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캐나다 등지에서 볼수있는 오로라는 어떤 원리로 나타나는 현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를 비롯한 대부분의 태양계 행성에서 극지방 가까이에서만[7] 오로라가 나타나는 이유는 자기장 때문으로, 태양에서 날아오는 대전입자(태양풍)가 지구 가까이에 오면 대부분 지구 자기장 밖으로 흩어지지만, 그 중 일부가 밴 앨런대에 붙잡혀서 북극과 남극으로 모이게 된다. 이것이 상층 대기[8]와 충돌하면서 방전을 일으키는 것이 오로라이다. 열권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대류권의 기상 현상[9]에 가려지면 볼 수 없다.극관 글로 오로라는 태양의 플레어 현상 때 태양에서 직접 날아오는 100만eV 이상의 고에너지 양성자가 직접 극관지방에 입사함에 의한 것이다. 입사입자는 높은 운동에너지를 가진 양성자이기 때문에 대기권으로 침투하는 깊이가 깊고 따라서 오로라 고도는 낮다. 대기권에서 양성자가 전자를 포착해서 중성수소로 변하기 때문에 수소의 휘선(Hα, Hβ 등)이 강하다.대형 오로라는 항상 변동하며, 가장 현저한 활동은 오벌의 한밤중의 부분에서 밝기가 증가하여 격렬해지기 시작하고 몇 분 사이에 오벌의 폭이 수백km로 확대되면서 폭발적으로 발달한다. 이를 오로라폭풍이라고 한다.
Q. 화학 용어 중에 보체가 무슨 뜻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정상동물의 신선한 혈액 ·림프액 속에 함유된 효소 모양의 단백질의 일종이다. P.에를리히가 보체라고 명명하기 전에는 알렉신(alexin)이라고도 하였다.열에는 약하고 혈청을 56℃로 30분 가열하면 파괴된다. 살균성을 가진다고만 알려졌는데 용혈현상(溶血現象) ·용균(溶菌)현상 ·보체결합반응에도 없어서는 안 되는 혈청성분으로 C'라고 약칭하며, C'1, C'2, C'3, C'4라고 표시되는 4개의 성분에 의하여 보체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된다.C'는 보체 complement의 약자로서 신선혈청의 글로불린분획(分劃)에 존재한다. 혈청학 실험에는 기니피그의 신선혈청이 널리 사용되는데 이것은 보체작용이 강하고 어느 항원세포에도 평균하여 작용하기 때문이다.보체에는 면역학적 특이성이 없으나 항원에 단독으로 결합할 수 있으며, 항원 또는 항체의 결합물에도 결합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보체가 관여하는 면역반응에는 용균반응, 용혈반응이 있다.동물의 혈청 속에 정상적으로 포함되어 있고, 혈청학적 용해 반응에서 용해소를 도와 항원 세포를 용해시키거나 항원 항체 복합체에 결합하거나 하는 혈청 성분으로 C'로 약칭되고 있다. 따라서 그 작용에 의해 이름지어진 성분으로 화학적으로는 불분명한 점이 많지만, 적어도 C1', C2', C3', C4'의 4성분의 협력에 의해 그 작용을 나타낸다고 생각된다. C1'(중절(英 mid piece)이라고도 한다)는 신선 혈청의 글로불린 분획에 존재하며 56℃에서 10~30분 가온하면 그 작용을 잃는 성분이고, 이동도는 2.9×10-5cm2/Vㆍsec, 등전점은 pH 5.2~5.4라고 한다. C2'(말절(英 end piece)라고 한다)은 신선 혈청의 알부민 분획에 속하며 C1'과 같이 56℃에서 10~30분 가온하면 그 작용을 잃어 무코글로불린이라고 생각되며 이동도는 4.2×10-5cm2/Vㆍsec, 등전점은 pH 6.3~6.4로 여겨진다. C3'(제3성분이라고도 한다)는 코브라독에서 선택적으로 파괴되며 또 효모로도 선별적으로 제거되고, 56℃에서 10~30분 가온해서는 그 작용을 잃지 않는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과학 용어 중에 방사대칭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산대칭 ·복상대칭이라고도 한다. 좁은 뜻의 방사대칭은 원생동물인 방산충류 ·태양충류와 같이 몸이 구형이어서 몸의 중심점을 지나는 어떤 면으로 잘라도 서로 같은 반으로 나눌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해면 ·말미잘과 같이 몸의 주축(상하축)을 포함한 3개 이상의 면에서 똑같은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것도 방사대칭이라고 한다. 대칭면이 2개로 한정될 때를 이방사대칭이라고 하며, 빗살해파리류가 그 보기이다.생물체가 몸의 중심을 지나는 3개 이상의 면(대칭면)에 의하여 서로 경상관계(鏡像關係)에 있는 똑같은 2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 체제이다. 좁은 뜻으로는 몸이 구형이어서 몸의 중심점을 지나는 어떤 면으로 잘라도 서로 같은 반으로 나눌 수 있는 경우를 말하기도 하는데, 원생동물인 방산충류 ·태양충류가 그 예이다. 몸의 주축을 포함한 3개의 면에서 나눌 수 있는 것으로는 해면 ·말미잘 등이 해당된다.
