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혜정 전문가입니다.
최혜정 전문가
한우리독서토론논술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장난감은 몇 살때까지 가지고 노는 것이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장난감은 보통 7~8세까지 주요 놀이 도구로 사용됩니다. 그 이후로는 학습 및 창의적 활동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하지만 장난감은 상상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나이에 맞는 장난감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핸드폰과 디지털 기기 사용이 늘어나더라도 균형을 맞추고 물리적 장난감을 통한 놀이 시간을 유지하는 것이 아이의 발달에 유익합니다.
2024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아이 머리 감기기 너무 힘드네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5세 아이의 머리 감기는 정말 어렵죠. 하지만 그렇게 어렵지 않는 것이기도 합니다. 아이가 왜 머리를 감기 싫어하고 기겁하는지 이유를 찾아야 합니다. 아이에게 왜 머리 감는게 힘든지, 무서운지 물어보세요.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는 아이라면 인형 등을 사용하여 인형놀이로 그 상황을 만들어 대화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거품이 싫다면 처음에는 물만 해서 거부감을 줄여주거나 엄마나 아빠가 직접 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좋습니다.샤워 캡 또는 눈 가리개를 이용하거나, 장난감과 놀이를 활용, 아이의 얼굴을 뒤로 젖히기 연습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가 기겁을 하는 이유가 분명히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억지로 진해하기 보다는 차분히 아이와 대화하고 놀이형식으로 머리는 천천히 감는 연습을 해 보는 걸 추천합니다.
2024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소화잘 시키고 밥을 빨리먹는 아기, 소화만 잘시키면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기가 소화를 잘 시키고, 대변도 건강하게 잘 본다면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너무 빨리 먹는 습관을 계속 유지하게 될 경우 속쓰림이나 체할 위험이 있을 수 있으니 속도를 조금 조절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밥을 천천히 먹을 수 있게 격려해주세요.
2024년 10월 12일 작성 됨
Q.
아이는 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자란다는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는 부모의 뒷모습을 보고 자란다. 는 말은 부모의 행동과 태도가 아이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는 뜻 입니다. 부모가 노력하고 성실하게 사는 모습을 보면서 아이도 그런 가치관을 배울 수있고, 반대로 부정적인 모습을 보일 경우 아이가 그것을 보고 배울 수 있습니다. 결국, 부모의 일상적인 모습과 태도가 아이의 성격과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그러니 평소 부모의 행동은 아이에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2024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어떻게 아이와 놀아줘야 할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최혜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말을 배우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역할은 매우 중요합니다 .말을 시작하기 전의 아기와 놀아주고 교육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합니다.첫번째로 아기와 놀아주는 방법에는 감각 자극 놀이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기 때는 촉각, 시각, 청각을 자극하는 놀이가 좋습니다. 부드러운 천, 다양한 질감의 장난감, 빛과 색깔이 있는 물체를 보여주며 촉감과 시각을 자극해 주세요.그리고 간단한 노래나 동요를 불러주거나 동작을 넣어 함께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 과정에서 아기는 리듬과 단어에 익숙해지며 동작을 따라 하려고 노력하게 됩니다. 또 아기와 마주보고 웃는 얼굴 놀란 얼굴 등 다양한 표정을 보여주는 것도 좋습니다.말문이 트이게 하려면 아기의 이름을 자주 불러주고 일상적인 상황에서 불러주면 아기는 자신의 이름과 주의집중력을 연결하게 됩니다. 아기에게 말을 걸 때 현재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유 마실까? '지금 기저귀 갈아줄게'등 일상에서 하는 행동을 설명하면 아기는 단어와 행동의 연관성을 이해하게 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