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Q.  식물끼리 서로 소통한다고 하는데 진짠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근 연구에 따르면 식물 역시 외부로부터의 위협을 감지하고 방어하는 기제를 가지고 있는데, 그 기제의 핵심은 세포 간 의사소통(신호 전달)에 있다. 식물은 외부의 공격으로 상처를 입으면 위험 신호를 몸의 다른 부분에 전달하고 침략자를 쫓기 위한 방어 태세를 갖춘다. 위험 신호의 장거리 운반자, 칼슘 이온 칼슘 이온은 동물의 체내에서 전기적, 화학적 신호를 운반한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 위스콘신-매디슨 대학교의 식물학자 시몬 길로이(Simon Gilroy)와 토요타 마사츠구(Masatsugu Toyota) 박사 연구진은 애기장대(Arabidopsis thaliana)를 대상으로 한 최근 연구에서 식물이 감지하는 위험 신호 역시 칼슘 이온을 통해 전달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자들은 칼슘 이온의 양이 늘어난 곳에서 녹색 빛이 나도록 애기장대에 녹색 형광 단백질(GFP, green fluorescent protein) 유전자를 투입하고, 애기장대의 이파리를 가위로 자르거나 애벌레가 갉아 먹게 한 후 칼슘 이온의 움직임이 어떠한지를 추적했다. 그리고 현미경을 통해서 애기장대의 한쪽 잎이 먹히거나 잘려나간 후 몇 초 지나지 않아 해당 위치에 녹색 빛이 들어오고 이 빛이 곧 주변으로 옮겨져 다른 잎들로 퍼져나가는 것을 관찰했다. 특정 부분의 칼슘 신호가 단기간에 장거리를 이동한 것이다. 칼슘 이온은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방어 기제들을 수반한다. 칼슘 이온이 지나가는 곳에는 스트레스 호르몬인 자스몬산(jasmonic acid)이 만들어지며, 이것은 식물이 물리적으로, 화학적으로 외부의 위협을 방어할 수 있게 해준다. 자스몬산은 세포벽을 단단하게 만들어 먹기 어렵게 만들고, 자스몬산의 산물인 메틸 자스모네이트(methyl-jasmonate)는 공기 중으로 분사되어 곤충의 소화를 방해한다.
Q.  새벽에는 왜 소리가 더 멀리까지 전달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밤에는 이러한 소음들이 대부분 사라지고 먼 곳에서 들려오는 소리도 멀리까지 퍼질 수 있습니다.당장에 집에서 들리는 시계바늘 소리만 생각해 봐도 낮에는 들리지 않지만 밤에는 시계바늘 움직이는 소리만큼 큰 소리도 없습니다.
Q.  최초의 인류의 조상이 루시라는 사실의 근거는 어떤 이유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최초의 인간은 누구일까”라는 문제는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유발한다. 나의 부모님에 부모님, 또 그 부모님의 부모님. 이렇게 끝이 없는 반복된 물음 속에서 최초 인간의 모습을 예측하는 것은 흥미진진하면서 수수께끼를 푸는 듯한 느낌이다. 이러한 감정들이 모여 탄생한 예술품, 최초 인간 루시가 많은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있다. 우리나라에 소개된 루시는 ‘최초의 인간’ 혹은 ‘인류의 조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루시(Lucy)는 1974년 에티오피아 하다르 계곡에서 발견된 318만년 전 두 발로 걸었던 최초의 여성 인류 화석이다. 우리들에게 익숙하게 느껴지는 ‘루시’는 발굴 당시 유행하던 비틀스(Beatles)의 ‘루시 인 더 스카이 위드 다이아몬즈(Lucy in the sky with diamonds)’라는 노래에서 따온 이름으로, 새로 발견한 화석에 이름을 붙이려할 때 이 곡이 사람들의 귀를 스치고 지나가 붙여졌다는 일화가 있다. 발견 이후 루시는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Australopithecus afarensis)로 직립보행을 하는 인류 초기 조상 중 하나로 간주되어 왔다.
Q.  공룡과 가장 비슷한 생명체는 뭐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공룡이 지구를 지배하던 시절부터 살아온 원시 양서류 '무족영원'이 미국에서 산 채로 처음 발견돼 화제다. 플로리다자연사박물관은 28일(현지시간) 최근 미 플로리다남부 터마이애미 운하에서 무족영원이 발견됐다고 발표했다. 이 괴생명체의 이름은 무족영원(발없는영원·Caecilian)으로 개구리·두꺼비·도롱뇽과 같은 양서류다. 양서류중에 가장 원시적인 무리로 눈도 발도 없다. 지렁이같지만 크기는 수십배로 장어와 비슷한 크기다. 얼핏 보면 구렁이와도 비슷하다. 마이애미 해럴드에 따르면 무족영원은 마이애미국제공원 인근에서 플로리다주 야생동물보호국 관계자에 의해 발견됐다. 플로리다자연사박물관 측은 유전자 분석 결과 이 무족영원은 남미 북부 콜롬비아와 베네수엘라 출신인 리오 코카 티프로넥테스 나탄스인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Q.  중력의 힘은 어디서 생기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질량이 있는 모든 물체 사이에는 서로 끌어당기는 만유인력이 작용한다. 특히 지구가 물체를 잡아당기는 힘을 중력이라 한다. 정확히는 만유인력과 지구의 자전에 따르는 원심력을 더한 힘이다. 중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리는 공중에 떠 다니지 않고 지표면에서 생활한다.
8168178188198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