 하는 표면 응축기와 증기-냉각수의 직접 접촉으로 냉각을 하는 혼합 응축기가 있다. 화학실험용의 응축기는 냉각기(冷却器)라고 하며 종류도 많다. 간단한 것은 리비히 냉각기로서, 증기를 1개의 유리관을 통과하게 하고 그것을 둘러싼 바깥쪽 관에 물을 흘려서 냉각한다. 전기냉장고 뒤쪽에 있는 가는 파이프의 한 면에 들어 있는 검은 판(板)도 콘덴서의 하나이다. 이 파이프에는 냉장고 내를 냉각한 냉매(冷媒)가 흐르고, 냉매는 공기에 의해 냉각되어 액체가 된다. 복수기에는 보일러에서 발생한 수증기를 증기터빈을 돌린 후 물로 되돌리는 장치 등이 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인공위성의 속도는 얼마나 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은 지구가 잡아당기는 인력에 끌리지 않도록 일정한 속력으로 지구를 공전하는데, 정지 궤도 위성의 경우 그 속력이 무려 약 3km/s 이다.인공위성은 1년 365일, 하루 24시간 내내 스스로의 임무 수행을 위해 계속되는 전력공급원을 가져야 한다. 그렇다면 저 심해 같은 우주에서 인공위성은 어떻게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을까? 바로, 오늘날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태양전지판 덕분이다. 태양전지판은 우주의 무한한 순수에너지인 태양에너지를 변환시켜 전력을 만든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현재 인류가 만든 물건 중에서 가장 빠른 물건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로켓이 다른 제트 엔진에 비해 유리한 점은 배출 가스의 속도와 크기가 크기 때문에 고속에 유리하다는 것이다. 마하 10 이상이면 로켓이 운용할 수 있는 유리한 추진 방법이고 지구 궤도 속도(마하 25)에 이를 수 있는 방법은 현실적으로 로켓이 유일하다. 또한 로켓만이 가지는 장점으로는 산소가 없는 곳에서 작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로켓은 대기권 밖에서 운용할 때 산화제를 함께 적재하여 추진제를 연소시킨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왜 발톱은 손톱보다 느리게 자라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발톱은 손톱보다 2~3배 늦게 자란다하루 자라는 속도는 0.05~0.075mm(사람마다 차이는 있다)​햇빛을 받거나 혈액순환 또는 신진대사가 손톱보다 활발하지 않아서 자라나는 속도가 느리다​발톱 역시 건강하지 못한 문제성 발톱을 살펴보면자라는 속도가 매우 느리다​관리받는 분들 중에는 한 달에 한 번 방문하시는데.. 전혀발톱이 자라지 않는 경우도 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말 땀은 투명하지 않다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보통 땀이라고 하면 체온의 방출을 위한 목적으로 땀샘에서 나온다고 알고 있다. 좀 후덕한 친구들 주변에 두었다면 여름에 검은 옷을 입고 있는 상황에서 땀을 육수 흘리듯 줄줄 흐르고 나서 마르면 하얀게 옷 주변에 묻어 있을텐데 이 때 몸에 염분도 배출하기 때문인데, 말의 경우에는 좀 더 특별한 성분이 있다고 한다. 말의 땀저 희여멀건 한게 뭔가 싶지만 말의 땀 속에는 라세린이라는 성분이 들어있다고 한다. 라세린은 비누의 성분인 계면활성제로, 말의 움직임이 격렬해지면 몸밖으로 배출된 땀이 비벼지면서 거품이 나게 되는 것이라고 한다.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