Q. 디스플레이 중에서 LED, LCD, OLED, QLED 차이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QLED와 OLED 차이점1. 패널 구조QLED와 OLED은 생산 및 패널 구조부터 다릅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QLED의 경우 기존 LCD 패널 구조에서 QDEF를 추가한 것입니다. 그에 반면 OLED는 유기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해 기존 LCD 패널과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즉 단순히 "기술력"에 초점을 맞춘다면 OLED가 QLED에 비해 더 진화된 패널입니다. 2. 생산단가생산단가는 QLED에 비해 OLED가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이는 패널의 소재 가격 차이도 있지만 수율 문제도 있습니다. 수율이란 생산된 제품 중 "정상품"에 비율을 말합니다. 즉 OLED가 비싼 이유는 수율이 LCD에 비해 낮은 데다가, 기술력 및 원자재 단가 역시 LCD에 비해 높기 때문입니다.3. 명암비와 밝기명암비와 밝기는 우리가 TV를 시청할 때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는 부문 중 하나입니다. 명암비란 디스플레이가 가장 밝은 색과 가장 어두운 색을 얼마나 잘 표현하는지에 대한 수치입니다. 명암비는 OLED가 QLED 대비 압도적으로 유리합니다. 앞서 설명드렸다시피 QLED는 기존 LCD와 동일한 구조이기 때문에 백라이트가 있습니다. 그리고 백라이트에서 새어 나오는 빛을 완벽하게 차단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그에 반면 OLED는 백라이트가 없고 픽셀 화소 하나하나가 직접 빛을 내는 소자이기 때문에 명암비는 거의 무한의 가깝습니다. 밝기 및 시인성 부문에서는 OLED보다 QLED가 더 우수합니다. 즉 OLED는 암실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 매력도가 매우 높고, QLED는 밝은 공간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 매력도가 높습니다.OLED 패널의 장단점은?장점OLED 패널의 가장 큰 장점은 뛰어난 화질과 명암비입니다. 더불어 색재현율 역시 QLED 패널에 비해 우수합니다. 이로 인해 OLED TV는 영화와 같은 영상 콘텐츠를 즐기기에 매우 적합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구조상 백라이트가 없기 때문에 QLED TV에 비해 두께와 베젤이 얇습니다. 이 또한 영상 콘텐츠의 몰입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 중 하나입니다. 추가로 OLED 패널은 QLED 패널에 비해 넓은 시야각을 가지고 있습니다. 거실에서 여럿이 TV를 보는 가정이라면 큰 장점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때문에 차량용 디스플레이에 탑재되는 패널은 OLED입니다. 단점OLED 패널의 가장 큰 단점은 번인현상입니다. 번인현상이란 디스플레이 화소가 타버려서 누렇게 잔상이 생기는 것을 말합니다. 이전에는 이 번인현상이 크게 문제가 되었지만, 패널 개선 및 A/S 정책 보안으로 인해 이전보단 문제가 덜 합니다. 그러나 아무리 패널이 개선되었다고 하지만 번인현상을 피할 수 없습니다. 추가로 QLED 패널에 비해 밝기가 부족합니다. 주로 아침, 낮 시간 대 밝은 공간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 약간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최근 공개된 LG OLED evo 패널은 밝기를 개선하였지만, QLED에 비해 상대적으로 밝기가 부족한 것은 사실입니다.QLED 패널의 장단점은?장점QLED 패널의 가장 큰 장점은 OLED TV 대비 저렴한 가격과 밝기입니다. 같은 스펙(사운드바, 화질 등)이라 했을 때 QLED는 OLED TV에 비해 약 100만 원가량 저렴합니다. 그리고 OLED TV 대비 밝기가 매우 우수합니다. 주로 아침, 낮 시간대 밝은 공간에서 TV를 시청하는 경우 밝기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추가로 QLED 패널은 구조상 LCD 패널이기 때문에 번인현상이 없습니다. 더불어 기존 LCD 대비 화질 및 색재현율이 우수합니다. 단점명암비와 화질, 색재현율 등 OLED TV에 비해 떨어집니다. 만약 본인의 TV 시청 시간이 주로 밤이면서 영화와 같은 콘텐츠를 즐긴다면, 이는 매우 큰 단점일 수도 있습니다. 더불어 디스플레이 후면에 백라이트가 있어 TV 전력 소모가 높으며, OLED TV 대비 두께가 두껍습니다. QLED, OLED TV 무엇을 구매할까?QLED와 OLED는 장단점이 뚜렷합니다. 즉 본인이 주로 시청하는 시간대와 공간 그리고 콘텐츠가 무엇인지 파악한 후 가격 예산을 잡고 그것에 적합한 TV를 구매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