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태양광에너지는 300w면 발전을 얼마나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미니태양광 300W를 설치할 경우 발전용량은 한 달에 31KWh 정도이다. 이는 보통 양문형 냉장고1대를 돌릴 수 있는 전력이다.가정용 전기요금은 누진제로 월 평균 300kwh~500kWh 를 사용하는 가구가 미니태양광을 설치 할경우 월 7천~1만 원 전기요금을 절감 할 수 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주기율표는 누가 처음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주기율표(週期律表, 문화어: 주기률표, 영어: periodic table) 또는 주기표(週期表)는 원소를 구분하기 쉽게 성질에 따라 배열한 표로, 러시아의 드미트리 멘델레예프가 처음 제안했다. 1915년 헨리 모즐리는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를 개량시켜서 원자번호순으로 배열했는데, 이는 현대의 원소 주기율표와 유사하다. 원자 번호가 커짐에 따라 성질이 비슷한 원소가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성질인 주기성을 기준으로 원소들을 배열하였다. 주기율표의 가로행은 주기라 부르고, 세로열은 족이라 부른다. 주기마다 같은 성질의 원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같은 족의 원소들은 서로 유사한 화학적 특성을 보인다. 전자를 가지고 있으려 하는 비금속성은 대체로 오른쪽이 더 높으며, 반대로 전자를 주려고 하는 금속성은 대체로 왼쪽이 더 높다. 이러한 화학적 성질은 각 원소의 전자 배치에 기인한다. 118번까지 있어요: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류의 종류도 다양했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현재도 진화중리하고 할 수 있습니다. 여전히 동/서양인의 골격이 다르고 지역마다 다릅니다. 얼굴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1.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원인)약 200만년 전 아프리카 남부 지층에서 발견된 원숭이에 가까운 가장 오래된 인류 2. 호모 에렉투스(원인)약 50만년 전 인도네시아의 자바섬의 자바원인(직립원인)과 베이징 원인 3. 호모 사피엔스(구인)약 20만년 전 독일의 네안데르탈 원인 4.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신인)약 5만~3만년 전 현재 인류의 두뇌의 크기와 키가 거의 같으며 남프랑스의 크로마뇽인이 대표적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과거의 피라미드 또는 정교하고 방대한 문화를 가졋을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지들은 어떻게 누가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고대에도 수학과 과학에 관심있는 사람들이 있었고, 어떤 수학/과학적 지식은 지금보다 더 발달된 것도 있습니다. 피라미드(pyramid)는 각뿔, 특히 사각뿔 도형[1] 또는 돌이나 벽돌 등을 층층이 쌓아 만든 뿔 형상의 거대 구조물을 총칭하는 말이다. 한자로는 금자탑(金字塔)이라고도 부르는데, 뾰족한 모양이 한자의 쇠 금(金)자를 닮았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흔히 역사에 길이 남는 대상이나 행동을 '금자탑', '금자탑을 쌓다'고 하는데, 이는 바로 피라미드를 비유한 것이다. 이 밖에 '다단계 구조' 혹은 '상층부로 올라갈수록 좁아지는 구조'를 나타낼 때도 피라미드라 부른다.[2]흔히 피라미드라고 하면 이집트의 사각 피라미드를 연상하지만, 실제로는 삼각뿔은 물론, 각뿔 형태가 아닌 원뿔(콘)이 존재하기도 한다. 이러한 형태의 건축물은 세계 곳곳에서 발견된다. 마야 문명의 치첸 이트사, 아즈텍 등 남미 문명들의 제단으로 쓰인 계단식 돌 피라미드[3]나 중국 고대 황제의 무덤[4], 고구려의 장군총 같은 무덤들도 피라미드이며, 넓게 보면 지구라트도 피라미드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외에도 보스니아에 있는 거대한 흙 피라미드[5]나 요나구니 수중 유적 등 피라미드라고 '추정'되는 것들도 있다.