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확히 유기물과 무기물의 차이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금 ‘유기물’은 동물이나 식물, 미생물의 몸을 구성하거나 이들 생물체가 만들어 낸 화합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에요. 유기물에는 탄소 성분이 들어 있어, 불로 태우면 연기를 내며 검게 타요. 우리가 섭취하는 주요 영양소인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비타민이 유기물에 속한답니다.유기화합물을 제외한 모든 화합물이며, 탄소를 함유하지 않은 화합물과 탄소를 함유하는 간단한 화합물인 산화물·사이안화물·탄산염 등을 말한다. 무기물(無機物)이라고도 한다. 즉, 탄소 이외의 원소만으로 이루어지는 화합물 및 탄소를 함유하는 화합물 중에서도 비교적 간단한 것을 총칭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행성이 서쪽서 동쪽으로 자전을 하는 이유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코리올리효과(Coriolis effect)는 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효과로서 관성 좌표계에서 회전하는 물체를 관찰자가 물체와 동일한 회전 좌표계에서 관찰했을 때, 관찰자가 느끼는 물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를 코리올리효과라 한다.이때 힘의 크기는 물체의 속력에 비례한다. 지구의 회전으로 인해 발생하는 코리올리효과의 대표적인 예로 북반구에는 물체의 운동이 오른쪽으로 벗어나고,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벗어나는 것이다. 코리올리효과에 의한 힘은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하므로 크기는 변화시키지 못하고 방향만을 변화시킨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눈을 감지 않으면 눈이 따갑습니다. 왜 이런 현상이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시리고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으며 콕콕 쑤시는 느낌, 건조함을 호소한다. 쉽게 눈이 피로하여 잘 뜰 수가 없고, 눈을 감고 있으면 편하며, 눈을 뜨면 증상이 심해진다. 특히 겨울철 외출 시 찬바람을 맞으면 눈물이 줄줄 흐르며, 심한 경우 두통을 호소하기도 한다. 외관 상 눈이 약간 충혈 되어 있다. 이런 여러 증상은 한 사람에게 모두 나타나는 것은 아니고 이 중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증상을 함께 보이게 된다. 심한 경우 안구 표면이 손상된다.진단/검사세극등 현미경 검사 및 안구표면 염색 검사를 시행하여 각결막의 건조 상태, 눈물띠의 두께, 각막의 염증 유무, 눈꺼풀 테의 염증 유무와 정도를 측정한다. 특정 기구나 검사 장비를 이용하여 눈물 분비량, 마이봄샘, 눈물 막의 두께 및 지질 성분, 눈물의 오스몰, 눈물의 염증성 물질 측정 등을 시행해 볼 수 있다.치료안구 건조증의 원인에 따른 치료를 한다. 눈물층은 각막(검은자)쪽에서부터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으로 나뉘게 되는데, 각 층의 부족성분을 보충해주는 안약을 점안할 수 있다. 안구의 염증이 주된 원인일 경우 항염증 치료를 시행한다. 마이봄샘 기능 장애 및 눈꺼풀 염증의 경우 온찜질 안대, 눈꺼풀 마사지, 눈꺼풀 테의 청소를 시행한다. 최근에는 IPL 레이저를 이용한 치료가 도움이 된다는 보고도 있다.가장 보편적인 치료법은 인공 눈물 점안이며, 눈물점을 막아 배출되는 눈물의 양을 줄이기도 한다. 안구 건조를 일으키는 원인 질환이 확실한 경우에는 해당 질환을 치료하면 호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