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새우를 소금위에 굽는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이유는 소금은 녹는점(800도씨)이 높아서 후라이팬에 녹거나 붙지 않기에 새우가 팬에 붙어서 타는걸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냥 구우면 겉은 타고, 속은 안익는 경우가 생길수 있겠죠? 이걸 방지하면서 새우의 속까지 골고루 익힐 수 있도록 열을 전달합니다.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유리컵에 뜨거운 물을 담으면 왜 깨지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주 차가운 유리의 경우 갑자기 뜨거운 온도의 물질이 닿을경우 유리에 온도가 갑자기 올라가면서 팽창하여 유리가 깨지게 됩니다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호일을 만지다보면 왜 소름이 돋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호일은 은박이다 보니 금속으로 봐야겠죠~ 금속을 만지는 것에 소름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겨율모기는 도대체 어디에서 나오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온도가 지금보다 훨씬 내려가야 영하에 이러야 생식 주기가 느려져야 경험하는 불편함이 사라집니다.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2년 12월 12일 작성 됨
Q.
적설량을 재는 방법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기상관서에서 정의하는 적설(積雪)은 관측장소의 주위 지면이 반 이상 눈에 덮여 있을 때를 의미하고 이때 쌓인 눈의 깊이를 적설량이라 한다. 따라서 눈이 내렸어도 극히 소량이어서 관측장소의 지면을 절반 이상 덮지 않은 경우에는 적설로 보지 않는다. 적설량 측정 장소어떤 지점에서 적설의 깊이를 측정해 보면 장소에 따라 깊이가 상당히 다른 경우가 있다. 이것은 지면의 기복이나 건물 등의 영향때문이며 쌓인 눈이 바람에 날려서 나타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대표성이 좋은 관측값을 얻기 위해서는 되도록 평평하고 지형이나 건물의 영향이 적은 장소를 선택하여 그 평균값을 구한다. 적설량 단위적설의 깊이는 보통 cm 단위를 이용하고 눈이 깊을 때는 m로 나타내기도 한다. 적설량 측정 도구적설의 깊이를 측정할 때에는 관측장소에 cm 눈금이 새겨진 나무기둥을 연직으로 세우고 눈금의 0 을 지면에 일치시킨다. 이것을 설척(雪尺)이라 한다.
816
817
818
819
8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