넓은 밑면과 하나의 정점으로 모이는 형태는 고대 건축의 기술적인 제약 때문에 발생했다. 이렇게 아래가 넓고 위가 좁은 형태는 무게중심이 아래로 몰리기 때문에 매우 안정적인 형태인데, 고대에는 대형 건축물들을 붕괴의 위험 없이 높게 짓기 위해서 윗부분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밖에 없었다. 그 결과 고대 대형건물들의 상당수는 피라미드 같은 모양이 되었다. 물론 중력 법칙은 건축술이 더욱 발전한 현대에도 여전히 무시할 수가 없으므로 지금도 피라미드식으로 건물을 만들면 가장 내진 등에 안전하고, 이론적으로는 에베레스트산 높이로 만들기도 가능할 정도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의 자전 방향이 바뀌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뿐만이 아니라 모든 천체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겠죠? 또 자전방 향으로 인한 대기의 순환도 방향이 바뀌게 될 것입 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편서풍의 영향권에 있기 때 문에 대륙성 기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자전 방향이 바뀔 경우 편동풍의 영향권에 놓이게 될 것 이고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지 않을까요? 그렇다면 지금보다 연교차나 일교차가 적어질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또 불철에 기승을 부리는 황사와 미세먼 지는 우리나라가 아닌 다른 방향으로 날아갈 수도 있지 않을까요?자전의 방향이 바뀌면 해류의 방향도 변하게 됩니 다. 북반구에서는 시계방향, 남반구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돌고 있는 해류가 반대로 바뀌겠지요. 현 재 사하라사막의 서쪽이나 칼라하리 사막, 호주의 서부 등은 한류의 영향으로 사막이 발달했다고 합 니다. 그렇다면 해류가 바뀔 경우엔 난류의 영향을 받아 사막이 아닌 녹지가 조성되지 않을까요? 반면 우리나라는 한류의 영향권에 놓이게 되어 지금보다 기온이 낮아지고 강수량도 더 적어질 수 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류의 뇌 용량이 커진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뇌 용량과 진화인간의 뇌가 다른 동물들보다 큰 이유는 여러 가지입니다. 하나의 이론은 뇌 용량이 늘어나면서 더 복잡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사회적 요인또 다른 이론은 사회적 요인이 큰 역할을 했다는 것입니다. 복잡한 사회 구조와 상호작용을 통해 뇌가 발달했다는 이론이 있습니다.생존과 자원생존과 자원도 뇌가 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습니다. 더 큰 뇌는 더 효율적인 자원 활용과 생존 전략을 가능하게 했습니다.인간의 뇌 진화, 뇌의 3층 구조, 그리고 인간의 뇌가 커진 이유는 모두 인간이 지금의 복잡한 사회와 문화, 기술을 만들어낼 수 있는 기초를 형성합니다. 이러한 이해는 우리가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미래의 발전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세 가지 주제는 뇌의 복잡성과 기능, 그리고 그것이 어떻게 인간의 문화와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감열지에 열을 가하면 색이 나오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열에 반응하는 특수한 종이. 열을 가한 부분만이 검은색 등으로 변색된다. 감열식 프린터용지나 팩시밀리 기록지로서 사용된다. 열전사식 프린터에서는 이 용지를 사용하면 고가이나 소모가 심한 잉크 리본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쇄가 가능하다.
