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심은채 전문가
태건씨엔디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18개월 남자아기는 어떻게 놀아줘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와 장난감으로 놀아주세요남자 아이라면, 블럭으로 건물과 도로, 건널목 등을 만들어서 자동차 놀이를 하는 것도 아이들은 좋아할 겁니다 또는 키즈 요가처럼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즐거운 활동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유아가 손씻기, 칫솔질 등의 개인 위생 습관을 형성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의 기본생활 습관은 정말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아이들에게 손씻기나 양치질은 아이들 앞에서 자주 하는 모습을 보여주시고 아이들이 그 모습을 보고 잘 따라할 수 있도록 신경을 써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손을 씻을 때마다, 양치질을 할 때마다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줘서 그 행동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수동적이지 않고 능동적인 아이가 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능동적인 아이로 성장하기 위해서는아이 스스로 뭔가를 하려고 하면, 안전상 크게 위험하지 않으면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도록 격려해주고 응원해 주시기 바랍니다아이는 혼자 뭔가를 했을 때 성취감도 생기면 자존감도 높아진답니다. 아이들은 보통 유아기때 까지는 부모와 함께 하는 시간이 많지만, 초등학교에 들어가면서 부터는부모 보다는 또래의 영향을 많이 받아서 이 때부터는 독립심도 생기고 스스로 알아서 하는 일들이 많아지게 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보통기저귀는 몇살때부터 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배변훈련은 아이가 어느 정도 스스로 의사표현을 하기 시작할 때 시작하면 됩니다 다른 아이들은 뗀다고 무리하게 시도를 하게 되면, 아이가 스트레스가 쌓일 수 있으니, 무엇보다 아이가 마음의 준비가 잘 되어 있는지가 중요할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아이가 울때 어떤식으로 달래주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글의 내용대로 아기가 울 땐 보통 배가 고프거나 기저귀가 젖었을 때 우는 경우가 많답니다그 외엔 성장통에서 오는 통증 또는 이 앓이를 하면 울기도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7개월된 아기가 새벽에 계속 깨는데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자는 도중에 새벽에 자주 깨서 울거나, 몸부림치거나, 보채는 경우는 아마도 성장통에서 오는 통증 때문에 그럴 수 있으니, 잠들기 전에 아이의 팔과 다리를 주물러 주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아이가 열이 나고하는게 2주이상지속되면 어떻하죠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병원에는 가 보셨을까요?고열이면, 해열제로 듣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구토도 한다면, 병원에 가서 cbc검사를 해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원래애들은 면종류좋아하나요?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마다 다르겠지만, 특히 라면을 좋아하는 아이들은 많을 것입니다하지만 성장기의 아이들에겐 라면은 절대 먹이시면 안됩니다라면은 포화지방산과 나트륨이 많기 때문에 자주 라면을 먹을 경우 나쁜 콜레스테롤과 혈전을 증가 시킬 수 있어요성인들도 라면이 몸에 안 좋기 때문에 멀리 하는데 한참 커가는 성장기의 아이들에겐 더욱 좋지 않을 것입니다. 조금씩 줄이시는 게 좋을 거 같습니다라면 끊일 때 양파나 파 채소 듬뿍 넣어서 주는 것도 좋아요또는 요즈음 튀기지 않는 건면도 이용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주양육자 말을 잘 않듣는 아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아이들의 특성이 부모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는 것이지요아이들은 부모님들의 말을 잔소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답니다. 아이에게 말을 할 땐, 되도록, 짧게 이야기 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서로 갈등이 있을 땐 잠시 자리를 피하시고, 서로의 감정이 가라 앉았을 때 차분하게 대화를 나눠야 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4일 작성 됨
Q.
말대꾸를 하는 아이를 어떻게 육아를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에게 말대꾸를 못하게 하면 아이의 반항심은 더 커질 것입니다.다만 표현하는 방법을 다르게 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 주셔야 합니다.이렇게 말해 보면 어떻겠니? 라고 올바른 표현법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576
577
578
579
5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