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Q.  주기율표에 새로운 갱신된 원소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IUPAC는 4가지 원소의 이름과 기호를 공식화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공식 명명 전까지 잠정적으로 113번은 우눈트리움(Uut), 115번은 우눈펜튬(Uup), 117번은 우눈셉튬(Uus), 118번은 우누녹튬(Uuo)으로 불린다.IUPAC는 새 원소의 이름을 결정하기 전에 5개월간 제안된 이름을 일반에 공개해 검증하는 과정을 거친다.4가지 원소는 자연에는 존재하지 않고 실험실에서만 만들어낼 수 있는 물질이며 생성되더라도 매우 짧은 시간에 부식되는 바람에 존재를 입증하기가 쉽지 않았다.ADVERTISEMENT115번·117번·118번 원소는 러시아와 미국 공동 연구진이, 113번 원소는 일본 연구진이 각각 발견했다.규슈(九州)대 모리타 고스케 교수를 중심으로 한 이화학연구소 연구진은 113번 원소를 2004년과 2005년, 2012년 등 3차례 걸쳐 생성시켰다.4가지 원소가 추가되면 주기율표상의 일곱 번째 열이 최종적으로 완성됨을 의미한다고 CNN은 전했다.주기율표가 갱신되는 것은 2011년에 114번 원소와 116번 원소가 추가된 이후 4년 만이다.
Q.  얼마전에 지인으로부터 좋은 선물 하나를 받았는데..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레이저 조각기는 레이저의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재료를 조각하는 장치입니다. 레이저는 레이저 소스에 의해 방출되고 광학 경로 시스템을 통해 높은 출력 밀도의 레이저 빔에 집속됩니다. 레이저 빔의 빛은 표면 재료의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일으켜 흔적을 남기거나 빛이 재료의 일부를 태워 에칭이 필요한 패턴과 텍스트를 드러낼 수 있습니다.​CNC 조각기는 전기 스핀들로 구동되는 고속 회전 조각 헤드에 의존합니다. 가공 재료에 따라 구성된 도구를 통해 호스트 테이블에 고정된 가공 재료를 절단할 수 있으며 컴퓨터로 디자인된 다양한 평면 또는 입체 패턴을 새길 수 있습니다. 릴리프 그래픽과 텍스트는 자동 조각 작업을 실현합니다.
Q.  이퓨얼(e-fuel) 탄소중립 합성 연료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수송 분야에서 탄소중립 실현 수단으로 주목받는 합성연료로, 물의 전기분해로 얻은 수소에 이산화탄소와 질소 등을 합성하여 만든다.본문일렉트로 퓨얼(electro fuel; 전기 연료)의 줄임말로, 전기를 이용해 만들어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물을 전기분해하여 얻은 수소에 이산화탄소, 질소 등을 합성하여 만드는 합성연료이다. 이산화탄소를 합성할 경우 e-메탄올, e-가솔린, e-디젤 등이 생성되고, 질소를 합성할 경우 e-암모니아가 생성된다.태양광·풍력·수력 등의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으로 수전해기술(물을 전기로 분해하여 수소를 얻는 기술)을 사용하여 청정수소를 얻고 이산화탄소와 질소는 대기 중에서 포집하여 사용함으로써, 대기 중 탄소 농도를 높이지 않기 때문에 '탄소중립 연료'로 인정받는다. 휘발유·경유·항공유 등 기존의 석유계 연료와 비슷하지만 그보다 청정한 물성을 가지고 있는 친환경연료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다.기후변화에 따른 위기로 세계 각국은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화석연료를 태워 작동하는 내연기관차에 대한 환경규제를 강화하였다. 이에 자동차 업계는 내연기관차에서 전기차·수소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전기차 등이 대중화되기까지는 인프라 구축과 주행거리 개선 등과 관련된 여러 과제가 남아 있는데 이런 과정에서 등장한 것이 이퓨얼·바이오연료 등의 탄소중립 연료이다. 태양에너지를 사용함으로써 생성에 걸리는 시간이 긴 바이오연료(옥수수나 사탕수수 등으로 만드는 바이오에탄올, 식물성기름과 동물성지방으로 만드는 바이오디젤 등)에 비하여 이퓨얼은 제조시간이 짧아 대량생산에 유리하다는 특징이 있다.
Q.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의 원리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버스나 지하철 소음 속에서도 음악이 제대로 들립니다. 기기에 내장된 소음 조절기가 소음을 줄이거나, 소음이 잘 들리지 않도록 귀를 완전히 막아 지하철, 버스, 비행기 등의 외부 소음이 최대 90% 까지 감소합니다.
Q.  반달의 나머지 부분은 왜 안보이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이 뜨는 시간은 항상 다른거 아시죠? 하루에 50분씩 늦게 뜨는데요 그러면서 점점 달이 커져가다가 다 차면 점점 작아집니다.그런데 말씀하신것은 달이 반쪽만 보이는 이유를 말씀하셨는데요.보이는 부분은 태양의 빛으로 볼수있는 부분인데요. 지구의 그림자가 생겨서 달을 가린건 초승달이 아니구요 월식입니다.태양이 비추어져 보이는 부분이 우리가 볼수 있는 부분이구요 못보는 부분이 어두워서 안보이는겁니다 (검정부분이 우리가 볼수 있는 부분)
9319329339349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