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요즘내리는 눈과비 미세먼지를 포함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아무리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비라도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pH 5.6 정도의 약한 산성을 띤다. 따라서 pH 5.6을 기준으로 pH 5.6 이하의 강한 산성을 띠는 빗물을 산성비라고 한다. 산성비를 일으키는 가장 큰 원인은 황과 질소 산화물이다. 이산화황은 산성비 생성의 약 84퍼센트 정도로, 무연탄 · 석유와 같은 화석 연료 속에 불순물로 들어 있는 황이 연료와 함께 연소할 때 생성되며, 주로 산업 시설에서 배출된다. 연료가 고온에서 연소할 때 공기 중의 질소가 산화함으로써 생성되는 질소 산화물은 이산화황에 비하여 산성비 생성에 적게 기여하지만 자동차의 매연 또는 천연 가스가 그 원인이 된다. 산성비는 토양의 산성화, 물의 오염, 삼림의 황폐, 건축물의 부식 등을 유발한다. 산성비가 내리면 호수가 산성화되므로 호수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준다.pH가 4.5 이하이면 호수의 거의 모든 생물종이 사라진다. 특히, 갑각류 · 달팽이 등은 산성에 매우 약하다. 또한 토양이 산성화되면 식물의 생존에도 영향을 주며, 대리석 건축물 · 콘크리트 교량이나 건물 · 철제 건축물 등을 부식시킨다. 이러한 산성비의 피해를 막으려면 이산화황과 질소 산화물의 배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자동차 연료는 황을 제거한 탈황 연료를 사용할 수 있지만 공장에서 사용하는 연료에서 황을 제거하기에는 너무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배기구에 탈황 시설을 하여 산화칼슘으로 이산화황을 흡수시킨다.질소 산화물의 배출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도심지에서 자동차 속도를 제한하는 방법도 사용되며, 도심지 내의 전기 자동차의 운행을 늘이는 방안도 고려하여야 한다. 한편, 산성화된 토양이나 호수를 중화시키기 위하여 재나 석회석을 뿌려 준다. 다만, 암모니아는 염기성이지만 악취를 풍기며, 수산화나트륨은 너무 강한 염기성을 띠므로 토양이나 호수의 중화제로 사용하기에는 곤란하다.
Q. 컴퓨터가 중간중간 계속 꺼지는 이유가 몰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컴퓨터 사용중 갑자기 꺼지거나, 부팅중에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하는 재부팅 증상을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컴퓨터가 중간에 꺼지는 문제는 하드웨어 문제일 확률이 높으며, 운영체제 드라이버와 하드웨어 문제, 시스템 파일 충돌 등으로 인해꺼지는 경우 보통 블루스크린을 노출하며 다운되거나 꺼지면서 문제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블루스크린이나 아무런 메시지 노출도 없이 갑자기 꺼지거나, 컴퓨터가 계속 재부팅되는 증상이 발생한다면 하드웨어를 우선 점검하셔야 합니다. 갑자기 꺼지는 문제와 재부팅이 계속되는 증상은 동일한 문제로 볼 수 있으며, 해결 방법도 동일합니다. 컴퓨터가 갑자기 꺼지는 문제는 아래 #첫번째 항목부터 / 재부팅이 계속되어 윈도우 진입이 안되면 아래 #두번째 항목부터 확인 및 실행 실행하시고 윈도우 진입이 되는지 확인 후 #첫번째 항목으로 재점검을 합니다. #첫번째. 점검 프로그램으로 하드웨어를 점검하자. 1. 윈도우에서 제공하는 메모리 점검 프로그램을 사용해 메모리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합니다.시작 버튼 클릭 -> 프로그램 및 파일검색 -> 메모리 입력 -> 상단에 Windows 메모리 진단 클릭 -> 지금 다시 시작하여 문제 확인 클릭 또는 윈도우키 + R -> 실행창 -> mdsched 입력 엔터 -> 지금 다시 시작하여 문제 확인을 클릭합니다. 윈도우 진입이 안되는 경우 재부팅 후 F9 번을 계속 누름, 부팅 관리자 메뉴에서 -> TAB 키를 눌러 아래 Windows 메모리 진단 엔터키를 눌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