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Q.  팽귄은 남극에서만 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사실 펭귄은 북반구에서도 발견된다고 해요. 여기 사는 몇 쌍의 갈라파고스펭귄은 남반구, 적도, 북반구에 모두 걸쳐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는데요, 이사벨라 섬의 남쪽 끝은 남위 1도에 있고 적도를 걸쳐 북쪽 끝이 북위 0.1도로 넘어가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이렇게 장난스러운 사실 말고는 북반구에 서식하는 펭귄은 더 없고, 북극에도 물론 서식하지 않는답니다. 펭귄은 왜 북극에서만 발견되지 않을까요?펭귄의 먹이가 되는 물고기는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에서 많이 서식하는데, 영양염류가 풍부한 물은 차가워요. 영양염류가 더욱 풍부한 차가운 물을 찾아가다 보니 남극까지 도착했고 이렇게 차가운 물에 적응해온 펭귄들에겐 따뜻한 적도의 바닷물이 북반구로 가지 못하게 막는 장벽이었답니다.
Q.  눈 이 아니고 어떤 경우에는 우박 이 내리는데 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박 성장은 강한 상승기류에 의해서 이루어지고, 공기덩이 상승 시 공기덩이의 온도가 전에 생긴 빗방울이 모두 얼어버릴 때까지 빙결점에 머문다고 보는 개념 모델의 한 부분이다. 강한 뇌우에서 나타는 특징인 상하층간의 큰 온도차와 강한 상승기류는 강우를 차가운 상층으로 밀어 올리고, 지속적으로 우박이 성장하는 조건을 만든다. 아래 그림 1은 우박 발생 모식도로 고도별 우박 분포를 상승기류와 함께 나타낸 것이다2). 하늘색 실선은 해발고도이고, 노란 실선은 강한 상승기류 백터이고, 흰색 점선은 기온 0℃ 빙결고도를 나타낸다. 하층의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가 상층으로 유입되어 0℃ 빙결고도가 주변보다 더 높은 고도에 형성되어 우박의 성장을 돕는다.
Q.  어떤 우박 은 크기가 커서 내릴 때 항아리가 깨지는 걸 보았던 적이 있는데요 가장 큰 우박은?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호주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매카이 북부 얄보루 지역에서는 지름이 16㎝에 달하는 우박이 관측됐다. 지름이 12~14㎝의 우박도 상당했다.기상청은 “일부 주민들이 손을 이용해 우박의 크기를 측정했는데, 이를 보고 매우 놀랐다. 자몽 크기의 우박이 있었다”면서 “16㎝의 우박은 호주 기상 관측이래 가장 큰 것”이라고 전했다. 이전까지는 지난해 10월 브리즈번 남서부 외곽에서 관측된 크기 14㎝의 우박이 가장 큰 것이었다.
Q.  핵폭탄의 폭발시 사람이 눈으로 폭발을 보게 되면 어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눈이 멀어요~핵폭발(nuclear explosion)은 핵반응이 빠르게 일어나 에너지가 급작스럽게 터져버리는 것을 뜻한다. 핵폭발은 핵분열과 핵융합으로 나눌 수 있다.핵무기나 핵장치에서 극히 짧은 순간에 대량의 에너지를 발산하는 과정에서 핵폭발 후 처음에는 엄청나게 강한 빛과 열의 구(光火球)를 만들고 계속해서 버섯구름을 발생시킨다.
Q.  진드기와 벼룩 차이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진드기진드기과 및 애기진드기과의 작은 거미류이다. 몸길이 0.2~10mm이다. 사람이나 가축의 피를 빨아먹는 흡혈 진드기류 중에는 몸길이가 약 2~10mm인 것도 있다. 머리·가슴·배가 한몸이다. 더듬이·겹눈·날개가 없고 걷는다리는 4쌍이다. 구조가 간단한 눈이 1~2쌍 있는데, 대부분의 응애에는 이 눈이 없어 서로 구별된다. 입틀로는 1쌍의 협각(鋏角)이 있다.번식은 암수의 교미를 통해 이루어진다. 부화한 유충은 약충(若蟲)을 거쳐 성충이 된다. 유충기에는 다리가 3쌍이지만 탈피하여 약충이 되면서 다리가 4쌍으로 된다. 알에서 부화하여 성충이 되기까지는 약 1개월이 걸린다.흡혈 진드기류는 일단 사람이나 짐승의 피부에 기생하면 며칠이고 계속해서 피를 빨아먹는데, 주로 방목지의 소나 말에 많이 붙어 산다. 그러나 이들 흡혈 진드기류 중에서도 사람이나 가축에 해로운 것은 약 10%에 불과하고 나머지 90%는 큰 해를 끼치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응애와 마찬가지로 형태에 변화가 많고 환경에 적응하는 양태도 다양하다.벼룩몸길이 2∼4 mm이다. 좌우로 밀어붙여 세로로 납작한 모양이며 날개가 없고 겹눈이 없으며 보통 2개의 홑눈만 있다. 더듬이는 짧고 굵으며 3마디이고 머리의 가로홈에 들어 있다. 입은 피각을 찔러 흡혈하는 데 적응되어 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밑마디[基節]는 매우 크고 발목마디[跗節]는 5마디, 뒷다리는 도약하는 데 적합하다. 배부는 옆에서 보면 난형에서 타원형이 보통이며 말단 마디 등면에는 특수한 감각기가 있다. 암수 모두 흡혈하는데 암컷이 크다. 벼룩이 한번 뛰어오르는 높이가 최대 20 cm, 거리는 35 cm나 도약한 기록이 있다. 벼룩은 페스트 외에도 발진열(發疹熱)을 매개한다. 세계 각지에 널리 분포한다.
8468478488498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