화학공학
화학공학 이미지
Q.  감열지에 사용되는 비스페놀A가 만지기만해도 피부에 흡수된다고 하는데 어떤 원리 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요즘은 국가에서 비스페놀A의 위험성 때문에 대부분 영수증에 BPA FREE라고 뒷면에 적혀 있습니다. 그래서 안심하고 영수증을 맨손 그대로 만지는 분들이 있을 텐데요, 절대 안 됩니다. 비스페놀A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유사물질인 비스페놀 S(BPS)로 대체 되었기 때문입니다. 비스페놀 S뿐만 아니라 비스페놀 F(BPF)도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영유아의 물품에는 비스페놀A의 사용을 2012년부터 금지했지만, 무슨 효과인가 싶습니다. 유사 화학물질인 비스페놀 S와 비스페놀 F의 사용량이 상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비스페놀A 환경호르몬 조심하기영수증은 절대 맨손으로 만지지 않기전자영수증으로 대신 받기(100원씩 적립도 가능)핸드크림을 바르고 영수증은 절대 만지지 않기만약 종이영수증을 받게 된다면 뒷면으로 잡기되도록이면 친환경 제품 사용하기통조림음식(캔) 피하기플라스틱 통 보다는 스테인리스나 유리그릇 사용하기뜨거운 음식은 플라스틱 통에 담지 않기전자영수증으로 받으면 만지지 않아도 될뿐더러 건당 100원까지도 적립됩니다. 밑에 사이트를 걸어 둘 테니 가입하시면 매달 적립금이 들어온다고 합니다. 사실 이미 우리는 비스페놀A에 많이 노출되었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조심해야 하며, 앞으로 장시간 더 노출된다면 생식기능이 정말 제 기능을 못 할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뉴럴링크가 완벽하게 구현된다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직까지 인간을 대상으로 제대로 된 실험 입증이 되지 않았으며, 온전히 자사에서 주장하는 사례들이다.파킨슨 병처럼 뇌와 근육간의 연결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시각 피질의 신경세포를 모방하여 뇌에 직접적인 신호를 전달하면, 시력에 문제가 있는 사람들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사용하는 카메라에 따라 가시광선 외에도 레이더처럼 적외선, 자외선 등도 관찰이 가능할 것이다.현재 인류는 컴퓨터의 인터페이스를 손으로 다루고, 얻은 데이터는 금방 까먹는다. 따라서 이식한 칩을 통해 인터페이스를 시각으로 다루어 입력 속도를 높히고 호출 가능한 데이터 처리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린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소행성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와 소행성 충돌 확률이 전무하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금까지 인류가 발견한 소행성들이 지구와 충돌할 확률은 매우 낮다. 매달 평균 3~4차례 소행성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게 지나가지만 대부분 위협적이지 않다. 소행성은 궤도를 얼마나 오랜 기간 정밀하게 관측해 왔고, 위치를 분석하느냐가 중요하다. 거리보다 궤도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최초 발견 이후 추가 관측을 통해 제대로 된 궤도를 분석해야 한다.​이번 소행성은 첫 발견 이후 23년 동안 궤도 분석이 이뤄졌기 때문에 천문학자들이 궤도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있었다. 오래전에 발견하거나 크기가 큰 근지구소행성들은 궤도 분석이 많이 이뤄져 안전하다. 반면 작은 소행성들은 지구에 가까이 다가왔을 때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이들은 지구와 충돌해도 대기권에 진입하면서 대부분 소멸한다.​▲소행성은 주로 화성과 목성 사이에 대부분 존재한다. 2020년 5월 기준 근지구소행성만 2만2000개가 넘고, 이중 지구 위협소행성은 2084개에 이른다.​-역사적으로 주목할 만한 지구와 소행성 충돌 사례에는 어떤 것이 있나​▲2013년 2월 15일 러시아 남서부 첼랴빈스크 상공에서 유성체 폭발 사고로 많은 사상자와 건물 피해가 발생했다. 이를 계기로 국제 사회가 소행성 충돌을 바라보는 관점이 바뀌었다. UN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IAWN)가 가동되고 국제사회 공동 대응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도 국제 공동 캠페인에 참여해 칠레, 남아공, 호주 등에서 소행성을 관측하며 소행성 탐지와 경로 분석을 하고 있다.​-앞으로 다가올 소행성 중 위협적인 소행성이 있다면​▲2029년 4월 13일경 아포피스(APOPHIS)라는 소행성이 지구에 근접한다. 지난 2004년 발견 이후 관측을 해왔는데 2029년에는 지구정지궤도위성 고도인 3만 6000km보다 더 가까이 지구에 근접한다. 천문학자들이 관심을 갖고 정확한 궤도계산을 하고 있다. 이 외에 위협이 될만하거나 충돌할 확률이 높은 소행성은 지금까지 발견한 소행성 목록중에서는 아직 없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