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형광펜이 형광으로 빛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형광 물질은 형광 현상을 일으키는 물질이다. 즉, 전자기파를 흡수해서 가시광선, 쉽게 말해 빛을 방출하는 물질이다. 물론 빛도 전자기파의 일종이니까 빛을 흡수해서 다른 색의 빛을 내기도 한다. 형광 물질은 형광등, CRT, PDP, 백색 LED 등등에 사용된다.물질이 빛을 내는 방식에는 크게 나눠 2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백열현상(incandescence)으로서, 물질을 뜨겁게 달궜을 때 빛이 나는 것이다. 이 때는 모든 원자가 빛을 낸다. 다른 하나는 발광(luminescence)으로서 가열되지 않아도 빛을 내는 현상인데, 이 경우 발광 중심이라 불리는 일부의 원자만이 빛을 낸다. 형광(fluorescence)은 발광의 한 종류고, 물질의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높은 에너지 준위(들뜬 상태)로 올라갔다가 곧 낮은 에너지 준위로 내려 오면서 빛을 내는 것이다. 형광 비슷한 현상으로 인광(phosphorescence)이 있다. 전자가 에너지를 받아 들뜬 상태로 올라갔다가, 형광처럼 바로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단 다른 에너지 준위로 이동한 후에 원래대로 내려오는 것이 인광이다. 따라서 인광은 형광에 비해 상당히 느린 현상이고, 그에 따라 빛도 형광에 비해 오래 지속된다. 대부분의 야광은 인광을 이용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국제적으로 우주에서의 핵실험이 제한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포괄적 핵실험 금지 조약(包括的 核實驗 禁止 條約, 영어: Comprehensive Nuclear Test Ban Treaty, CTBT)은 모든 핵실험을 금지해 새로운 핵무기 개발과 기존 핵무기의 성능 개선을 막기 위해서 마련한 것이다.핵무기 확산 현황 핵무기 보유국 나토 핵무기 공유국가 NPT 국가 비핵지대CTBT 비준국 발효 요건 서명 비준 발효 요건 서명 발효 요건 비서명 비발효 요건 서명 비준 비발효 요건 서명 비발효 요건 미서명1996년 9월 유엔 총회에서 조약안이 채택됐으며 5대 핵강국인 미국, 러시아, 중국, 영국, 프랑스를 포함해 154개국이 서명했다. 유엔의 부속 기관인 포괄적 핵실험 금지조약 기구(CTBTO)가 조약 가입 국가의 시찰과 감시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조약은 '발전용 또는 실험용 원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국가'라고 지명한 전 세계 44개국 모두가 서명하고 비준해야 발효한다. 2004년 44개 중 영국과 프랑스 등 36개국이 비준했다. 5개국은 서명만 하고 비준은 하지 않았으며, 인도, 파키스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비준은 물론 서명조차 하지 않았다. 대한민국은 서명과 비준을 모두 마쳤다. CTBT에 반대하는 국가들은 핵무기 감축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핵보유국의 기득권만 보장한다며 조약을 비판하고 있다.
Q. 휴대폰 고속충전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속 충전기 구분을 위해 확인해야 될 것은 크게 3가지입니다.고속 충전기인가?(15W 이상의 출력을 가진 충전기인가?)고속 충전이 지원되는 기기인가?고속 충전이 지원되는 케이블인가?위 3가지 중에서 1개만 부족하더라도 고속 충전을 할 수 없습니다. 아래에서 각 항목별로 자세한 확인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고속 충전기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으로는 충전기 확인 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충전기의 출력 와트를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참고로 고속 충전을 위해서는 고속 충전기 뿐만 아니라 고속 충전기, 고속 충전이 지원되는 기기, 고속 충전 케이블을 모두 갖춰야 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슈퍼문을 볼 수 있다고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슈퍼문(supermoon)은 근지점[1]에 있을 때의 달을 말한다. 특히, 근지점에 있을 때의 달 중에서, 그때의 달이 보름달일 때를 말한다.[2][3] 이 때 해수면 상승 현상이 발생한다. 이때가 1년 중 달이 가장 크다.달은 지구 주위를 원에 가까운 타원형으로 공전한다. (달의 공전궤도 이심률은 0.05488이다.[5]) 따라서, 근지점에 올 때가 있는데, 이때, 달이 평소보다 크게 보인다. (즉, 겉보기 크기가 평소보다 크다.) 이를 슈퍼문이라고 한다. 특히, 근지점에 있을 때의 달 중에서, 달과 지구 사이의 거리가 대략 357,000km 정도일 때, 그리고 이때의 달이 보름달일 때를 슈퍼문이라고 한다.[
Q. 테스라봇 나마스테 동작이 대딘한건가여?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요가에서 자주쓰이는 나마스떼는 산스크리트어이다. 인도와 네팔에서 주고 받는 인사말이다. 만났을 때뿐만 아니라 작별할 때도 사용한다. 공식적인 혀태로는 나마스카르가 있다. 나마스(namas)는 "머리를 낮춘다, 자세를 낮게한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떼(te)는 "당신"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두 가지의 의미를 합치게 된다면 "당신에게 인사합니다.", 혹은 "그대에게 고객를 숙입니다.", "당신을 존경,존중합니다." 더불어 "당신이 믿는 신도 존경합니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인사할 때, 두 손을 모은 후, 나마스떼(namaste)로 인사를 한다.나마스떼라고 인사를 할때, 두손을 모아 합장을 하는데 이것은 상대방에 의한 예의 혹은 존경을 의미한다. 요가에서 시작과 끝을 나마스떼하면서 시작과 끝을 알리기도 한다. 더불어 나마스떼 동작은 하트 차크라(haart chakra)에 신성이 있다고 믿는 동작이다. 그 동작은 자신의 영혼이 다른이의 영혼과 함께 있다는 것에 대한 감사의 표시이기도 하다. 가슴차크라에 손을 모은다는 것은 신성한 사랑의 물결을 증폭시킨다. 눈을 감고 머리를 숙이는 것은 신성에 순응하는 마음을 키우는 것이다. 나마스떼는 가슴차크라의 깊은 곳으로 가는 명상 기술이 될 수 있다. 함께 나마스떼를 한다면, 그게 빠르든 느리든 명상이 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