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블루투스의 작동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줄여서 BT, 블투라고도 부른다. 과거 피처폰 시절에는 PAN(Personal Area Network)이라는 이름으로 탑재되기도 했다. 중국에서는 Bluetooth를 직역해서 蓝牙(lányá: 파란 이)이라고 부른다.이름의 유래는 덴마크의 왕이었던 하랄 1세 블로탄(Harald Blåtand)이다. 블로탄(Blåtand)은 '푸른 이빨'이라는 뜻인데, 이를 영어로 옮기면 블루투스가 된다. 하랄 1세가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일(연결)시키는 데 업적을 남긴 것처럼, 피처폰과 PC를 연결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 규격을 개발하기 위해 코드명을 블루투스로 정했다. 인텔의 Jim Kardach가 제안한 이름인데, 그는 마침 바이킹과 하랄 왕이 주인공으로 나오는 역사 소설을 읽고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제안했다. 또한 블루투스 로고도 하랄 블로탄의 이름을 룬 문자로 썼을 때의 머릿글자를 합친 것이다.(스칸디나비아 룬 문자로 ᛡ는 H, ᛒ는 B) 기술 개발 코드명은 그렇게 정했고, 상표명을 PAN이나 RadioWire로 정하려 했으나, PAN은 당시에도 USB, IEEE1394, IrDA 등을 포괄하는 의미로 쓰이고 있었고, RadioWire는 상표 출원에 시간이 걸렸는데 그 사이에 개발 코드명이었던 블루투스가 유명해지면서 상표명으로 정하게 되었다.
Q. 염산 같은건 어디서 채취해오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염화 수소 기체를 물에 녹인 용액인 염산은 무색이며 특유의 자극적인 냄새를 갖는 부식성이 있는 무기 산이다. 염산은 산-염기 반응을 통해 염기성 물질과 다양한 염산 염을 생성하며, 용액에서 두 이온이 완전히 해리하기에 강산으로 분류된다. 염산은 또한 염화수소 산(muriatic acid)이나 염화 하이드로늄(hydronium chloride)으로도 알려져 있다.서기 800년경 하이얀(J. i. Hayya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60% 또는 그보다 적은 양의 물이 함유된 염산은 가압하거나 냉각시키지 않으면 염화 수소 기체가 발생할 수 있다. 염산은 산업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의 단량체(monomer)인 염화 비닐(CH2=CHCl)을 생산하는 원료 물질로 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가정용 청소액, 젤라틴 생산, 식품 첨가물, 스케일 용해제 및 가죽 가공 과정 등에도 사용된다. 염산은 위에서 만들어지는 소화액에서도 발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